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차의 역사, 특성, 종류 |
경제작물로써의 차는 약용, 식용 및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료수로서 수천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이 긴 세월속에서 중화민족은 차의 재배, 제조, 응용 및 차 문화의 형성과 발전을 거듭하였다. 세계 각국에서 옮겨심은 茶種, 재배방식, 차의 가공방식, 차잎을 음료로 마시는 법 등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중국에서 전파되어 나갔기 때문에 차의 역사와 발전 및 차 문화 유형 등에 대해 이해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차 소비량이 날마나 늘어나고 있는 오늘날 차가 중국인 생활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그의 내역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차는 중화민족의 첫번째 가는 음료수이다. 차는 紳農시기 발견해서 알려지기 시작했고, 당,송시기 흥성하기 시작했다. 지금은 알콜이 포함되지 않은 3대 음료중의 하나이다(차, 커피, 코코아). 차 마시는 풍속은 전 세계에 퍼져있는데 이미 50 여개 국가가 차를 심고 있다. 차의 근본을 따져보면 최초에 마셨던 차, 심었던 茶種 및 차 마시는 법, 재배기술, 가공방법, 차에 관한 풍습 등은 모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중국에서 전파되어 갔다. 세계 각국의 차에 유관된 모든 것은 중국과 연관되는데 이는 중국을 “차의 나라”로 불리우기에 손색이 없을 뿐만 아니라 차는 중화 민족의 자랑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은 세계에서 제일 일찍 차나무를 발견하고 이용한 나라이다. 중국 고대 문헌에서는 “남방의 가목”이라고 (당조 ----“茶經”에서) 부르고 있다. 차는 한번 심어서 여러해 동안 수확할 수 있는 잎을 이용하는 일종 목본식물로써 야생교목형으로 차나무는 높이가 15-30米나 되며 뿌리 윗부분은 둘레가 1.5m 이상이며 수명은 수백년 혹은 천년 이상이나 된다. 차나무의 기원문제에 대해 고증하기는 힘들지만 역사상의 여러 흔적과 사료는 茶樹의 기원 고증에 적지 않은 증거물을 제공해 줌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계속적인 연구속에서 논증을 얻게 하였다. 식물분류학에 의하면 그 근원을 알아 볼 수 있다. 먼저 차나무의 辛系綠을 찾아보면 茶樹는 피자식물로써 중생대 초기에 발생하였는데 식물학자들이 분석한데 의하면 茶樹의 기원은 지금까지 6000만년 - 7000만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대량의 역사자료와 근대 조사 연구한 자료에 의하면 중국이 차나무의 원산지임이 틀림없으며 중국의 서남지구, 운남, 귀주, 사천 등은 모두 차나무 원산지 중심지임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야생 대차나무의 존재 여부는 차나무의 원산지를 확인하는 중요한 근거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야생 차나무를 발견한 지방이 전부 차나무의 원산지인 것은 아니다. 중국과 인도는 세계의 두개문명 국가로써 두 나라에는 모두 야생 大茶樹가 생존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인이 차를 심고 차를 마실줄도 모르고 심지어는 인도에 茶樹가 있는지도 모르는 시기에 중국에서는 이미 발견하여 이용한지가 수천년이 되었다. 차는 중국에서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기에 차에 유관된 문물들도 복잡하다. 예를들면 차인(茶人), 차구(茶具), 차화(茶畵) 및 유관되는 차문화 유적 등은 차문물의 구성부분이다. 중국차는 북위 18°- 37°, 동경 94°-122°사이 광활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즉, 절강, 호남, 안휘, 사천, 복건, 운남, 호북, 광동, 광서, 귀주, 강소, 강서, 섬서, 하남, 대만, 산동, 서장(티백), 감숙, 해남 등 19개 성 자치구 천 여개 이상 시와 현에 분포되어 있으며 6개 기후대 즉 중열대, 열대변두리, 남아세아열대, 중아세아열대, 북아세아열대와 난온대 등 각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각 지역의 토양, 수열, 식물 종류 등은 선명한 차이가 있다. 수직 분포도를 보면 제일 높게는 해발 2,600m 고지에도 있으며 제일 낮게는 해발 몇 십 미터 혹은 몇 백 미터에도 있으며 지역차이는 茶樹의 성장발육과 차잎 생산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다. 40여년동안 중국인은 적극적으로 대량의 차원을 개량하여 전체 현지에 맞게 차원을 개량하고 동시에 재배면적을 부단히 확대하였다. 현재 19개 茶 생산지 역중에서 절강, 호남의 재배면적만 이미 200만그루를 초과했으며 안휘, 사천,복건, 운남, 호북, 강서 6개성의 재배면적도 150만 그루 이상이다. 절강성 차잎의 연 생산량은 10만t인데 호남, 사천, 복건, 안휘도 5만t을 초과한다. 전국 천 여개의 茶산지 현, 성 중에서도 500 - 2500t 되는 현, 성이 160 여개이다. 년간 산량이 2500t 이상인 현, 성이 20 여개이다. 동시에 대량 생산 규모를 갖고 있는 공장과 차잎 생산 수출 기지를 건설하고 있다. 이런 현상이 중국 차잎 생산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이 시기 중국 차잎 생산의 발전은 대체적으로 두개 단계를 거쳤다. 제1단계, 1950년 - 1970년 이 20년은 거의 개간, 복구 발전시키며 재배면적을 확대하는 것을 위주로 하였다. 이 시기 차원의 면적은 매년 평균 27.3%씩 증가되었는데 차잎 산량은 매년 평균 5.9%씩 증가되었다. 제2단계, 1970년 - 1988년 이 단계에 면적과 산량은 평균 매년 8.3%와 12.4%씩 증가되었다. 이 시기는 차원 구조를 개선하고 차원의 단위 산량을 높이는 것을 위주로 하였다. 특히 80년대에 들어서서는 차원의 총 면적이 거의 온정적이었으며 채집면적으로 차원의 평균산량을 계산하면 1980년에 23.4kg인데 1988년에는 45.5kg이었다. 