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두보택 (石頭寶澤, 1882~1954)】 "번뇌 망상 끊어지면 생사도 끊어지는 것이다"
번뇌 망상 끊어지면 생사도 끊어지는 것이다
올해 탄신 120주년을 맞이하는 효봉(曉峰,1888~1966)스님은 일제 강점기 판사직을 던지고 도인(道人)을 찾아 나섰다가 금강산 법기암에 스승을 만난다. “호랑이 눈에는 호랑이만 보인다”고 했다. 시대를 풍미하며 수행의 기준을 몸소 보이며 불법을 널리 편 효봉스님이 가능했던 것은 은사 석두보택(石頭寶澤, 1882~1954) 스님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18일 석두스님 제자인 석정(石鼎)스님의 생생한 증언으로 선지식의 삶을 복원했다.
“번뇌 망상 끊어지면 생사도 끊어지는 것이다”
효봉.향봉.석정 스님 등 ‘한국불교 동량’ 길러
참선 수행과 검소한 생활로 후학들에게 귀감 돼
<사진설명>석두스님은 효봉스님 은사로 한국불교 중흥의 토대를 마련한 선지식이다. 사진제공=석정스님
“화상은 어디서 나오셨습니까?”
○…1909년 동안거 해제 전날 해인사. 친일 주지 이회광(李晦光,1862~1933)이 법문을 했다. “삼세제불(三世諸佛) 역대조사(歷代祖師)와 금일(今日) 시회대중(時會大衆)이 모두 산승(山僧)의 입에서 나왔다.” 부처님과 모든 조사들 그리고 오늘 법회에 참석한 대중이 ‘이회광’의 입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이회광은 친일 성향의 불교연구회와 원종종무원을 만들어 종정으로 추대될 만큼 당시엔 ‘실력자’였다. 20대 초반의 석두스님은 ‘오만한 법문’을 듣고 자리에서 일어났다.
“그러면 화상(和尙)은 어디서 나오셨습니까?” 이회광은 아무 말도 못했다. 스님은 “범부에게 법문을 들을 수 없다”면서 법당 밖으로 나왔다.
“개구리도 소중한 생명” 천도
○…금강산 보운암으로 온 어느 날 밤. 경내에 있는 연못의 개구리들이 시끄럽게 울었다. 얼마나 요란하게 울던지 스님은 “공부를 제대로 하기 어렵겠다. 날이 새면 이곳을 떠나 조용한 도량에 가서 공부해야 겠다”고 생각했다. 다음날 동 틀 무렵 까마귀 떼가 연못에 있는 개구리를 모두 죽였다. 광경을 목격한 스님은 “나의 부질없는 한 생각으로 많은 살생을 저질렀구나”라며 보운암을 떠나지 않았다. 그 뒤로 스님은 개구리 영가를 천도하기 위해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고행 정진했다. 하루 한 끼를 송죽(松粥)과 된장으로 공양을 대신했다. 송죽은 솔잎 그대로 찧어 만든 것으로 제자 가운데 몇몇은 견디지 못하고 떠날 정도로 먹기 힘든 음식이었다.
된장으로 간장 손수 만들어
○…일제 강점기 사찰 토지를 소작 붙였던 대처승들은 절에 머물지 않고 마을에 사는 경우가 많았다. 법회나 불공이 있을 때만 절에 왔다. ‘명자(名字) 주지’였다. 금강산 보운암 역시 마찬가지. 평소 검소한 생활을 했던 스님은 비록 주지가 없었지만 사중 물건을 헤프게 사용하지 않았다. 불 밝히는 석유도 한 병 두병 사다 썼다. 그 마저 예불 모실 때와 해진 뒤 물건 찾을 경우에만 사용했다. 말린 된장에 팔팔 끓인 소금물을 채를 통해 부어 누르스름하게 우러나게 하여 간장을 만들어 썼다.
“속이지 않으니 용서해 준다”
○…상좌 종남(宗南)이 스님을 시봉할 때였다. 옛날에는 방에서 부엌을 내다보는 손바닥만한 크기의 작은 창문이 있었다. 어느 날 갑자기 손님이 찾아와 공양을 차려야 했다. 준비가 잘 되는지 스님은 창문으로 부엌을 보았다. 그런데 종남이 침을 ‘탁’ 뱉은 뒤 행주로 밥상을 닦는 것을 목격했다. 손님이 돌아간 뒤 상좌를 불렀다. “너는 상을 어떻게 닦았느냐.” “제가 하도 급해 침으로 닦았습니다.” 스님은 야단치지 않고 이렇게 타일렀다. “네가 잘못은 했지만, 속이지 않으니 용서해 준다.”
“금강산 미륵불 글씨= 쌀600섬”
○…금강산 구룡폭포 옆에는 길이 19m, 폭 3.6m나 되는 거대한 글씨 彌勒佛(미륵불)이 새겨져 있다. 이 글씨는 석두스님이 김규진에게 글씨를 부탁한 것이다. 한 글자에 100원씩 모두 300원을 지불하기로 했다. 당시 쌀 한 섬이 50전이었으니, 지금으로 치면 쌀 600섬에 해당하는 엄청난 액수이다.
