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괴불주머니, 멍석딸기, 배풍등, 가막살나무, 박태기나무, 지칭개, 선개불알풀. 4월 서울 남산에서 만난 40여종의 식물 중 일부이다. 3월 숲해설사와 함께 하는 숲 산책 첫 시간에 나는 어린아이가 된 듯했다. 쏟아지는 새로운 단어에 정신이 없는 와중에 무지에서 앎으로 가는 작은 빛이 경이로웠다. 숲 산책을 거듭하며 뭉뚱그린 잡초가 아닌 엄연히 이름을 가진 풀의 개별성을 인식하게 된다. 이름을 안다는 것에서 나아가 작은 식물들의 생존 전략을 이해하게 되면 가슴이 뭉클하다. 오! 이렇게 신비롭고 대견할 수가!
아동옹호단체인 아동연합에서 <테크토닉>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보통의 미국인은 1000여개 이상의 브랜드명을 인지하는 반면, 토착식물이나 동물은 채 10여종도 구별하지 못한다고 한다. (p.11 <나의 글로 세상을 1밀리미터라도 바꿀 수 있다면> 메리 파이퍼)
심리치료사이자 작가인 저자는 <나의 글로 세상을 1밀리미터라도 바꿀 수 있다면>에서 “좋은 글은 심리치료처럼 마음의 풍경을 바꾸고, 마침내 세상의 풍경을 바꾼다”고 한다. 이 책은 우리가 글을 써야 할 이유와 좋은 글이 갖춰야 할 요건을 알려준다. 그중 저자는 글을 통한 연결을 강조하는데, 글쓰기를 통해 우리는 스스로와 연결되고 나아가 타인과 연결됨으로써 서로가 연결된 더 나은 세상을 만들자고 한다.
나는 요즘 자연과 연결되려고 애쓰고 있다. 멀리서 바라보는 풍경을 감상하는 것이 내가 자연을 향유하는 유일한 방법이었는데 요즘은 허리를 구부리고 루페(휴대용 돋보기)로 작은 것들을 보기 시작했다. “나에게는 그전과는 다른 성찰, 머릿속의 성찰이 아닌 몸으로의 성찰, 내 몸을 가두는 풍경에서 벗어나 새로운 몸으로 일구는 성찰의 시간”(정찬 <길 속의 길>)을 보내고 있다. 그런데 하필 왜 지금일까? 왜 이 시점에 자연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고 싶어졌을까? 아마도 나와 함께 글을 쓰는 친구들에게 스며들었기 때문이다.
글을 쓰는 사람들은 아주 작고 미묘한 것에도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다. 남들은 무시하기 쉬운 차이도 인지하고 언어로 명확히 드러내고자 애쓰는 사람이다. 그것은 내면의 이야기일 수도 있고 자신을 둘러싼 바깥 세상의 부조리일 수도 있다. 그것이 무엇이든 자신을 잡아끄는 이야기에 천천히 머물며 그 자리를 관찰한다. 쉽게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하는 나의 글 친구들은 자연과도 친하다. 산책길을 시로 쓰고 탐조단(조류의 생채 서식지 따위를 관찰하고 탐색함) 활동을 하고 자연에서 위로받는 마음을 표현한다. 그런 글을 읽다 보니 나도 느껴보고 싶었다. 광고에 계속 노출되면 그 물건을 욕망하듯이 친구들의 글을 읽으며 자연에 대한 감수성을 욕망하게 되었다.
