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향기로운 세상 원문보기 글쓴이: 白 雲
1970년대 박정희 6년간 핵개발... 2000년엔 원자력연구원 과학자들이 한번의 농축실험.!! 원자력연구원 과학자들 2000년 보고 없이 시도하다, 정부가 4년 후 뒤늦게 알고서 IAEA에 자진 신고하여 IAEA, 사찰단 파견… 그동안 쌓은 신뢰에 상처받은 경험도 있어... ▲ 지난 1982년 플루토늄 추출실험을 했던 서울 노원구 공릉동 옛 원자력연구소 내의 연구용 원자로 트리가Ⅲ. 트리가Ⅲ는 해체돼 없어졌다. 두 실험 사이에는 무려 18년의 시차가 있었고, 추출량으로 볼 때 핵무기 개발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실험이었다. 하지만 미국과 일본의 언론들은 핵개발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여기에는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이 핵무장을 추진했던 역사가 작용했다. 한국, 핵기술 상당 수준 축적 - 규약 없다면 무기 제조 가능
북한의 3차 핵실험을 계기로 우리나라도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는지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경우 원자력을 전력 생산과 연구 등 평화적인 목적으로만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핵무기 개발 능력이 있느냐를 평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한목소리로 말한다.
핵무기의 종류 Nuclear weapon (핵무기) (우라늄탄) (플루토늄탄) ------------------------------------------------------------ (위 모델이 우라늄탄이고, 아래 모델이 플루토늄탄) Fission weapons (핵분열탄=원자탄): 우라늄탄, 플루토늄탄 Fusion weapons (핵융합탄): 수소폭탄, 열핵폭탄 (수소폭탄) Other types (다른 유형의 핵폭탄=사실상 수소폭탄이나 마찬가지): 중성자탄, 순수 열핵폭탄 http://en.wikipedia.org/wiki/Nuclear_weapon 잠수함 발사 핵탄두(=수소폭탄=열핵폭탄) Trident II (D-5) =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s http://en.wikipedia.org/wiki/Nuclear_weapon_design 핵무기
종류 가장 간단한 핵무기는 핵분열을 이용한 무기이다. 핵물질을 임계 질량 이상으로 모으면 연쇄 반응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원자 폭탄이라고 한다. 보다 큰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핵융합 반응을 이용한다. 핵분열 폭탄을 이용하여 중수소나 삼중수소, 리튬 등을 순간적으로 가열/압축하여 핵융합 반응을 일으킨다. 이 원리를 이용한 수소 폭탄은 원자 폭탄의 수 백배 이상의 파괴력을 지닌다. 그밖에도 여러 종류의 핵무기도 있다. 핵무기 주위를 적당한 물질(코발트나 금) 등으로 감싸서 방사능 낙진의 양을 늘리는 ‘Salted’ 핵무기들도 있다. 그리고 고속중성자를 이용, 생물 살상에 쓰이는 중성자 폭탄도 있다. 전술핵 이 부분의 본문은 전술 핵무기입니다. 전술핵은 위력이 킬로톤 이내인 전술 무기이다. 이는 매우 효율성, 경제성이 있는 전투 수단이다. 재래식 대포로 발사할 수 있는 최초의 전술핵은 미국이 50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1953년 5월 25일 첫 발사실험을 한 'Mk9'라는 핵폭탄이다. Mk9는 280㎜ 직사포로 발사되며, 전장에서 핵무기가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 전술핵의 효시다. 전략핵 이 부분의 본문은 전략 핵무기입니다. 전략핵은 개개의 전장이 아닌 적의 영토 혹은 국가기반을 파괴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핵무기로, 핵을 적재한 대륙간 탄도탄(ICBM), 잠수함 발사 탄도탄(SLBM)이 있다. 1945년 8월 9일 핵무기 투하 전·후의 나가사키 시 http://ko.wikipedia.org/wiki/%ED%95%B5%EB%AC%B4%EA%B8%B0 핵무기의 종류에는 어떤것이 있습니까? 핵탄을 크게 핵분열을 이용한 원자탄과 핵융합을 이용한 수소폭탄으로 분류합니다. 기타 여러 가지 종류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모두 기본적으로 이상 두 가지 유형을 응용한 것입니다.
