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6.20이후 적용 자세한사항은 공지확인하시라예
출처: 여성시대 Au revoir
이제는 브금 올리기도 귀찮고-_-;;
저번 글 링크 올리기도 귀찮고-_-;;;
뭐, 볼 여시들은 알아서 보겠지...
그만 둔다 했는데 다시 또 돌아온 이유는
지 버릇 개 못준다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 언니들 사극보면 국가적인 커다란 행사가 있을때
왕이 이런 옷 입고 나온거 봤지?
이게 바로 구장복(九章服)이야.
구장복이라함은, 왕의 대례복(大禮服)으로
이 구장복은 종묘대제 같은 국가적 행세나
정초의 하례식 (설날에 모든 신하들이 임금에게 예를 올리는 날),
또는 왕이 혼일할때, 즉위할때 입는 옷임.
구장복이라 불리는 이유는 옷에 들어가는 무늬가 아홉가지이기 때문이고
조선시대의 왕은 9류 면류관과 함께 이 구장복을 착용하였어.
(참고로 황제는 12장복, 황태자, 왕은 9장복, 왕세자는 7장복임)
우리나라 역사에 구장복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고려시대였음.
고려 문종때 거란에게 고려왕을 친왕급 예우 하였던 의미로
구류관과 구장복을 받았다란 기록이 있음.
고려 초에는 황제의 국가였기에 고려황제는 12장복, 황태자는 9장복,
백관들은 품계에 따라 9장복, 8장복, 7장복을 입었고
후에 고려가 원의 침공을 받자 고려는 왕의 나라로 격하,
원에 대한 즉, 제후에 대한 예를 갖추기 위해서
백관들은 9장복을 갖춰 입지 못하고 원나라식 관복을 입기 시작함.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세워지면서
구장복은 조선의 왕이 입기 시작하고
백관들은 대례복을 금관조복으로 바꿔 입기 시작하였음.
조선시대는 명나라와 정상적으로 교류가 시작된 태종때부터
구류관과 구장복을 명나라에서 부터 받아 사용하였으며
(왕비의 대삼과 칠적관도 같이 받아서 사용하였음)
명나라가 멸망한 이후부터는 조선이 독자적으로
명나라 것과 비슷하게 만들어서 사용하였음.
(단, 왕비의 칠적관은 다시 만들 방법이 없었고
제작 기술을 가진 기술자가 조선에 없었기에 대수머리로 교체하게 됨)
이 구류관과 구장복 제도는 구한말까지 적용되는데
고종 황제가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난 후
십이류관(十二旒冠)과 십이장복(十二章服)을 사용하게 됨.

(내가 이 사진 찾을려고 중국 사이트까지 뒤졌음;; 이럴려고 배운 중국어가 아닐텐데)
중국 한나라때 황제의 면복임.
이 사진을 척봐도 구장복은 우리나라에 유입된
중국계 복식인 걸 한 눈에 알 수가 있지?
(중국에서 들어와서 중국과 닮은 것은 어쩔 수 없으나
후에 조선식만의 스타일로 변하게 됨.
그러니 중국 옷이네 빼꼈네 어쩌네 하면 나 빡침.)
구장복의 구성과 문양

(정신 없어도 알아보리라 생각함;;)
구성에 관해서는 http://www.jongmyo.net/sub/clothes/clo_jeonha.asp
요 사이트 가서 알아보면 됨. (십이장복이긴 하나 구성은 비슷함)
쓰기 귀찮아서 링크 걸어 놓는 거 아님
곤의는 조선 초에는 청색이었으나 조선 말에는 흑백으로 바뀜.
상의에 들어가는 문양
용(龍) - 왕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용을 수놓은 의미는 왕이 백성을 통치하기 위해 무궁한 조화를 부리는 것이
마치 용의 변화하는 모습과 같다는 의미로 어깨에 수놓음.
산(山) - 그림속에는 안보이는데 상의 등뒤쪽 가운데에 있음.
높은 산처럼 왕이 만민에게 혜택을 주고 백성에게 숭배와 존경의 대상이라는 의미.
불꽃 - 활활 타는 불을 상하며 광명을 뜻하고
어둠을 밝히는 환한 불빛과 같이 왕이 지혜와 총명으로 백성을 밝게 다스리라는 의미.
화충(華蟲 꿩) - 화려하고 아름다움을 의미.
종이(宗彛 원숭이,호랑이) - 호랑이의 용맹함과 원숭이의 지혜로움을 의미.
하의에 들어가는 문양
(폐슬 위에 그려져 있는데 그림속에는 소매에 가려져서
불문양만 정확하게 보이고 나머진 제대로 안보임)
조(藻 수초) - 수초의 화려함과 유연함, 깨끗함을 의미.
분미(粉米 쌀) - 사람의 생명을 기르는 쌀과 같이
왕은 백성의 생명을 보호하라는 의미.
보(黼 도끼) - 물건을 잘라내는 속성이 강한 도끼,
왕은 이처럼 선악을 분명히 가려 악을 가차없이 짤라내라는 왕의 결단을 의미.
불(黻) - 악을 멀리하고 선을 행하라는 의미.
왕세자는 용과 산의 무늬가 빠진 7장복을 입음.

십이장복을 입은 순종
(드디어 순종인지 아닌지 알았다;; 이 볏신)
황제가 입는 십이장복은 일(日), 월(月), 성진(星辰)
이 세가지 문양이 더 들어감.
일(日), 월(月) - 오른쪽 어깨에는 일, 왼쪽 어깨에는 월을 수놓음.
일 원안에는 삼족오(三足烏)를, 월 원안에는 두꺼비, 토끼 무늬가 있음.
성진(星辰) - 북두칠성을 말하며 밝게 비쳐서 무사하게 하라는 의미.
첫댓글 오오..멋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