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연준 금리인상 마무리 단계…금융시장 변동성 주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데 대해 한국은행은 4일 "이번 결정으로 Fed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마무리 단계에 다가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이날 오전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가 국제 금융시장 상황과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한 뒤 이같이 밝혔다.
이 부총재는 "제롬 파월 Fed 의장이 향후 경제 지표에 따라 금리를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하고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부인한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연내 정책 기조 전환 가능성 등에 대한 Fed의 입장과 시장 기대 간 괴리가 지속되는 등 향후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고 미국 은행 불안에 대한 시장의 경계도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T
이어 "앞으로 Fed, ECB(유럽중앙은행) 등 주요국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와 금융안정 상황에 따라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Fed는 3일(현지시간) 열린 FOMC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4.75∼5.00%에서 5.00∼5.25%로 0.25%포인트 올렸다. 이로써 한국과의 금리 차는 최고 1.75% 포인트로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美연준 10번째 금리 인상…한미 금리차 초유 1.75%p 벌어졌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3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렸다. 완만해지고는 있지만 쉽사리 꺾이지 않는 인플레이션에 3차례 연속 '베이비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밟은 것이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Fed는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또 올린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재 4.75∼5.00%인 미국 기준금리는 5.00∼5.25%로 올랐다.
Fed는 성명에서 "경제 활동은 1분기에 완만한 속도로 확대됐다"며 "최근 몇 달간 일자리 증가는 견고했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가계와 기업에 대한 엄격한 신용 상황은 경제활동, 고용, 인플레이션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고, 그 영향의 정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며 "Fed는 인플레이션 위험에 상당히 주의하고 있다"고 금리인상 이유를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이번 인상까지 합해 Fed가 작년 3월 이후 10회 연속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미국의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게 됐다.
미 기준금리 상단이 5.25%까지 오르면서 한국과의 금리 차도 최고 1.75% 포인트로 역대 최대로 벌어져 자본 유출 등에 따른 한국 경제 피해도 우려된다.
지난달 금리를 동결한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예정된 상반기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지에 대한 깊은 고민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금통위는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에도 가장 최근인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3.50%)하면서 22년 만의 가장 큰 차이를 유지했는데, 이번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역대 최대 수준으로 격차가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