수소폭탄은 핵융합 반응을 이용하기 때문에 1억도 이상의 고온을 필요로 하며, 그 정도의 열을 낼 수 있는 방법은 원자탄밖에 없으므로 핵융합탄의 기폭제로 원자탄이 사용됩니다. 수소폭탄은 대부분(중성자탄의 경우 폭발력이 작음, 또한 원자탄도 300~400 kt 규모까지는 가능함) 위력이 크므로 주로 전략용으로 사용되고 용도에 따라 종류를 구분합니다. 일상적인 수소폭탄 외에 수폭에다 천연우라늄(U238)을 한겹 더 입혀 위력을 증가시킨 3F탄(Fission-Fusion-Fission)이 있는데 이중(二重)의 핵분열 반응으로 인한 방사능 낙진의 방출이 많아서 ‘더러운 폭탄’이라고도 합니다. 반면에 수폭의 위력을 아주 적게 하여 폭풍(파괴력), 열 및 낙진을 최대로 줄이는 대신, 핵융합시 방출되는 다량의 중성자를 이용하여 차폐물 속의 인원 살상을 목적으로 개발된 중성자탄이 있습니다. 모두 융합탄의 일종입니다. 이론적으로 연구된 있는 핵무기 종류로는 超플로토늄탄, 순융합핵탄, X선 레이저(스펙트럼탄)등이 있다. 초(超)플로토늄탄은 Pu보다 더 무거운 아메리슘(Am242)이나 큐리움(Cm245) 같은 인공핵종을 이용하여 초소형(超小型)으로 제작 가능한 핵분열탄입니다만 실제 제작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순융합폭탄은 핵분열탄을 기폭제로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핵융합을 달성하는 것이나 아직까지는 기술적으로 제작이 불가능하고, X선 레이저는 핵폭발시 방출되는 X선을 강화시켜 통해 원거리 목표물을 타격하는 것으로 냉전시 미국이 소련의 핵미사일을 타격하는데 사용할 목적으로 소위 스타워즈에 한 방법으로 연구한 것입니다. http://www.kinac.re.kr/infor/commonsense_v.asp?board_id=data6&bbs_category= 1&bbs_seqn=17&bbs_group_id=3&bbs_unique_id=999999700&bbs_depth=0 마지막으로..... 핵미사일 장착 가능하도록 소형화 하기가 어려워 "바보 핵탄"이라 불리는 우라늄탄에 대한 언급을 살펴보면.... Why It's So Hard to Make Nuclear Weapons Tuan C. NguyenDate: 22 September 2009 It took only a matter of hours last week for the United Nations’ nuclear watchdog agency to shoot down a news report that its experts had drafted a secret document warning that Iran has the expertise to build a nuclear bomb. "With respect to a recent media report, the 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reiterates that it has no concrete proof that there is or has been a nuclear weapon programme in Iran," the European-based agency said in statement. The report surfaced as a number of experts voiced concerns and suspicion about the potential threat posed by Iran’s nuclear energy program, reported to be one factor in President Obama's recent decision to abandon a long-range missile defense site in Eastern Europe as a way to curry favor with Russia, in turn with an eye toward getting Russia to help thwart Iran's nuclear ambitions. Amid all the fear and confusion, one fact remains: It is notoriously difficult to build an advanced nuclear weapon. “It's a very challenging goal,” Leonard Spector, deputy director of the 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said today in a telephone interview. “I'd say they're at least a good year or more away from developing a basic weapon," Spector said of Iran. "They need to fabricate a bomb, and to get it on a missile warhead is tricky.” The easy part There is more than enough information out there explaining how to produce a nuclear weapon. This became obvious in 1967 after three newly minted physics professors with no nuclear weapons experience were able to draw up a credible design for a nuclear bomb. The physicists had been hired by researchers at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to assess the difficulty of producing a nuclear weapon, a project known as the Nth Country Experiment. Russia was the second nation to develop nuclear weapons after the Unites States. So the question was: Who would be the Nth country? However, acquiring the necessary materials to fuel the bomb, such as weapons-grade uranium, proved to be difficult at the time. Weapons-grade uranium, or isotope U-235, is a highly unstable form that makes up less than 1 percent (.7 percent) of the concentration of uranium ore that is dug up. 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estimates that uranium needs to be refined to a concentration of at least 80 percent U-235 to be weapons grade, though upwards of 90 percent is preferable. Other significant hurdles remain, related to everything from enriching the material, to building a successful detonation device, to delivering it all with conventional missiles that may not be able to carry the extra weight of a nuclear warhead. Enriching uranium A popular way of achieving weapons-grade uranium is by using a gas centrifuge process, whereby a converted gaseous form known as uranium hexafluoride is released into a spinning cylinder. The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ng cylinder separates U-235 isotopes from the heavier U-238 isotopes. Hans Kristensen, director of the Nuclear Information Project at 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says uranium enrichment is now less of a barrier for nations like Iran should they decide to begin producing weapons. “If Iran lined up all their centrifuges and ran it long enough, after a year or so, they can enrich it to a point where it is weapons grade,” Kristensen told LiveScience. U-235 differs from U-238 in that it can undergo an induced fission chain reaction, a process that begins with using a subatomic particle known as a neutron to split the atom of a radioactive material like uranium into smaller pieces. The destructive power of a nuclear bomb is unleashed when an atom