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경기 화성갑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진행 중인 가운데 경찰과 선관위에 부정 선거 신고가 속출하고 있다.
30일 경찰과 선관위에 따르면 오후 5시 현재 각 후보 캠프에서 서로 불법·부정선거를 하고 있다는 신고전화가 30여건 접수됐다.
민주당 오일용 후보 측은 새누리당 서청원 후보 진영에서 승용차와 승합차, 트럭 등을 동원해 노인들을 투표소까지 실어나르는 이른바 '차떼기'를 하는 현장을 포착했다며 112에 신고했다.
3당 후보 캠프에서는 또 선거 당일 투표소 반경 100m 이내에 정당이나 후보자 명의로 된 투표독려 현수막을 게시할 수 없음에도 현수막을 부착했다며 선관위에 신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고를 받은 경찰과 선관위는 현장에 나가 사실관계를 조사하고 있다.
차량편의를 제공한 측은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차로 태워줄 것을 먼저 요구해 응한 것"이라며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찰에도 112신고가 잇따르면서 비상이 걸렸다. 앞서 경찰은 보궐선거 선거상황실을 설치, 선거에 대비해왔다.
화성시선관위 관계자는 "각 후보의 선거캠프뿐 아니라 시민들의 신고전화가 하루종일 쇄도하고 있다"며 "선거가 끝난 이후에도 선거법 위반 신고는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날 투표는 오후 8시까지 계속된다. 오후 5시 현재 투표율은 26.7%이다.
새누리당 서청원, 민주당 오일용, 통합진보당 홍성규 후보는 사전투표 기간인 25일 투표를 마쳤다.
댓글란:
http://media.daum.net/society/nation/metro/newsview?rMode=list&cSortKey=depth&allComment=T&newsid=2013103017540902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 화성갑 보선 부정선거 신고 속출 후유증 예고
차떼기로 노인들 실어 날라 현장 포착
선거 당일 투표소 100m내 홍보물 설치
투표율 32%… 4월 재보선 크게 밑돌아
○… 30일 화성갑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진행 중인 가운데 경찰과 선관위에 부정 선거 신고가 속출하고 있다.
30일 경찰과 선관위에 따르면 오후 5시 현재 각 후보 캠프에서 서로 불법·부정선거를 하고 있다는 신고전화가 30여건 접수됐다.
민주당 오일용 후보 측은 새누리당 서청원 후보 진영에서 승용차와 승합차, 트럭 등을 동원해 노인들을 투표소까지 실어나르는 이른바 ‘차떼기’를 하는 현장을 포착했다며 112에 신고했다.
3당 후보 캠프에서는 또 선거 당일 투표소 반경 100m이내에 정당이나 후보자 명의로 된 투표독려 현수막을 게시할 수 없음에도 현수막을 부착했다며 선관위에 신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고를 받은 경찰과 선관위는 현장에 나가 사실관계를 조사하고 있다.
차량편의를 제공한 측은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차로 태워줄 것을 먼저 요구해 응한 것”이라며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찰에도 112신고가 잇따르면서 비상이 걸렸다. 앞서 경찰은 보궐선거 선거상황실을 설치, 선거에 대비해왔다.
화성시선관위 관계자는 “각 후보의 선거캠프뿐 아니라 시민들의 신고전화가 하루종일 쇄도하고 있다”며 “선거가 끝난 이후에도 선거법 위반 신고는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 10.30 재보궐선거가 33.5%라는 기대 이하의 투표율을 기록하며 마무리되자 그 원인에 정치권의 눈과 귀가 쏠리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후 8시 투표 종료 결과 화성갑 보궐선거의 최종투표율은 32%(선거인 18만9817명 중 6만647명), 포항 남·울릉 재선거 투표율은 34.9%(선거인 21만156명 중 7만3429명)로 평균 투표율은 33.5%였다.
이 투표율은 서울 노원병 등 3곳에서 열린 지난 4월 국회의원 재보선 당시 최종투표율인 41.3%에 비해 7.8%포인트 낮은 수치다. 아울러 33.5%는 3개 선거구에서 열렸던 2011년 상반기 국회의원 재보선 당시 투표율인 43.5%에 비해서도 10%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중앙선관위는 이번 투표율이 그리 낮은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화성갑과 포항 남·울릉의 경우 전통적으로 선거 열기가 뜨겁지 않았고 투표율도 높지 않았던 지역이었던 탓에 중앙선관위 내부적으로는 33.5%보다 더 낮은 수치를 예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나마 30%선을 넘을 수 있었던 것은 지난 4월 재보선 때부터 도입된 사전투표제도 덕이라는 게 중앙선관위의 시각이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 같은 화제의 인물이 출마하지 않은 점 역시 투표율 저조의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
지난 4월 재보선 당시에는 ‘새정치 바람’을 일으키던 안 의원이 3개 선거구 중 인구가 가장 많은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에 출마함으로써 평균투표율을 견인했다는 게 중앙선관위의 분석이다.
그에 비해 이번 재보선에는 기존 정치권과 차별화될 수 있는 ‘독특한’ 인사가 출마하지 않아 전반적으로 선거 열기가 달아오르지 못했다는 것이 정치권 안팎의 시각이다.
이 밖에 국정감사 도중에 재보선이 치러지면서 유권자들의 시선이 분산된 점도 투표율 하락의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이번 국감에서는 국정원에 이어 군 사이버사령부와 국가보훈처까지 지난해 대통령 선거에 개입했다는 폭발력 강한 의혹이 제기돼 재보선은 대중의 관심 밖으로 벗어나고 말았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조용한 선거’는 사실 새누리당의 선거전략이기도 했다. 국정원 등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사건 등 정치적 상황이 여의치 않자 새누리당 서청원 후보 측은 지도부와 소속의원들의 선거 현장 방문을 최소화한 채 연예인과 유명 스포츠계 인사 등을 주축으로 선거유세를 했다.
이 같은 새누리당의 전략에 맞서 민주당은 정권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우고 화성과 포항 현지에 당 지도부를 투입해 분위기를 띄우려 했지만 2곳 모두 새누리당 텃밭인 탓에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특히 화성갑에서는 서청원이란 정치거물이 등장하면서 당선 경험이 없는 나머지 후보들과 일종의 ‘미스 매치’ 현상이 나타나면서 선거전 시작 전부터 유권자들이 흥미를 잃은 면이 없지 않았다.
아울러 소규모 총선급으로 예상했던 이번 재보선의 규모가 축소된 것도 투표율 하락에 한몫했다. 대법원이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들의 판결을 대거 미루면서 재보선 판 자체가 쪼그라들었고 정권심판이란 기존 재보선의 의미도 덩달아 축소돼버린 측면이 없지 않았다.
내 이럴줄 알았다. 이러니 선거날 투표하나마나지. 애써 투표소가가지구 투표했는데 이런식으로 부정선거 때려버리면. 투표한거 헛수고지. 따라서 지난 12월 대선 당시 부정선거 해당관련된거 전부 수면상에 드러나 대폭발이 일어나지 않는한. 선거시기면 부정
선거 끊이지않을거 불보듯 뻔하지. 또한 시민들 투표하러 안갈거다.
이번 재보선 부정선거를 계기로써 지난 대선당시 부정선거했던거 전부다 드러나가지구 대폭발하여 전국이 발칵뒤집혀 엎어졌으면 좋을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