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체험 뮤지컬 <어드벤쳐 뉴턴>
◈ 기획의도
“어드벤처 뉴튼”은 뉴턴의 세가지 법칙 (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반작용과 작용의 법칙)을 “음식의 나라”, “풍선의 나라”,
“게임의 나라” 로 각색, 변형하여 실험을 통해 우리의 일상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봅니다. 엉뚱한 실험과 특수효과 그리고 익살스런
연기로 과학이 일상과 연계됨을 표현하며 팀을 나누어 실험을 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직접 참여하게 하여 몸으로 과학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교과서에서 느끼지 못한 과학의 즐거움과 호기심은 어린이들에게 자극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공연의 재미와 더불어 과학 교육의
유익함까지 가미하여 방문하는 어린이들은 물론 학부형들의 호평과 찬사를 이끌어 냅니다. 웅장한 음향과 3차원 입체영상, 현란한 조명과 특수
효과가 가미된 과학 연극은 부모와 어린이가 함께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최첨단의 과학 연극입니다 ◈ 공연내용
'어드벤처 뉴튼' 은 뉴튼 박사와 그의 딸 베티가 뉴턴의 세가지 법칙 (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반작용과 작용의 법칙)을 가지고
실험을 통해 우리의 일상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봅니다. 엉뚱한 실험과 특수효과 그리고 익살스런 연기로 과학이 일상과
연계됨을 표현하며 팀을 나누어 실험을 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직접 참여하게 하여 몸으로 과학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뉴턴의 첫번째 법칙(음식의 나라)
- 뉴턴과 베티가 과학의 나라의 첫 번째 음식의 나라에서 배우는 관성의 법칙을 관객과 함께 몸으로 직접 체험합니다. (춤, 음악,
특수효과)
★ 뉴턴의 두 번째 법칙(풍선의 나라) - 대형 풍선을 통해 관객이 참여하여 가속도의 원리를
알아봅니다.
★ 뉴턴의 세 번째 법칙(게임의 나라) - 관객과 함께 팀을 이뤄 지렛대를 이용하여 뉴턴의 뇌 모형을
그물 안에 넣는 대결로 로켓의 원리를 이용하여 체험하는 실험입니다.
★ 뉴턴의 세가지 법칙 (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 - 앞에서 배웠던 세가지
법칙을 퀴즈문제를 통해 관객이 실험에 잘 참여했는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참여하는 실험입니다.
★ 피날레 - 축포와 함께 과학자 선서를 합니다.
◈ 극단 소개
극단 문예는 1995년 3월 2일 ‘어린이와 어른의 동심을 이어주는 ...’ 이라는 슬로건 아래 24명의 젊은 연출가, 극작가, 무대
미술가, 음악가, 연기자, 들에 의하여 창단 되었습니다.
창단 기념작 가족 뮤지컬 “신데렐라”를 시작으로 1996년 가족 뮤지컬 “백조의 호수” 1997년 가족
뮤지컬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1998년 놀이극 “여우와 까마귀” / 가족 뮤지컬 “빨간모자” 1999년
가족 뮤지컬 “소년 로빈훗” 2000년 창작 아동극 “회전 목마” 2001년 창작 아동극 “고집쟁이 당나귀
푸푸” 2002년 가족 뮤지컬 “정글북” 2003년 창작 가족 뮤지컬 “늑대 이야기” 2004년
창작 가족 뮤지컬 “2004 빨간모자” 창작 가족 뮤지컬 “백설공주 이야기”를 제작 하였다.
2005년 창작 가족 뮤지컬 “2005 빨간모자” 과학 체험 뮤지컬 “사고뭉치 뉴턴”
창작 아동극 “고집쟁이 당나귀 푸푸” 어린이 가족 뮤지컬 “백조의 호수”
어린이 가족 뮤지컬 “여우와 까마귀” 또한 극단 문예는 대도시 전국 투어 공연. (1년 2회) 서울 및 수도권 소극장 투어공연 2000년 아스테이지 연극제 참가
2000년 2001년 2004년 춘천 인형극제 참가 2004년 의정부 아동극제 공식 초청 서울 힐튼 호텔 공연, 청주시
원주시 광양시 평창군 횡성군 초청공연 SK 연수원 초청 공연, 삼송리 작은 마을 축제 참가 롯데 백화점 (분당점, 일산점,
청량리점, 강남점, 관악점, 부평점, 울산점, 포항점,)초청공연, 현대 백화점 초청 공연 1999-2004년 소극장 아동극 페스티벌 참가
2001-2002년 롯데월드 환타지 극장 공연 2004년 5월 창조 콘서트홀 공연 1995-현재까지 전국 투어공연을 하고
있는 다채롭고 꾸준한 공연 활동을 하는 극단입니다.
|
 

|
건국대 새천년관
대공연장
 주 소 : 서울 광진 화양 1
 전 화 :
02-455-1896,1897
  |
소개
|
 |
건국대학교 대공연장은 총 794석입니다. 내부구조는 1,2층을 구분하지 않고 계단형으로 연결해 공연장의 내부 공간이 넓습니다. 규모면에서는
독주에서 오케스트라까지, 장르면에서 클래식과 대중음악을 막론해 다양한 문화행사를 소화해 낼 수 있는 다목적 공연장입니다.