평균 94.4% 증가되었다. 40년 동안 차잎 생산중에서 취득한 주요 성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근본적으로 차잎의 생산기지를 개혁하였으며 차원의 구조를 개선하였다. 50년대 초기 차원들은 대부부분 황무지 상태였으며 300여 그루 밖에 안되는 차원도 여기 저기 널려져 있고 나무들이 늙고 희소하고 80% 좌우의 차원은 2모작(량식과 차)을 하였다. 이런 상황에 근거하여 전국의 차잎 재배자와 차농들은 이후로 황무지 상태의 차원을 200 여만 그루를 개간하였으며 저산 차원 300 여만 그루를 개간하여 넓은 면적에 집중적으로 차를 재배하였다. 이와 동시에 3300 여개의 대형 차공장을 건설하였으며 500 여개의 차 생산기지와 28개의 차잎 수출입 생산체계를 갖추었다. 차업에 대한 투자는 차 의 면모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현재 넓고, 크고 집중된 새로은 茶區들이 많이 나타났는데 1988년 전국 차 재배지의 매 그루 단위 채집량은 1949년보다 2배 이상 증가되었다. 그중에서도 강소, 절강, 호남, 광동, 광서, 대만 등 지역에서는 매 그루 평균 산량은 이미 50kg을 초과하였다. 통계에 의하면 전국에 평균 산량이 150kg인 차원이 약 70만 그루, 250kg인 차원이 약 9만 그루, 400-500kg인 차원이 약 만 그루나 된다. 차원의 경영관리는 전문화, 집약화, 규범화로 발전하고 있다. 그 다음은 기계로써 수공을 대치함으로써 차잎 가공과정에서의 기계화를 실현하였다. 50년대 차잎 가공은 전통적인 수가공이 위주였는데 현재 大宗紅과 록차는 이미 기계화 제작을 실현하였다. 珠茶의 건조 기사용, 롱징차 정형기, 우화차의 분말기 등의 제작과 사용, 同종 차류의 가공 등은 이미 점차적으로 기계화를 실현하였다. 1988년까지 전국 차잎 생산과 제작에서 기계화 정도는 이미 70% 좌우된다. 차원 작업면에서의 연구, 모방제작을 통하여 차잎의 채집 차나무 깎는 것, 풀 뽑는 것, 씨 뿌리고 약 뿌리는 것, 관개(灌漑) 등은 기계화 작업을 하게 되었다. 세번째, 차나무의 우량품종 선택과 재배, 검증, 번식, 광범위 재배를 가속화 하였으며 부단히 그 재배 면적을 확대하였다. 40년 동안 우량품종의 수집, 선택결과 약 650개 정도의 우량품종을 보존하고 있다. 네번째, 차잎의 품종을 다양화 하여 차잎의 상품범위를 넓혔다. 40년 동안 아래와 같은 세가지 면에서 진전을 가져왔다. 홍비차의 연구제작은 역사적으로 홍비차의 빛나는 한페이지를 남기게 되었다. 홍비차는 無로부터 有로, 少로부터 多로 1988년에는 10만t에 도달하여 차잎의 수출량을 증가시켰는데 이로하여 홍차의 수출량이 녹차를 초과하였다. 명차, 특이한 차의 생산을 복구발전시켜 현재 시장에서 팔리고 있는 것만 해도 수백종 이상이다. 차잎의 상품형식을 변화시켰다. 차잎 시장에는 전통적인 고체형태의 차와 緊壓茶(압축시킨 차) 외에 차, 速溶茶, 濃體茶, 차 음료 및 각종 차 제품이 출시되었다. 단순한 차잎 상품에도 향을 가해서 향내나는 차, 조미료 등을 가한 차 및 한약 보건건차, 약용차 등으로 발전하였는데 이런 변화는 시대의 생활과 긴밀히 결합되어 소비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으며 차잎의 상품범위로 부단히 확대하였다.
차는 이미 제일 좋은 보건 음료로 공인받고 있다. 사람들은 이미 장기적인 실천속에서 飮茶는 영양을 증가해 줄 뿐만 아니라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냈다. 性味는 한약의 중요한 이론이다. 보통 “四氣五味”라고도 하는데 四氣(혹은 四性) 즉, 寒, 凉, 溫, 熱..은 약물의 寒熱 특성을 표명하고 오미 즉 障(비린내), 甘(단맛), 酸(시그러운맛), 苦(쓴맛),咸(짠맛)은 약물의 맛을표명한다. 차의 기능에 대해 대체적으로 24가지로 종합할 수 있다. (1) 잠을 적게 잠 현재 증명에 의하면 차잎중에는 인체건강과 긴밀히 관련되는 주성분이 있는데 주요하게 아래 몇가지이다. 1) 커피염 차잎중에서 함량이 제일 많은 생물인데 보통 함량이 2-5%이다. 150㎖ 차 물 한컵에 40㎎ 좌우의 커피염이 함유되어 있다. 커피염은 일종 중추신경의 흥분제로써 정신을 맑게 해 주는 작용을 한다. 차잎중의 커피염은 차와 결합되어 있어 유리상태의 커피염이 생리기능에 대해 작용하는 기능과 좀 틀리다. 커피염의 안정성에 대한 종합 보고중 사람들이 적당량을 마시면 커피염은 사람을 암과같은 돌변적인 변화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2) 비타민류 차잎중에는 풍부한 비타민류가 포함되어 있다. 비타민 B5은 보통 건차잎(干茶葉) 중량의 100 - 150ppm 좌우 함유되어 있으며,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다. 차잎중의 비타민 B1 함유는 야채보다 높다. 비타민 B1은 신경, 심장과 소화계통의 정상기능을 유지해 준다. 비타민 B2의 함량은 차잎(干茶)의 약 10-20㎎ 차지하는데 매일 5컵 차물만 마시면 인체에 매일 필요한 비타민B2의 5-7%를 흡취할 수 있는데 이는 피부의 탄성을 더해주며 시막의 정상기능을 유지해 준다. 비타민 B1 함유도 매우 많은데 차잎(干茶) 무게의 0.5-0.7ppm 된다. 매일 5컵 차물을 마시면 인체에 필요한 량의 6-13%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는 인체의 지방배설 기능에 영향을 준다. 비타민C 함량도 매우 많은데 고급 녹차 중의 비타민 C의 함량은 0.5%나 된다. 비타민 C는 坡血病(파혈병)을 방지하며 인체의 저항력을 증강하고 상처 아무는데도 촉진작용을 한다. 차잎중 비타민 E의 함량은 차잎(干茶) 중량의 300-800ppm 주요하게 지방질 조성부분 중에 존재하는데 비타민 E는 일종 항산화제로써 인체중의 지방질의 과산화 과정을 제지하는 역할을 하기에 抗로화 역할을 한다. 차잎중 비타민 K의 함량 또한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차물 5컵을 마시면 인체의 수요량을 만족시킬 수 있다. 비타민 K는 간장합성응혈소를 촉진할 수 있다. 3) 광물질 원소 차잎중에는 여러 가지 광물질 원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P,K,Ca, Mg, Mn, Ag, S 등 이런 광물질 원소중의 대부분은 인체 건강에 유익한 것이다. 차잎중의 F 함량은 매우 많은데 평균 100-20ppm 좌우인데 기타 식물보다 함량이 훨씬 많다.
