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도리를 다하는
새한삼우 하면 소나무. 대나무. 매화, 松, 竹, 梅는 우리선조들의 시와 그림의 소재에 많이 애용되었다.
추운 겨울의 눈보라 속에서도 그 빛을 잃지 않고 견디어내는 생물학적 특성 때문에 군자(君子)나 선비의 기개(氣槪)를 상징하는 우리민족의 대표적 나무와 풀이다.
솔은 천박하거나 바위틈에서도 잘 자라면서 사시에 푸른 낙낙 장송이다.
대는 역시 사철 푸르고 푸르며 곧게 뻗은 자태 속에서 군자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윤선도(尹善道)의 오우가(五友歌)에서도 소나무와 대나무는 선비의 벗으로 논하고 있다.
매화 또한 강인한 생명력과 하얀 눈 속에서도 아름다운 꽃을 피워 다가올 봄이 멀지 않음을 나타내는 전령사이다.
여인네들의 정절과 군자들의 굳은 의지에 비유되기도 하는 매화는 추운 현실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모습으로 상징되어 우리민족 모두에게 사랑받는 꽃이 되었다.
세한삼우에 대한 우리 선조들의 애착이 깊었던 것처럼 사회가 혼란 할수록 사람의 도리를 다하는 도덕인이 되는 한 해를 마무리 합시다.
해정서예펜글씨학원카페 http://cafe.daum.net/jg7787
한국도덕운동협회 인천지회 http://cafe.daum.net/kmmA
해정 박종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