1년 뒤 완성됐다는 연락을 받고 만났는데 ‘海岡 金圭鎭 書’(해강 김규진 서)는 글씨가 추가되어 있었다. “저는 이것을 안 가져가겠습니다.” 스님이 난색을 표하자, 해강은 이렇게 말했다. “금강산에 내 이름 석 자를 새기는 것이 원(願)이니, 300원을 받지 않을 테니 새겨 주십시오.” 글씨를 새길 무렵 금강산에 비가 오지 않았다. 마을 사람들이 몰려와 “명산에 구멍을 뚫으니 하늘이 노해 가물다”면서 공사 중지를 요구했다. 스님은 “회향하고 나면 비가 올 테니 기다리라”고 했다. 은근히 걱정 했다고 한다. 회향 전날 밤 많은 비가 내려 돌가루까지 깔끔하게 씻겨 나갔고, 환희심이 난 주민들이 회향 당일 찰밥과 떡을 마련해 찾아왔다.
효심 깊은 상좌들
○…석두스님은 상좌인 효봉스님과 불과 6살 차이였다. 외모로 보면 효봉스님이 더욱 나이 들어 보였다고 한다. 객(客)이 찾아와 인사를 할 때면 석두스님보다 먼저 효봉스님에게 “큰스님께 인사드립니다”라며 절을 했다는 것이다. 석두스님과 효봉스님은 그저 미소만 보였다. 상좌들은 은사스님을 깍듯하게 모셨다. 효봉스님은 송광사 주지 임석진 스님에게 부탁해 은사를 큰절로 모셔왔으며, 말년에는 통영 미래사에서 극진하게 간병했다. 상좌인 계봉스님은 대변을 맛보아 차도를 살필 만큼 효심이 깊었다.
참선.도솔발원.준제기도
○…스님은 후학들에게 참선 정진을 강조했다. “다른 복을 짓는다 해도 (부족한 것이 있으니) 너희들은 참선을 해라.” 또한 보조국사의 가르침을 모범으로 삼아 정진했다. 때문에 돈오돈수(頓悟頓修) 보다는 돈오점수(頓悟漸修)의 입장을 가졌다.
은사 백하(白荷)스님과 해인사 제산(霽山)스님의 영향을 받아 스님은 도솔발원(兜率發願)을 참선과 병행했다. 금강산 상운암 뒤에 마애미륵불상을 모셨으며, 세존봉 중턱에는 도솔암도 지었다.
또한 준제기도(准提祈禱)를 수행의 방편으로 삼았다. <준제경>에 나오는 ‘좋은 향’을 구하려고 중국과 러시아도 다녀왔다. 결국 그 향은 다른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향’임을 깨닫고 돌아왔다. 일곱 차례의 100일 준제기도를 통해 수마를 항복 받은 스님은 오매일여(寤寐一如)의 경지에 들었다.
부산=이성수 기자
■ 스님이 즐겼던 게송 ■
석두스님은 평소 법문을 하거나 후학들에게 가르침을 줄 때 ‘달마조사송(達磨祖師頌)을 많이 인용했다. “번뇌 망상 끊어지면 생사도 끊어진다”는 내용을 담은 이 게송은 스님이 전하고 싶은 가르침이다.
財色不忘莫聞道(재색불망막문도)
貢高自是體參禪(공고자시체참선)
煩惱斷盡生死斷(번뇌단진생사단)
更無別法與人傳(갱무별법여인전)
재물과 색을 저버리지 못하거든 도를 묻지 말고
내 잘난 생각 갖고는 참선을 하지 말라
번뇌 망상 끊어지면 생사도 끊어지는 것이니
이밖에 다른 법은 일러줄 것이 없다.
<사진>불화장(佛畵匠)인 석정스님이 직접 그린 석두스님 진영.
■ 행장 ■
백하스님 문하로 출가
주지 마다하고 ‘정진’
석두스님은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고 임오군란이 일어난 1882년 9월4일 함경북도 명천군 하가면 화대동에서 태어났다. 부친 임치권(林致權)과 모친 김해김씨 슬하의 5남매 가운데 2남이었다. 속명은 상하(尙夏). 어려서 성품이 급하고 고집이 강했지만 총명함과 인자함을 겸했다. 병법을 배워 장군이 되고자 했지만 출가 원력을 세웠다. 16세였다. 안변 석왕사 백하스님은 “장차 선지식이 될 것”이라면서 보택(寶澤)을 법명으로 내리고 출가를 허락했다. 스승에게 범패를 익힌 지 3년 만에 명천 쌍계사 주지로 발탁됐지만 사임하고 선원에 들어가 정진했다.
준제진언을 방편으로 수행에 몰두한 결과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 등 오음마(五陰魔)의 항복을 받았다. 25세 겨울에 해인사 퇴설당에서 제산스님을 모시고 정진하던 중 지혜의 눈이 열려 “圓覺道場(원각도량)이 何處(하처)요. 現今生死(현금생사)가 卽是(즉시)”라고 했다. 석주스님 은사인 남전(南泉)스님이 이를 나무에 새겨 해인사 장경각 주련으로 걸었다. 이듬해 12월에는 무자화두를 타파하고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렀다.
47세 되던 해 효봉스님에게 전법하고 전국을 다녔다. 송광사 삼일암에 주석하며 부도암에 선원을 개설했다. 순창 순평암에 머물다 해방을 맞이했다. 71세 되던 해에 몸이 불편하여 미륵도 미래사로 주석처를 옮겼다. 1954년 4월25일 오후 8시30분 열반에 들었다. 세수 73세, 법납 57세. 석두스님은 참선을 권하고 <미륵상생경> <유마사행론> <보조수심결>을 자주 말씀했다. 제자로 효봉학눌(曉鳳學訥).향봉학눌(香峰香訥).화봉유엽(華峰柳葉).계봉무아(溪峰無我).해봉석정(海峰石鼎).석봉인선(石峰仁善).은봉원광(隱峰圓光) 스님이 있다.
[출처 : 불교신문 2404호/ 2008년 2월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