몇 천년의 역사 흐름속에서 천태만상의 차류의 재배, 발전과 변천은 입으로 씹어서 먹는 방식, 삶아서 즙을 마시는 방식, 말리워서 저장하는 방식, 쩌서 빵 만들어서 먹는 법, 볶아서 먹는 법, 백차, 황차, 흑차, 오룡차, 홍차 등 여러종류의 차의 발전과정을 거쳤다. 오늘날 풍부하고 다채로운 차류는 역대 천만명의 茶人들의 창조성과이다. 차의 사용은 최초의 茶樹의 신선한 잎을 씹는데로부터 시작한 것이다. 이런 최초의 원시적인 이용방법으로부터 진일보 발전한 결과는 삶아서 즙을 마시는 방법이다. 삶아서 먹는 방식은 현대의끓여서 마시는 방식과 비슷하다. 차가 음식요리로 쓰이는 것은 宴子春秋에 기재되어 있는데 현재 어떤 지방에서는 여전히 이런 풍습을 답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운남성의 基諾민족은 지금에도 차무침을 먹는 습관이 있다. “차무침” 반찬은 신선한 차잎을 비벼서 부서러기를 그릇에 넣어 적은량의 황과 잎, 마늘, 고추, 소금 등 조미료를 넣은 다음 샘물을 넣고 저어서 맛있고 입에 맞는 요리로 만드는 것이다. 송조 차제조기술 발전이 매우 빠르다. 당조로부터 송조사이에 차붐이 불기 시작하여 새 품종의 차 제작을 촉진했다. 태평천국 2년시 龍風茶를 만들었는데 북송 위나라(962-1033년) 시기 蔡君慕이 창조했다는 설이 있는데 龍團風餠 이라고도 불렀다.명조에 와서 사람들은 龍風茶의 결점을 점차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시간이 많이 들고 물에 불구었다 즙을 짜내는 것은 차향을 많이 감소하는 것이므로 쩌는 방식으로 개선의 필요성을 느꼈다. 명태종 주원장은 명령을 내려 쩌서 마시는 것을 성행시켰다. 당송시기 靑茶 볶는 기술이 싹트기 시작했는데 명조에 이르러서는 완화되기 시작했다. 청녹차 볶는 제작방법은 고온에서 청색을 없애고 비벼서 부스러지게 만들어 다시 볶아서 더 부드럽게 만들어서 말리는데 이는 현대의 靑綠茶 제작과 매우 상이하다. 이로부터 중국의 靑綠茶 볶는 제작방법은 《전통공예》가 되었다. 명조부터 청녹차 볶음이 성행한 후 각지의 茶人들은 제작방법을 부단히 개혁하여 이후로 외형과 내질이 모두 특색을 갖는 靑綠茶 볶음을 만들어냈다. 록차는 중국에서 산량이 제일 많고 재배역사가 제일 오래되고 품종이 제일 많은 일류차이다. 전국 18개 産茶(區) 에서는 모두 록차를 재배하는데 매년 수만톤씩 수출한다. 중국 녹차는 세계 차잎 시장에서 녹차 무역량의 70% 좌우된다. 1) 西湖龍井 서호룡정차는 항주 서호의 산속에서 나는데 역사가 유구하다. 서호룡차의 집중산지는 獅峰山 등지로서 산지는 독특한 생태조건을 갖고 있는데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이 충분하고 년평균 기온이 16℃인데 년 강우량은 1500mm 좌우 특치 春茶 계절에 보슬비가 많이 내리며 토양이 두텁고 대부분 토질은 모래성 토질이다. 룡정차의 채집기술에는 상당한 연구가 있는데 세가지 큰 특점이 있다. 첫째, 早, 둘째, 연하고 부드러운 것으로 셋째, 勤 (부지런히 여러번 채집), 보통 일찍 청명전에 채집한 룡정차가 품질이 최고 좋은데 兩前茶라고 한다. 룡정차는 습관상 큰것을 채집하고 작은 것을 두는데 보통 春茶 전기에는 매일 채집하거나 하루 건너서 채집하고 중,후기에는 몇일 사이에 꼭 한번씩 채집한다. 때문에 전년 차잎계절에 차잎을 30차 좌우 채집해야 된다. 룡정차는 13등급으로 나누는데 1,2,3은 고급 룡정차이고 4-6급은 중급 룡정차이며 7급 이상은 저급 룡정차이다. "서호 룡정차"는 잎이 넓고 연하며 외형이 빳빳하고 아름다우며 색깔이 초록색이고 외형이 납짝하고 매끈하며 탕색이 맑은 초록색이며 란같은 향기가 나며 맛이 달고 시원함으로써 上品으로 불리운다. 룡정차는 마실때 대부분 유리컵을 쓰는데 85℃ 좌우 끓인 물에 타서 1분후에 뚜껑열어서 마시는데 꾸껑을 너무 오래 닫아두면 억지로 익힌 맛이 난다. 2) 黃山毛峰 황산풍경구에서 해발 700-800m의 도화봉, 자운봉, 운곡사, 송격연,일대가 특급 황산모봉의 주산지이다. 풍경구 변두리의 황구, 강촌, 양촌, 방촌 등도 황산모봉의 중요 산지인데 현재 황산모봉의 재배는 이미 황산산맥 남북의 황산시, 휘주구, 황산구등지에까지 확대되었다. 기후는 다뜻하고 강우량이 충족하고 년평균 온도가 15℃-16℃이며 년 평균 강수량이 1800-2000mm이다. 토양은 황색토양으로써 토층이 깊고 두터우며 토질이 부드럽고 투수성이 좋고 풍부한 유기질과 P, K 비료가 함유되어 있으며 산성을 띠고 있어 (PH4.5-PH5.5) 차나무 성장에 적합하다. 우월한 생태환경은 황산모봉의 자연품질과 품격형성에 극히 양호한 조건을 주었다. 황산모봉은 부드럽고 연한 차잎을 채집하는데 청명 전후로 채집한다. 