오늘자 변경사항 되겠습니다.
다른건 다 그렇다 치고............
포인트 준 부분 주목하세요..
노선 [7737] 운행일 별도공지
내용 : 배차 9-10 ->12-18
--
노선 [7024] 운행일 별도공지
내용 : 봉원사-숙대입구-> 봉원사-서부역운행
--
노선 [7735, 760] 운행일 9.26(월)
내용 : 760으로 노선통합 및 연장
--
노선 [7016] 운행일 9.22(목)
내용 : 구룡로에서 난지도길을 경유
--
노선 [5631] 운행일 별도공지
내용 : 기점을 시흥역까지 연장
--
노선 [4420] 운행일 9.28(수)
내용 : 연장운행
--
노선 [4420] 운행일 9.28(수)
내용 : 연장운행
--
노선 [7740] 운행일 10.1(토)
내용 : 노선폐선-> 마을버스로 변경, 은평05
--
노선[0014] 운행일 별도공지
내용 : 코오롱아파트까지 연장운행
--
노선 [6512, 6513] 운행일 10.18(화)
내용 : 6512 : 운행구간중 하행시 영등포역 가로변정류장 폐쇄에 따라
영등포시장으로 우회운행
6513: 하행운행시 영등포역 가로변 정류장 폐쇄에 따라
여의도 환승센터 경유
--
노선 [6616] 운행일 10.10(월)
내용 : 첫차 04:40->04:30, 막차 23:20->23:10분으로 변경
지선이 마을버스가 되는 현상-_-과 함께.. (하지만 뭐 노선자체가 워낙 짧더군요.. ㅎㅎ 그냥 번호만 바꾸는 수준인가;)
6512 6513형제의 -_- 영등포역 가로변 정류장 폐쇄의 압박 -_-
(도대체 어딜 폐쇄한다는 건지? 하행이라면 부천방향 정류장인가요;;)
6512야 그렇다 치고
더더욱 놀라온건 6513은 그 정류장 하나 폐쇄땜에 여의도 환승센터까지 기어올라가는군요 -_-;;
사실 그 정류장 지그시 없애주시고 거기 서있는 9408 9412 지그시 밀어내 주시고
경기도 버스들도 싸그리 밀어 주신 다음에 -_- 서울교에 중앙차로를 질러야 되는데 -_-;;;
(같은 방식으로.. 소신 70-2좀 어떻게 등기소 앞에서 치운 다음에.. 문래고가도 중앙차로를 -_- 요즘 혼자서 70-2 처리방법 고민중입니다 -_-)
오늘 집에올때 발견한
영등포역 부천방향 중앙정류장의 초록버스는 1/2 확률로 5618 또는 5615다! 라는 법칙이
곧 깨지겠군요 -_- ㅠㅠ
그나저나 아직도 6411의 문제점이라던가 -_- 신길3동 및 도림동의 버스의 사각지대 압박을 전혀 인지하고 있지 못하다니 대략 난감하다는 -_-;;
+ 나중에 추가
70-2. 70-3 회차지점이 문래고가 아래로군요;; 그래서 등기소 옆에 죽치고 있었군요;;;
제 생각으로는 그냥 문래고가 아래에서 좌회전해서 (5618가는길) 도림고가 건너서 도림동에서 회차시키는게 좋을 거 같군요.....
도림동쪽이야 길막힐일도 거의 없고, 가로변에 차 세워놔도 문제될 일 거의 없기 때문에요..
그렇게 70-2, 70-3을 처리하고 문래고가에 지그시 중앙차로를 그어주면 될 거 같은데..;;
첫댓글 ;;;; 6513 대체 어떻게 여의도로 올라간댑니까?
아직 노선 검색에는 변경사항 반영이 안돼서 잘 모르겠지만 -_-;; 360 가는 길로 올라가서 대충 환승센터 훑고 내려오지 않을런지요 -_-;
가뜩이나 노선 2개 억지로 이어놓은 모양이라 이제 타는 사람이 드문데, 그나마 있던 대방동-영등포역 수요가 거의 사라질 듯도 싶군요. 하지만 영등포역앞 하행 가로변 정류장 이용노선이 그 둘 뿐만일 리는 없을 듯 싶습니다만.