글은 욕망을 정제하기도 하고 새로운 욕망을 추동하며 새로운 국면으로 안내하기도 한다. 남편과 다툰 이야기를 글로 쓰면서 남편이 문제가 아니라 내가 문제라는 걸 알게 된 적이 있다. 남편에게 토해낸 말은 어린 시절부터 마음속에 억울하게 묵혀두었던, 사실은 엄마에게 하고 싶던 말이었다. 도리어 만만한 남편에게 퍼부었다는 걸 글을 쓰며 알아차렸다. (그래도 남편에게 사과는 안 했음) 지난 주말에는 딸아이에게 편지를 썼다. 다 써놓고 보니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아이를 설득하려는 내 저의가 드러났다. 편지를 받고는 비웃을 아이 표정이 떠올라 부끄러웠다. (그래서 아이에게 보내지 않음) 속상하거나 화나는 일이 있을 때도 글을 쓴다. 두려움에 가려진 것을 거두어 내 안을 들여다보니 상대에 대한 원망이 아닌 사랑받고 싶어 하는 여린 내가 보인다. 생각이 문장으로 옮겨져 표현되면 비로소 내 생각과 거리를 두고 바라볼 틈이 생긴다.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무엇을 욕망하는지 발견하게 된다. 그 덕에 나는 멈출 수도 있고 더 나아갈 수도 있다.
브랜드는 구분하면서 정작 나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구분하지 못하는 삶을 살고 싶진 않다. 백화점이 아닌 자연 속에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삶을 살고 싶다. 글쓰기는 내가 사는 세상의 풍경을 바꿔 놓았다. 글쓰기는 원하는 삶의 안내자이고 그것에 가까워지는 법을 찾아가는 아주 훌륭한 도구이다. 그러니 여러분 서로에게 스며들 수 있도록 계속해서 씁시다.
첫댓글 마지막 표현, '그러니...계속해서 씁시다'에서 미소지었어요. 글쓰기 캠페인? 하면서요.^^
짧은 글 안에서 샘의 근황, 글 친구들, 남편과 딸, 글의 좋은 기능들...많은 것들을 알게 되어서 샘과 더 가까워진거 같아 기뻐요.
샘이 사는 세상의 풍경에서 보이는 자연의 모습들, 샘의 글에서 또 만나기를 기대합니다.
아, 좋다 좋다...! 무지에서 앎으로 가는 작은 빛, 엄연한 이름을 가진 풀의 개별성 이란 표현에 이미 반했고요. 자연과 연결되고 싶은 선생님의 마음이 잘 드러난 글이었어요. 글쓰기와도 잘 버무리신 것 같아요. 그래도 남편에게 사과는 안 했음 --> 귀여워요!! ㅋㅋㅋㅋ
제목도 너어무 좋습니다! ❤️
허리 구부리고 작은 것에 감탄하는 샘 모습이 그려져요. 우리는 이미 자연과 연결된 걸 극구 부인하며 살고 있는 거 같아요.
욕망을 억제하는 샘 모습이 귀엽고 재밌어서 웃음짓게 하네요^^
글쓰기는 내가 사는 풍경을 바꿔 놓았다!
멋지세요!
선생님은 이미 글쓰는 사람이 갖추어야 할 관찰력, 세심함, 소통할 수 있는 따뜻한 마음을 갖고 계신 것 같아요. 계속 써보아요 우리 :)
(그래도 남편에게 사과는 안 했음)에서 빵 터졌어요ㅎ 그래도 사과해주시지 남편 마음이 사르르 녹을 텐데요^^
자연을 관찰하면서 깨달은 바와 책을 읽으면서 얻을 통찰을 잘 엮은 글이라 자연스럽게 글에 스며들게 되요!!
()는 정확하게 제 감성이군요. 그냥 쉽게 설득해버리시네요. 어느새 끄덕이고 있습니다.
자연과 연결된 글이라 그런지 뭔가 싱그러운 느낌이에요~^^
식물이름은 듣도보도 못한 처음 들어보는 이름들이고..
자연과 함께 유유자적하게 숲을 누볐을 미소 쌤이 연상되네요.^^
미소 쌤이 발췌하신 글이 저엔겐 완전 생소한 문장이라 다시 찾아봤어요. 같은 책을 읽고 이렇게 다른 부분을 본다는 게 다시 한 번 신기하게 느껴집니다.
자연과 책과 나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버무려서 너무 잘 쓰셨어요.👍
정인 쌤과 함께 미소 쌤도 항상 꼼꼼하게 답글 달아주시죠!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