질과 신선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오전에 채집해서 오후에 차 가공을 하거나 오후에 채집해서 그날 저녁으로 차 가공에 들어간다. 특급 황산모봉은 중국 모봉중의 주품으로 불리우는데 그 형태는 참새 혀와 같아 섬세하고 튼튼하며 뾰족하고 털이 나 있으며 색은 상아같고 잎은 금황색, 향이 맑고 황색은 깨끗하고 맛은 신선하고 진하며 맑고 잎바탕은 연한 노란색이고 송이를 이룬다. 그중 “金黃片”과 “상아색”은 특급 황산모봉으로써 외형은 기타 모봉과 부동한 2대 선명한 특징을 갖고 있다. 3) 洞庭碧螺春 碧螺春은 강소성의 오현 태호 동정산에서 나는데 기후가 온화하고 년 평균 기온이 15.5℃-16.5℃이며 년 강우량은 1200-1500mm이다. 태호 수면은 수증기가 증발하여 안개가 자욱히 끼여 공기가 습윤하며 토양은 미산성 혹은 산성을 띠고 거기에 토질은 부드러워 차나무의 생장에 매우 적합하다. 洞庭碧螺春의 산지는 중국에서 유명한 차와 과일나무를 겸작하는 산지로써 복숭아, 배, 자두, 감, 귤, 석류 등을 모차 재배하여 상호간에 향기를 흡취하여 피라촌은 과일냄새가 진하다. 碧螺春의 채집 기술은 매우 뛰어났다. 채집에는 3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채집을 일찍한다. 매년 춘분 전후로 채집하는데 谷兩 전후로 끝낸다. 춘분부터 청명까지 채집 제작한 차의 품질이 제일 우수하다. 둘째, 연한 것으로 채집한다. 셋째, 깨끗하게 채집한 碧螺春은 7급으로 나누는데 차잎은 1-7급까지 점차적으로 커진다. 제작하는 과정에서 솥의 온도 잎 넣는 량, 힘쓰는 정도 등은 급이 낮아짐에 따라 증가된다. 즉 급이 낮으면 솥 온도는 높고 투입량도 많고 외형을 만들때 힘을 많이 가한다. 碧螺春의 매 한가닥 차잎은 가늘고 고불고불하여 나사 같으며 잎 전체에 털이 있으며 녹색으로써 향기가 진하고 맛이 신선하고 순수하며 달고 진하다. 碧螺春을 마실때는 투명한 유리컵을 쓰는데 먼저 70℃-80℃ 끓인물을 유리컵에 부어넣고 차를 후에 넣는다. 차를 넣으면 물속에 가라앉는다. 홍차는 발효차류로써 중국 홍차 종류는 비교적 많고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중국 특유의 工夫 홍차와 소종 홍차 외에 인도 스리랑카와 비스한 홍비차도 있다. 홍비차는 세계에서 소모량이 제일 많은 차류인데 중국도 1957년 후 홍비차를 시험 제작하여 현재는 중국 수출차의 중요한 부분으로 되었다. 1)祁問紅茶 祁問紅茶는 중국 전통 공부 홍차의 진귀한 품종인데 백여년의 생산 역사를 갖고 있는데 주로 안휘성에서 재배되나 그 주위의 성에도 소량으로 재배되고 있다. 재배지역의 지리위치는 안휘성의 남쪽 북위 29°55′, 동경 107°50′에 위치해 있다. 차원의 토지는 비옥하고 부식질 함량이 비교적 많고 아침 저녁 기온차가 크고 늘쌍 구름과 안개에 둘러싸여 있고 일조시간이 짤아 차나무의 생장에 천연환경을 제공해 주어서 “ 紅”의 독특한 향기를 빚고 있다. 祁問紅茶의 채집 표준은 비교적 엄격하며 여러차례 갈라서 잎을 남겨두면서 채집하며 春茶의 채집은 6-7차로 나누고 夏茶는 6차로 나누어서 채집하며 가을차는 적게 혹은 채집을 하지 않는다. 祁問紅茶는 외형이 아름답고 “보석광”이 있고 잎이 세밀히 연결되며 향기가 진하고 오래가며 꿀사탕같은 냄새가 있으며 란초향이 약간 있으며 탕색이 붉고 맛이 진하며 감칠맛이 오래가고 잎바탕은 연하며 붉고 맑다. 이 차는 품질이 뛰어난다. 2) 眞紅工夫 운남이 주요 산지인데 북위 23°27′부근 북회귀선 좌우 3° 초과되지 않는 정도 범위내에 위치하고 있는데 운남은 세계 차잎의 원산지로써 차엽의 시발점이다. 운남성은 양열이 한계절에 있고 량이 한계절에 있는 기후 특점을 갖고 있다. 전년 평균기온은 15℃-18℃ 사이에서 유지되고 밤과 낮의 평균 기온차가 10℃ 이상이다. 3월초부터 11월말까지 1년에 9개월 동안 차를 채집할 수 있다. 때문에 眞紅工夫의 품질은 계절성 변화를 갖고 있다. 보통 春茶는 夏, 秋茶 보다 좋다. 眞紅工夫는 보드라운 털이 돌출한 것이 그의 품질의 특점의 하나이다. 그 털색은 담황, 국황, 금황 등 류로 나누는데 봄철에 채집 제작한 것은 색이 연하고 담황색을 띠고 夏茶는 대부분이 국황색이고, 秋茶는 금황색이다. 春茶는 잎 줄기가 크고 경도가 좋고 잎바탕이 연하고 고르다. 夏茶는 양계에 처해서 차잎의 생장이 빨라 싹의 털이 길고 선명하지만 경도는 좀 낮고 연한정도가 춘차보다 덜하고 잎은 약간 단단하다. 秋茶는 간량계절에 처해 있어 차나무의 생장, 신진대사가 약해져 차는 가볍고 경도가 낮고 연한정도가 춘.추차보다 못하다. 眞紅工夫는 외형이 조밀히 결합되고 크고 干茶는 색깔이 검고 윤택이 나며 금색털이 선명하며 탕은 발고 향기가 오래가며 맛이 진하고 신선하고 시원하며 자극성을 갖고 있다. 