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에 십자인대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전방십자인대 - 정강이뼈와 허벅지뼈를 연결하고 있는 인대로 정강이뼈가 앞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주고 관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무릎관절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며 하퇴부가 전방으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후방십자인대 - 뒤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
전방십자인대파열시 증상은 어떨까요?

● 무릎에서 찢어지는 느낌이나 '탁'하는 소리가 난다.
● 무릎이 한쪽으로 떨어져 나간 느낌이 든다.
● 손상 후 통증과 붓기가 심해진다.
전방십자인대는 어떤 경우에 손상될까요?

● 갑작스런 동작의 정지 또는 무릎이 꽈배기처럼 비틀어지는 동작
● 외부의 물리적인 힘, 무릎 안쪽으로의 강력한 충격
● 무릎의 과신전
● 체중부하된 상태에서 과도한 안쪽으로의 회전동작시
전방십자인대파열 검사

기본적으로 X-RAY 촬영을 하게 되지만 확진은 MRI로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파열 시 모두 수술을 해야할까요?
모든 환자에게 수술적 치료를 권유하는것은 아닙니다.
무릎 관절의 불안정성이 높은 경우와 외부 및 육체적 활동량이 많은 경우라면 십자인대재건술을 시행합니다.
십자인대재건술이란 ???
무릎뼈의 힘줄을 일부 떼어서 전방십자인대 대신 이식하는 방법이구요.
일단 척추마취를 한 뒤 관절내시경이라는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가 위치한 자리에 정확히 터널을 뚫어 인대를 이식하는 방법입니다.



<이식건추출> <삽입 후 고정> <수술 후 모습>


힘줄은 자가건 or 타가건(동종건)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자가건 : 자신의 것을 떼어 이식하는 방법으로 자기힘줄을 이용합니다.
●장점 : 면역반응이 없고 빠른 대체가 가능하면서 비용부담 또한 적습니다.
●단점 : 다른곳의 힘줄을 떼어내기 때문에 그 부분의 기능이 감소할 수 있고 재활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타가건 : 다른사람의 몸에서 떼어낸 힘줄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다발성 인대손상이나 재수술에 이용합니다.
●장점 : 수술시간이 짧고 즉시 재활이 가능하며 장기적으로 자가건과 기능차이가 없습니다.
●단점 : 면역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식건 합병이 오래 걸립니다. 비용이 다소 높습니다.
십자인대재건술 후 유의사항

수술 후에는 보조기를 3개월정도 착용하게 됩니다.
이는 수술 후 봉합한 십자인대가 다시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한 목적입니다.
이 보조기에는 각도가 있어 점차 각도를 늘려 착용하면서 재활을 하게 됩니다.
십자인대재건술 후 재활
웰튼병원은 체계적인 재활프로그램으로 환자의 회복을 돕고 있습니다.
수술 후 0~2주
●관절가동범위 : 무릎굽힘 90도(0~90도)
●운동치료 : 근력강화운동, 등척성 운동 (대퇴근강화, 하지근력강화운동)

대퇴사두근 강화운동

엎드린 자세에서 무릎 최대한 펴기

누운 자세에서 다리 들어올리기 운동
수술 후 2~6주
●관절가동범위 : 무릎굽힘 90~120도
●운동치료 : 무릎굽힘증진, 스텝업, 발 뒤꿈치 들어올리기, 레그프레스, 자전거타기

무릎 폄 운동

무릎 굴곡운동
수술 후 6~10주
●관절가동범위 : 완전한가동범위 , 완전한체중부하
●운동치료 : 점핑, 가벼운 런닝 및 구체적인 스포츠 활동지속

고정자전거 타기 운동

무릎 폄금 저항운동

공을 이용한 스쿼트 운동

무릎 안정화 운동


이 외에 다른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지 상담전화 주시면 됩니다.^^
02-269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