that has been split ends up sending its neutrons slamming into other atoms and splitting them, which in turn creates the chain reaction. The tricky part In order to sustain the type of chain reaction necessary for a bomb explosion, the atoms need to be held in a modified state known as “supercritical mass” so that more than one of the free neutrons from each split hits another atom and causes it to split. A supercritical mass is formed in a uranium bomb by initially storing the fuel as separate subcritical masses to prevent the bomb from detonating too early, and then joining the two masses together. The bomb also needs to be designed to allow enough of the chain reaction to take place before the initial energy from the explosion causes the bomb to fail. “Little Boy,” the first nuclear bomb that was dropped on Hiroshima during WWII, was fueled by uranium and detonated with a force equivalent to about 15 kilotons of TNT, killing as many as 140,000 people. But a major problem with uranium bombs, Kristensen said, is the fact that the material happens to be the world’s heaviest naturally occurring element (twice as heavy as lead). According to the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a nuclear bomb needs about 33 pounds (15 kilograms) of enriched uranium to be operational. The bulkiness of other bomb materials also make it harder to apply the technology to existing long-range missile systems. Kristensen says that a nuclear weapon fueled by plutonium would solve this problem since the required materials are lighter. For example, the U.S. Department of Energy estimated that about 9 pounds (4 kilograms) of enriched plutonium or Pu-239 would be enough to build a small nuclear weapon, though some scientists believe that 2 pounds (1 kilogram) of Pu-239 would suffice. Plutonium bombs are detonated using an “implosion” method, where enriched plutonium is kept in a ball-shaped chamber and surrounded by explosives. Once detonated, the force of the explosives sends a shock wave that momentarily compresses the material into a supercritical mass. A separate neutron source at the center is then released at just the right moment to trigger a chain reaction. “A lot of countries that develop the capability to make uranium bombs later get interested in plutonium bombs," Kristensen said. "You can fit them into smaller weapons and that allows you to achieve a much longer range with the missiles.” Plutonium's problems Using plutonium to make a bomb presents its own difficulties, however. For instance, “you have to build a huge, expensive chemical processing facility that also happens to be very dirty to extract, purify and compress the plutonium so it would fit into a nuclear warhead,” Kristensen explained. Scientists would also have to devise the nuclear warhead, a task Kristensen says that even nations with established nuclear weapons programs have found to be “very tough.” “Warheads are complicated little machines,” Kristensen said. “The entire detonation process happens within a tiny fraction of a second so the hard part is constructing a warhead with reliable separation capabilities throughout the various stages.” Other challenges include developing a missile guidance system and, if the missile will soar into space en route to its destination, a re-entry body to house the warhead and protect it from the extreme temperatures encountered as it travels back into the atmosphere. “It’s not enough to have the enrichment capability to produce weapons grade uranium or plutonium.” Kristensen said. “There’s a real gap from the point where you can enrich something to a degree needed to where you are building a warhead and saying we now have that technology.” A recent report by the EastWest Institute, a non-profit think tank, estimated that Iran is about one to three years away from being able to produce a weapon. Spector thinks such a time frame is still reasonable enough for the United States to dissuade Iran from continuing down that path. “All the really dangerous actions that Iran can do, haven’t been done," he said. “They do not appear to be manufacturing parts or developing designs for an advanced nuclear weapon. So if the U.S. can strike a deal with them where both sides can find some satisfaction, it may be enough to end the crisis.”
☞
규약 없다면 무기 제조 가능
이날은 'IAEA의 단골 문제아'인 이란·북한과 함께 세계 5위의 원자력 선진국인 한국이 중요 의제로 올랐다. 의제는 '한국 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해야 하는가'라는 것이었다. 한국의 원자력연구원이 1982년과 2000년 각각 플루토늄 추출과 우라늄 농축 실험을 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사회의 결론은 '안보리에 회부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IAEA는 "관련된 핵물질이 소량이고, 실험이 계속되는 징후가 없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한국은 '핵(核) 불량국가'로 취급받는 것은 면했지만 원자력 분야에서 쌓아온 국제적인 신뢰도에 상당한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었다. 그 굴욕의 발단이 된 것은 다 합쳐도 단 1g이 안 되는 플루토늄과 우라늄이었다.