잎바탕은 붉고 연하며 맑다. 우롱차의 또 하나의 이름은 청차인데 반발효차류이다. 오룡차는 녹차의 청향과 화향을 갖고 있는 외 홍차의 진한맛도 있다. 오룡차 종류는 차나무 품종의 특이성에 의해 각자의 독특한 풍미를 형성하는데 산지가 다름에 따라 품질도 많은 차이가 있다. 1) 無荑岩茶 이 차는 무이산에서 주로 생산이 되는데 복건성 동북부 무이산 경내에 위채해 있다. 북위 127°15′, 동경 118°01′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데 평균 해발은 650m이다. 무이암차는 깎아지는 절벽의 바위사이, 돌사이의 구조를 이용하여 “분재식” 차원을 만들어 재배한다. 기후가 따뜻하고 겨울에 온화하며 여름에는 시원하며 년 평균 기온이 18°-18.5°이며 우량이 충분하고 년 강우량이 2000mm 좌우인데 년 평균 상대적인 습도는 80% 좌우이며 일조는 좀 짧다. 차원의 토양은 우호하고 토층은 두텁고 부드러우며 비료작용이 좋다. 채집시간에 따라 수백가지 품종으로 분류하였다. 차 이름이 많고 복잡한 것이 이 차의 특징이다. 차산지의 다름에 따라 정암차, 반암차, 주차로 나눈다. 정암차는 무이암 중심지대에서 나는 차잎인데 그 품질이 좋고 향도 오래간다. 반암차는 무이암 변두리 지대에서 나는 차잎인데 고암차보다는 못하다. 珠茶는 무이암 변두리에서 나는 차인데 품질은 또 한층 떨어진다. 암차의 채집은 기타 차채집과 다름에 따라 중간의 핀 곳을 주리 채집한다. 春茶는 곡우 후 입하전에 채집하고 夏茶는 하지전에 채집하고 秋茶는 입추후에 채집한다. 제일 좋은 채집시간은 오전 9-11시, 오후 14-17시 사이이다. 무이암차를 타 마시는데는 특이한 점이 있다. 차탕의 향기를 입으로 마셔서 후두로부터 다시 코로 뿜어낸다. 건속 3번 하면 “삼기”라고 하는데 향기로써 상품을 감별해낼 수 있다. 무이암차의 향기는 란초보다는 오래오래가며 맛이 순수하고 생기를 돋구어주며 감칠맛이 있고 진하게 타 마셔도 쓰지 않다. 차 줄기가 튼튼하며 색깔이 청갈색으로써 윤기있고 밝은 “보석광”을 띤다. 잎면은 개구리 껍질과 같은데 점은 백점인데 “개구리등”이라고도 한다. 잎바탕은 분홍색으로써 매우 파랗다. 중국 차잎이 유럽에 수입된 것은 무이암차로부터 시작했다. 2) 철관음 철관음의 원산지는 복건성 안계현인데 또 하나의 이름은 홍심관음 혹은 홍양관음이라고도 한다. 안계현 지역은 아열대 계절풍성 기후지역으로써 년 평균 온도는 15℃-18.5℃ 최고 기운은 39.3℃에 도달하며 최저기온은 0.3℃일때도 있는데 7,10℃의 온정적인 온도의 합계는 4825℃-5920℃에 달하며 ㅁ상기는 260일-324일인데 년 일조시간은 1800시간 좌우이다. 년 강우량은 1700mm-1900mm로써 상대적인 습도는 78% 이상이다. 산지의 대부분 토질은 산성 붉은 토양으로써 PH치가 4.5-5.6 토층이 두터워 차재배에 적합하다. 철과음은 원래 차나무 품종 이름인데 오룡차 제작에 적합하기 때문에 오룡차 성품에 따라 철관음이라고 한다. 순수한 철관음은 관목형으로써 나무는 우로 펴져 있으며 가지는 옆으로 뻗고 잎은 수평상태로 나있다. 잎 형태는 타원형으로써 잎 변두리는 톱날같은 날이 있는데 날 사이는 매우 성기고 뾰족하지 않고 잎면은 파도치면 불룩하게 일어나 있으며 뒤로 약간 번져져 있으며 잎 끝이 약간 오목하고 왼쪽을 약간 기울어져서 드리우져 있다. 잎의 근육이 두텁고 잎색 짙은 녹색이며 매끈하고 잎줄기 밑부분은 약간 굵고 둔하다. 품질이 좋은 철관음은 차줄기가 구부러지고 튼튼하며 무겁다. 색깔도 선명하고 윤기가 있으며 잎은 표면은 백상을 갖고 있는데 이는 우량 철관음의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이다. 잎의 바탕은 명랑하고 비단면과 같은 광택이 있고 탕색은 금황색으로써 진하고 맑다. 탕맛은 순수하고 달고 신선하며 입에 들어가면 꿀맛이 남아있다. 복건의 가주, 하문, 장주 및 광동의 조산일대, 대만에서는 관음차를 전통적인 “工夫茶” 마시는 법으로 마신다. 먼저 도자기 주전자에 2분의 1, 혹은 3분의 2 정도의 차잎을 넣고 끓이는데 특이한 향이 코를 찌를때 백자기 잔에 부어서 마신다. 한가지 적게 조금식 마시면 일종의 향수이다. 3) 대만오룡 주요산지는 대만이다. 대만오룡은 오룡차중에서 발효가 제일 오래된 홍차에 제일 가까운 차이다. 산화 정도는 50%-60%이다. 품질이 좋은 대만오룡차는 차싹이 크고 실하며 흰 털이 선명하고 차잎의 줄기가 짧고 홍, 황, 백삼색을 함유하고 있어 신선하고 화려하다. 탕색은 호박색같은 귤황색을 띠는데 차잎바탕은 담갈색에 변두리가 약간 붉다. 잎 근기부분은 담록색을 띠고 잎이 완정하고 싹잎이 가지에 딱 붙어있다. 대만오룡차를 마실때 탕에 백미지주 한방을 떨궈 넣으면 맛이 더 좋다. 