솔직히 영등포역 거치는 버스 너무 많다고 생각합니다 -_-;
6513번 대방지하차도로 들어가서 나오지 않은이상 360번과 똑같은 루트로 여의도 환승센터 까지 갈꺼 같습니다.
7740... 개편전에는 마을버스였습니다... 제가 응암동 살 적에 녹번역가려고 자주 탔던 버스.......;;
맞습니다..; 영운운수에서 굴려먹던 11번이였죠...-_-; 응암동 주민을 쉴세없이 실어나르는 대박 노선중에 하나구요..;
아무래도 시내버스 면허로 변경되면서 요금인상으로 인한 것과 가까운곳에 위치한 응암역이나 새절역으로 이용수요가 분산되면서 이렇게 된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이용수요 분산도 약간 있지만.. 시내버스 요금으로 올린후에 응암2동(은평병원 위쪽)주민들이 반발이 심했죠.. 응암시장이나 이마트가는 사람들은 기존 요금에서 덩달아 800원으로 올랐으니.. 그리고 어른,청소년,어린이 할거없이 응암시장에서 올라가기 매우 벅차서.. 마을버스 시절엔 버스를 많이 이용했었습니다..
어차피 녹번역 환승승객들은 상관없었지만.. 음.. 역시 경사가 너무 심해서 많이들 이용하니.. 더구나 종점까지 계속 올라가고.. 경사가 어느정도인지는 아마 아실겁니다.. 눈오면 버스 못다니는정도..-_-
우리 동성이네 4420 어디로 연장한다는 건가요?
동성이네 4420 어디로 간다고 합니까??? 설마 송파공영차고지~신사역 은 아니겠죠?
어 진짜 우리 동성이 4420은? 9월 28일은 지났는데...?
4420번 사람이 많지 않다보니 노선변경도 자주 되네요.. 그런데 4420번 또 어떻게 바꾼다는지.. 8.22 노선 변경후에 휴일 배차간격도 15분으로 유지하던데...
지선은 점점 마을버스화되고,간선은 점점 지선화되고 난리났군요...
근데 동성이 송파차고지 들어가면 302번은 엽기노선됩니다. 이미 옛날부터 성남시내에서 ㄹ자 관광노선을 형성하고 있거든요. 왕십리길의 정체여파에다가 -_- 간선이 관광을 하다니 말이 됩니까 -_- 보통골에서 사기막골 쑤셔주고 또 순환도로 타고 남한산성 유원지 입구 거쳐서 산성역 거치고 송파차고지라... 볼만합니다.
뭐 그렇게까지 한다면 완전히 뻘짓이지만 그럴 일은 없고 더구나 분당주민인지라 302번과는 무관해서 그냥 상상만 해 본 겁니다. 하지만 저희 직장 앞으로 잘 다니는 노선인지라 관심이 가기는 하죠.
성남의 종점을 송파차고지로 하긴보다는 광주시쪽의 갈마터널쪽으로 이전하는 게...
KD가 금역(禁域)의 땅 강남고속버스터미널에 드디어 진출합니다. 그것도 1500-3번 좌석버스입니다.
그거 취소됐다던데요... -_-;
6512, 6513(특히 6513). 아무리 봐도 지대 입니다 --;;;
설마...오타가 아닐까하는 생각마저 듭니다..-_- 6512,6513이 돌려지면 필수적으로 605나 6628,5012같은 노선들도 함께 조정이 있어야하는데...
605나 6628 5012는 영등포역 정류장 이쁘게 스킵해 주시고 신세계백화점 건너편을 살포시 이용해 주시지 않을까 하는 추측입니다. 이김에 서울교에 중앙차로 지르면 참으로 좋겠습니다 -_- 덩달아 문래고가도 -_-
영등포역 가로변 정류장 이용노선은 5012 5614 5625 661 6628 6630 760 9408 9412 되겠습니다.. 5614 빼고 다같이 신세계 백화점 건너편을 이용해 주실 듯 하군요 -_-;;; 5614가 난감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