한국의 핵물질 실험문제가 최초로 불거진 것은 그해 9월이었다. 당시 과학기술부 조청원 원자력국장이 "국내 소수의 과학자가 지난 2000년 1~2월 자체적으로 극소량의 우라늄 분리실험이 포함된 과학실험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실험 성격에 대해 조 국장은 "원자력연구원의 과학자들이 핵연료 국산화 차원에서 연구하다가 순수한 호기심에서 우라늄 235를 분리해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분리된 우라늄은 단 0.2g.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최소량인 15~20㎏의 1만분의 1에 불과한 양이었다.
조 국장의 발표 당시 IAEA는 사찰단을 원자력연구원으로 보내 확인에 나선 상태였다. 한국과 IAEA는 7개월 전 '순수 연구 차원에서 이뤄진 과거의 핵물질 실험이라도 모두 신고한다'는 새 안전 조치 규정에 합의했고, 그에 따라 과거 사례를 점검하던 정부가 4년 전 미처 보고되지 않은 실험을 알게 된 것이다.
이어서 전두환 정부 시절 한국의 연구자들이 플루토늄을 추출한 사실이 외신에 의해 추가로 알려지면서 한국의 핵물질 실험은 국제사회에서 큰 파장을 몰고 왔다. 1982년 서울 노원구 공릉동 당시 한국원자력연구소 연구용 원자로에서 플루토늄 추출실험이 실시됐고, ㎎(밀리그램·1000분의 1g) 단위의 플루토늄이 추출된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추출 당시 연구에 참여했던 장인순 전 원자력연구소장은 "순수한 과학 연구 차원에서 단 86㎎(0.086g)을 추출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 실험 역시 보고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1970년대 미국 정부가 '닉슨 독트린(아시아에서의 미군 역할 축소)'에 따라 주한미군 철수를 추진하고 베트남이 공산화되자 핵무기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그 과정에서 한국은 프랑스와 비밀리에 핵 재처리 시설과 기술 공급 계약까지 체결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미국의 압박 때문에 1976년 '핵개발 포기' 의사를 통보했다. 미국 CIA 등이 공개한 문건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10·26 사태로 숨을 거둘 때까지도 핵무기 개발을 비밀리에 추진했으며 미국은 계속해서 이런 움직임을 '감시'했었다.
그러나 원자력발전 관련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고 우라늄 원석을 발전용 또는 연구용 핵연료로 제조하는 기술도 갖고 있기 때문에 여건만 갖춰진다면 핵무기 제조는 불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는 1956년 미국과 ‘한미 원자력협정’을 맺고 원자력을 비군사적, 민간 목적으로만 이용하겠다는 전제하에 관련 기술을 도입했다. 이 조항은 지금도 유효하다.
그러나 기술적으로만 본다면 핵무기를 만드는 게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가 오랫동안 원자력 연구를 하면서 핵폭탄 제조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지식을 상당 수준 축적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핵무기를 만들려면 핵연료의 폭발을 유도하는 ‘기폭장치’ 기술이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화약무기를 많이 제조한 경험이 있어 개발이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핵연료다. 핵연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라늄 농축시설 또는 플루토늄 재처리시설이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연구용으로 우라늄 농축을 한 적이 있다. 2000년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레이저를 이용해 내부 물질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우라늄 0.2g을 농축하는 실험을 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받았다. 연구 목적이었지만 규약을 위반했기 때문이다.
북한은 우라늄을 농축하는 데 필요한 설비인 초고속 원심분리기를 갖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없다. 원심분리기를 만들려고 해도 국제적으로 수출입 제한 품목으로 묶여 있어 부품조차 구하기 어렵다.
플루토늄 재처리 기술도 어느 정도 갖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용후 핵연료를 다시 한 번 발전용 연료로 쓰는 ‘파이로프로세싱’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즉, 핵폭탄용은 아니지만 핵연료를 다룰 수 있는 기술은 있다는 얘기다.
|
출처: 향기로운 세상 원문보기 글쓴이: 白 雲
첫댓글 잘 보고 갑니다.
저의 단견으로는 이에는 이, 눈에는 눈이어야 합니다.
유엔에서 말하는 규탄 결의안 이런건 헛빵입니다.
우리도 만들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