백차는 약간 발효한 차이다. (미문발효) 백차는 주로 복건성의 복정정, 송계, 건양등 현에서 많이 난다. 대만에서 소량으로 난다. 백차는 채용하는 원재료가 不同한데 芽茶와 葉차(잎차) 두가지로 분류한다. 백차는 보통 싹잎에 흰 보숭털이 많이 나 있는 품종으로써 제작한다. 흑차는 보통 거칠고 늙은 차잎으로 만드는데 쌓아서 발효하는 시간이 길어 잎의 색이 기름진 흑색 혹은 흑갈색이어서 흑차라고 부른다. 흑차는 주로 변방지역의 소수민족들이 마시게끔 공급하기 때문에 변방차라고도 한다. (변방에 파는차) 흑모차는 각종 긴 압차 제작의 주요 원료이다. 흑차는 산지와 제작방법의 차이로 호남흑차, 호북로청차, 사천변차, 전계흑차로 구분하다. (전은 운남성의 약칭, 계는 광서성의 약칭) 1) 화차 종류화차의 또 하나 이름은 성화차 혹은 흑화차라고도 한다. (꽃에 꺼실려서 만든 차라는 뜻) 차잎이 꽃향기를 흡취해서 마시면 차맛도 있고 꽃 향기도 있다. 주요산지는 복건의 복주, 녕덕, 사현, 가오의 소주, 남경, 양주, 절강의 금화, 항주, 안휘의 금구, 사천의 성도, 중경, 호남의 장사, 광동의 광주, 광서의 계림, 대만의 대북 등지이다. 내부 판매시장은 주요하게 화북, 동북지역이다. 2) 잣스민차 잣스민차는 화차의 대종산품으로써 산지는 광범위하고 산량이 최고 많고 품종이 풍부하며 판배지역이 제일 넓다. 잣스민차는 향이 진한 음료수로써 우아햐다. 예술품이기도 하다. 잣스민 차는 가공과 건조를 거친 차잎으로 곧 필려고 하는 잣스민 꽃봉우리와 같이 넣어 꺼실러 만든 재가공차이다. 그 색, 향, 미, 형은 차싹의 종류, 품질 및 꽃의 품질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다종 잣스민차는 녹차를 말리는 것을 주요 원료로 하는데 통칭해서 잣스민공청이라고 한다. 이런차의 공동 특점은 외형이 모양이 가늘고 고르며 정연하고 색깔이 흑갈 색이며 기름지다. 향기는 신선하고 오래가며 맛은 순수하고 시원하며 탕색은 황록색으로써 명쾌하고 잎의 바탕은 고르고 부드럽다. 룡정, 대방, 모방 등 특종 록차을 이용하여 화차를 만드는 것도 있는데 모두 잣스민차라고 한다. 대표성 품종으로는 잣스민 대백모, 천산은모, 잣스민 소맹도 등이다. 3) 계화차 계화는 향맛이 진하고 고급적이고 우아하며 오래간다. 계화는 여러 가지 차에 적응이 잘 되는 향기로은 꽃인데 화차를 만드는 계화는 주로 금계, 단계, 은계, 사계화 등이 있다. 계화차는 주요하게 계화홍청과 구화우롱이 있다. 계화홍청은 계화차중의 대종품종으로써 광서계림, 호북 위녕의 산량이 제일 많다. 특점은 외형이 가늘고 정연하며 검은 록색이며 기름지며, 꽃은 금황색으로써 향기가 진하고 오래간다. 탕색은 록황색으로써 명랑하며 맛이 향기롭고입에 맞다. 규화우롱은 “철관음”의 고향 복건 안계 차 공장의 전통 수출 산품이다. 주로 그해 혹은 그 다음해 여름, 가을차를 원료로 해서 만드는데 품질의 특점은 차잎이 굴고 실하며 색이 윤택나는 갈색으로써 향이 우아하고 오래가며 맛이 순수하고 감칠맛이 있으며 탕색은 귤황색으로써 명쾌하고 잎바탕은 짙은 갈색이며 부드럽다. 4) 緊壓茶 각종 부스러기 차를 재가공하여 쩌서 눌러 일정한 형태로 만든 차를 압제차라고도 한다. 긴압차는 사용한 차에 따라 록차 긴압차, 홍차 긴압차, 오룡차 緊壓茶와 흑차 緊壓茶로 나눈다. 5) 果味茶 차의 반제품 혹은 완제품에 과일즙을 넣어서 각종 과일차를 만든다. 이런차는 차냄새도 있고 과일향도 있어 맛이 특이하여 시장에서 매우 환영받고 있다. 6) 약용보건차 차와 한약 혹은 식품과 배합시켜 각종 보건차를 만드는데 원래 영양보건 작용을 하는 차잎으로 하여금 어떤 병을 예방하고치료하는 기능을 강하게 해준 다. 보건차은 종류가 매우 많은데 기능도 각기 다르다. 7) 含茶 음료 현대 음료 공업의 개발에 따라 음료의 영양과 보건기능을 더 중시하게 되었다. 차는 사람들이 공인하는 보건으로수로써 음료수중에 각종 차즙을 넣어서 새로운 음료수를 개발하는 한개의 길로 되었다. 차에 따라 마시는 법도 다양하다. 차 마시는 법을 간단히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1) 녹차 마시는 법 청결한 샘물 혹은 깊은 우물의 물로 70℃-80℃ 정도 끓여서 차를 타는 것이 제일 좋은데 탈때 투명한 유리컵에 타는 것이 적합하며 여성들이 여름에 마시는 것이 적합하다. 2) 홍차 마시는 법 차를 넣어 80℃-100℃ 되게 끓여서 차 향이 풍길때 차 주전자에 부어 넣어서 작은 잔에 부어 넣어 마시는데 겨울에 마시기에 적합하다. 3) 오룡차 마시는 법 오룡차를 차 주전자에 가득 넣고 끓는 물을 부어 넣고 뚜껑을 닫아 다시 끓여 끓는 물이 주전자 밖을 적시고 차향이 확 풍기면 컵에 차례로 따라 부어서 마시는데 컵중의 차탕의 색이 같다.
