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공식(四柱公式)
시 주 | 일 주 | 월 주 | 연 주 |
r(2N+J-12, 10) | r(N+14, 10) | r(2y+m+13, 10) | r(y-4, 10)
|
r(J-12, 12) | r(N+14, 12) | r(m+13, 12) | r(y-4, 12)
|
위에서 y, m은 절기력 기준 연과 월입니다.
위에서 N은 다음과 같습니다.
N에서 사용하는 Y, M, D는 양력 연월일 입니다.
N
=
365(Y+q(M-3, 12))
+
q(Y+q(M-3, 12), 4) - q(Y+q(M-3, 12), 100) + q(Y+q(M-3, 12), 400)
+
q(153(M-12q(M-3, 12))-1987, 5)
+
D
그런데 N은 너무 복잡해서 암기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Y-1년 12월 31일까지 먼저 계산한 공식 n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N의 공식에 M=12, D=31을 입력한 공식을 n이라 하면 다음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공식이 됩니다.
n(Y) = 365Y + q(Y, 4) - q(Y, 100) + q(Y, 400)
가령 2023년 1월 1일의 요일을 구하고 싶다면
먼저 2022년 12월 31일까지 총일수 n(2022)를 구한 후 1을 더하면 됩니다.
n(2022) = 738030 + 505 - 20 + 5 = 738520
따라서 2023년 1월 1일까지 총일수는 738520 + 1 = 738521입니다.
이것을 7로 나누면 0이므로 일요일입니다.
즉, N(Y, M, D) = n(Y-1) + d(Y, M, D)입니다.
d(Y, M, D)는 Y년 1월 1일부터 Y년 M월 D일까지 총일수입니다.
위의 공식을 활용하면
약간의 수치 계산을 하는 데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만세력 없이 사주를 세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