특히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및 화장실, 전용좌석 등이 마련되어있고 건물 내에는 전문 레스토랑이 있어 관람객들이 불편해하는 식사문제 해결
등 무대 외적인 것까지 세심한 배려를 했습니다. |
찾아가는 길
|
 |
▶ 지하철 이용시 - 2호선 건대입구역 2번출구 & 7호선 건대입구역 4번출구 - 7호선 어린이대공원역 3번 출구
▶ 버스 건대병원앞 : 2217, 2222, 3216 (군자역방향), 3217, 4212
▶ 자가용
이용시 (1)경부 고속도로 - 서울 톨게이트를 지나 구리-판교간 고속도로를 이용, 서하남에서 나오든가 올림픽 대로를 이용 잠실대교나
올림픽대교를 건너 구의사거리에서 지하철 2호선 방향으로 직진하면 건국대학교 상허문이 있음
(2)중부고속도로 - 상일,하일
또는 서하남에서 나와 올림픽대교를 건너 직진하면 어린이 대공원이 있고 맞은 편에 건국대학교 정문이 있음
|

|
|
나무의 줄기가 굵어지는 것은 나무 껍질의 바로 안쪽 세포가 늘어나 바깥으로 커져가지 때문이에요 추운겨울에 나무의 굵기는 변화가 없지만 봄이 되어 따뜻해지면 세포가 늘어나 갑자기 굵어지지요
비가오지 않는 하늘에.. 인의적으로 소금과 나트륨을 섞어서 뿌리면..하늘에서도 비를 만들수 있다네요.. 자세한건..넘 어려워서 잘모르겠지만.. 과학의 힘은 참 위대하죠.. 비도 만들수 있으니.. 높은 산을 오르다 보면 귀울림을 자주 접한다..그때 간단위 극복할수 있는건..ㅋㅋ 침한번 꿀꺽 하면 만사 오케
솜사탕이 어떻게 만들어질까? 솜사탕은 설탕을 구멍뚫린 그릇에 넣고 끓이면서 그 그릇이 빙글빙글 도는데 이때 원심력과 가열한 열에의해 녹은 설탕은 연기같은 실타래처럼 구멍으로 나오게되 이럴때 막대기에 감으면 솜사탕이되지...솜사탕도 무지 과학적이지
뱀이 혀를 날름거리는 이유를 아시나요? 뱀을 혀를 이용해 냄새를 맡고 상대방의 열을 감지해서 어둠 속에서도 먹이를 쉽게 찾아낼 수 있지요...그러나 맛을 구별하는 능력은 없어요..<직장맘이라 도전할 생각도 안했는데 유치원 행사로 인해 휴가를 냈답니다..집에서 가까운 곳이라 반가운 마음에 얼른 신청해봅니다
번개가 칠때 자동차안에 있으면 안전하다고 하네요..번개가 금속으로 된 자동차의 겉면을 타고 흘러내려 바닥으로 사라진대요...^^
오리에게는 부리위쪽에 제2의 이빨이 있어요. 이것은 오리가 알에서 나올때, 두꺼운 알을 깨기 위해서 있는 또다른 이빨이라고 하네요. 오리에게만 있구요. 알에서 나온 후에도 쓰임은 없지만, 그 흔적은 계속 남아있답니다. 사람에게 있는 배꼽과 비슷하죠
과학상실?? 은 제가 과학공부할때 항상 느끼는 상실감을 말씀하시는 건지.. 전 오히려 아이들에게 배웁니다. 며칠전 비행기는 작용반작용에 의해 움직인다고 알려주더군요 아하 했지만 작용반작용이 무언지....상실감느낍니다.
과학상식은 아니지만 한번 짚고 넘어갈려구요. 예전 우리는 살색 살색 했었는데, 이젠 살색이라는 거 없답니다. 상아색 이게 바른 표현입니다. 몇일전 그림그리는데 울신랑이 살색, 하는데 바로 정정. 엄마들은 알아도 아빠들은 아직 잘 모르나봐요
늦게 나마 신청합니다. 과학을 어렵지 않고 싶게 이해할수 있는 기회라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좋은 기회만들어 주신 해밀에게 감사드립니다.
몸을낮추면 무게중심 잡기가 편해서 지하철이움직일때 약간무릎을 굽히면 흔들리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