중국 차잎이 발견되어 이용된 역사는 인루 문명의 기원과 거의 마찬가지로 500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원시인류가 씹어서 생식하는 때로부터 인류문명이 고도로 발전한 오늘날까지 차잎은 중국인과 끊어지지 않는 연분을 맺었다. 특히 과학문화가 고속도로 발전하고 중국이 개혁개방 이후 여러 가지 많은 음료가 중국에 수입되고 있지만 차는 여전히 중국현대인의 첫번째 가는 음료이다. 그 이유는 첬재, 차잎은 영양가치고 높고 약효가 있으며 인체 필요한 화학성분이 많이 있고, 둘째는 차잎은 싸서 어느 누구든지 쉽게 접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끊임없이 차에 대해 연구를 통한 차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
□ 중국차의 역사 [발효의 유무와 색깔에 의한 분류] |
1. 보이 차(普珥茶)의 역사 파촉지사(巴蜀之師)는 사천(四川), 운남(雲南), 귀주(貴州) 3개성의 여덟게 작은 소수민족들로 구성되었고 그 중에 복족 사람들은 운남성 경계내에 살고 었었다. 오늘날 운남성의 여러 민족 중 포랑족(布朗族), 합와족(哈瓦族), 덕양족(德양族)은 모두 복족인의 후예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운남은 차의 고향이며 3천여년전 상주(商周)시대부터 운남의 복족 사람들이 이미 차엽을 생산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복족인의 조상이 운남에서 대대로 살아온 역사가 아주 오래되었고 분포 면적도 넓었으며 당시에는 차를 심을 수 있는 적당한 조건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복족인이 운남에서 차를 심은 시조(始祖)라는 학설이 있는데, 이것은 상주(商周) 시기에 차를 공물로 하였다는 것과 일치한다. 중국에 수많은 명차(名茶)들은 차 산지의 이름을 따서 명명을 한다. 예를 들어 항주(杭州) 서호용정(西湖龍井)의 용정차(龍井茶); 호남성 동정 호(洞庭湖) 군산(君山)에 생산되는 군산은침 (君山銀針) 사천성 몽산(蒙山)의 몽정차(蒙頂茶) 민북 무이산의 무이암차(武夷岩茶)....등등이 있다. 그러나 보이 차는 보이현(普?縣)에서 생산되지는 않고 경치가 수려한 서쌍판납( 西雙版納)에서 자란다. 보이현은 운남성의 중요한 무역지이며 차시장(茶市場)이다. 서쌍판납(西雙版納) 및 란창강(瀾 滄江)부근에서 생산된 차를 보이현에서 모아 출하하기 때문에 보이차라는 이름이 붙었다. 운남성에서는 대엽종 찻잎을 발효성분과 탄닌 성분이 많은 보이차로 만드는 데,보이차의 차맛은 아주 진하며 자극성이 있고 높은 향기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특성이 있다. 그 향기는 운남성 대엽종 보이차만의 특이한 향기이다. 잎에 감치는 맛과 진한 맛, 오랫동안 우려내도 처음 맛과 그대로인 보이차는 5∼6 차례 심지어 7∼8차례 우려내어도 처음의 향기와 맛이 변하지 않는다. 그 우려낸 차빛은 진한 등황색을 띠고 있다. 좋은 보이차는 검은 빛을 띠는 것이 아니라 등황색을 띤다. 찻잎은 충실하고 도톰하데, 잎의 색깔은 황녹색에 붉은 반점이 있고, 잎의 모양은 여러 찻잎이 뒤엉켜 있으며 흰빛을 띤 백호(白毫)가 많이 들어 있다. 옛날에는 보이차를 약용으로 많이 이용하였으며, 『 본초강목십유-本草綱目 拾遺 』에서 약리적 특성을 기록하기를:" 보이차의 향은 독특하며, 숙취를 깨게 하며, 소화를 돕고, 가래를 녹인다. 기름기를 제거하고 장을 이롭게 씻어 내며 진액을 생성한다. " 현대 의학계의 임상 실험을 통하여 증명된 것은 보이차는 인체의 지방질 및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현저히 낮추는 약효가 있으며 자주 마시면 체중을 감량시킬 효과가 있고 외국에서는 보이차를 감비차(減肥茶) 혹은 요조차(窈窕茶)라고 칭한다. 보이차를 만드는 방법은 발효청차(醱酵靑茶)를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다. 먼저 살청(殺靑 )을 걸친 후 유념을 한 뒤 덩이를 만들어 발효를 시키고, 다시 유념을 한 다음 다시 덩이를 만들어 발효 시킨 다음, 건조를 시키고, 다시 유념을 한 다음 건조를 시키는 8가지 공정을 거쳐야 보이차를 만들어진다. 보이차의 진품(珍品)으로는 모첨(毛尖), 아차(芽茶), 여아(女兒)등이 있다. 모첨(毛尖)은 곡우 전에 어린 찻잎을 채취하여 산차(散茶)로 만든다. 맛은 진하지 않으며 단차(團茶) 즉 고형차(固形茶) 로는 사용하지는 않는다. 아차(芽茶)는 모첨(毛尖) 찻잎보다는 센잎을 사용하며 주로 단차(團茶)로 만들고, 냥, 4냥 짜리 있으며 운남성 사람들이 특히 좋아하는 차종이다. 여아(女兒)차도 아차(芽茶)종류이며 곡우 후에 채취하며 보이차의 명품 중에 속한다.
홍차는 녹차와 반대로 찻잎을 발효시킨 차로서 찻물의 색깔이 빨간색이라는 데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흑차는 주로 변경지대에서 나는데 운남의 푸얼차가 그 대표적인 차다. 이미 만들어진 녹차에 물을 부어 다시 발효시켜 만든다. 푸얼차는 인체의 지방질을 줄이고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우롱차(烏龍茶)는 칭차(靑茶)라고도 하며 홍차와 녹차의 중간 정도로 발효시킨 것이다. 우롱차는 6가지 부류의 찻잎 가운데 공정이 가장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길다. 또 차를 끓이는 방법도 매우 신경을 써야하기 때문에 우롱차를 마시는 것을 가리켜 쿵푸차(工夫茶=공들인 차)를 마신다고 말하기도 한다. 살을 빼는 효과가 가장 두드러진 차로 이름이 높다. 황차는 제조법이 녹차와 비슷하다. 다만 찻잎의 색깔이 누렇게 되도록 3일 정도 밀폐시켜 둔다. 백차는 기본적으로 햇볕에 말려 만든다. 백차와 황차의 외형, 향기 및 맛은 매우 좋다. 북경 사람들이 즐겨 마시는 모리화차(茉莉花茶=쟈스민차)는 건조시킨 녹차가 다른 풍미를 쉽게 흡수하는 특성을 이용, 녹차와 신선한 모리화를 함께 훈제한 것이다. 3. 색상에 따른 분류 1) 백차(白茶) - 백호은침(白毫銀針) - 백모단(白牡丹) 2) 녹차(綠茶) - 옥록차 - 덖음차 - 말차 - 용정차(龍井茶) - 주차(珠茶) - 동정벽라춘(洞庭碧螺春) - 황산모봉차(黃山毛峰茶) 3) 황차(黃茶) - 군산은침(君山銀針) - 몽정감로차(蒙頂甘露茶) 4) 오룡차(烏龍茶) 烏龍茶는 중국 복건성에서 생산되는 무이산의 암차가 그 원류이다. 대만의 烏龍茶도 이 복건성의 烏龍茶가 대만으로 건너간 것이다.복건성 숭안현 남쪽에 있는 무이산은 산세에 변화가 많아 무이산 36봉 72암이라고도 한다. 해발 700여미터에 붉은색 사암으로 된 토양은 차나무가 무성하다. 여기에서 나오는 암차가 육계,수선,오룡,철라한,대홍포,기란,매점 등의 품종이 있다. 그 가운데 이름 난 것은 육계, 수선 그리고 烏龍茶이다. 무이암차의 찻잎을 따는 기준은 녹차와는 다르다. 녹차는 어린 찻잎을 따지만, 무이암차는 다 펼쳐진 찻잎을 딴다 찻잎 을 너무 일찍 따면 무이암차의 독특한 향기와 맛을 낼 수 없기 때문 이다. 그리고 너무 늦게 따면 찻잎이 너무 쇠어져서 좋은 차가 되지 못한다. 이러한 반발효차(半醱酵茶)는 기름기가 많은 요리에 잘 어울리는 제품으로 중국음식을 먹을 때 오룡차를 함께 마시면 입안을 산뜻하게 해주고 느끼한 맛을 없애주며 소화를 도와주는 작용을 한다. 오룡차를 마실 때는 의흥(宜興)의 소형 다기를 이용하여 다관에 절반정도 차를 넣고 90-100도의 뜨거운 물을 부어 우려 마셔야 제맛이 난다. 소형 다기가 없을 경우에는 일반 사기형 다관을 사용하여 무방하나 녹차나 홍차를 우려 마시는 다관을 사용하면 향이나 맛이 혼합되어 본래의 맛과 향이 떨어진다. - 철관음차(鐵觀音茶) - 수선(水仙) - 동정오룡차(凍頂烏龍茶) - 무이산 대홍포차(武吏山大紅袍茶) - 문산포종차(文山包種茶) - 백호오룡(白毫烏龍) 5) 홍차(紅茶) - 다즐링홍차 - 우바홍차 - 기문홍차 - 앗샘홍차 6) 흑차(黑茶) - 보이차(普耳茶) - 보이긴압차(普耳緊壓茶) |
□ 중국의 다양한 茶종류와 특징 기름진 음식이 주를 이루는 음식을 먹는 중국인들이 비만인이 드문 이유는 차를 즐겨 마시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중국인들이 마시는 차는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중국여행을 가기 전에 이를 간단히 알아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1) 롱징차(龍井茶) 2) 우롱차(烏龍茶) 9) 티에관인차(鐵觀音茶) |
중국차의 역사는 중국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기원전 28년에 이미 차의 해독작용을 발견하였고, 3000년 전 주나라 시대부터 기호품으로 널리 보급되어 왔습니다. 중국의 차는 다양한 산지에 걸맞게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1. 칭차 (淸茶) 2. 우롱차 (烏籠茶) 3. 홍차 (紅茶) 4. 전차 (塼茶) 5. 황차 (黃茶) 6. 바이차 (白茶) 이 밖에 최근에 운남성에서 재배되는 푸이차(普珥茶)의 효모균이 인체 지방을 분해하여 살을 빼는데 효과가 있다 하여 여성들에게 인기가 좋습니다. |
|
첫댓글 대단 합니다.
감사합니다................................^^
중국은 우리같이 천혜의 맑고 깨끗한 물이 많지 아니하니 궁즉통 오랜 생활의 발견을 통하여 차문화가 발전하는 원천이 된것 같습니다 점차 다가오는 자연의 오염으로 이제 우리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야 될 분야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