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업 건강상태는... ‘성장성’·‘수익성’·‘안정성’·‘활동성’ 모두 경고등 켜져
- <商議·KoDATA> 1,612개 상장사 2022년 재무제표 분석한 ‘한국기업 건강도’ 발표 - 2년 연속 매출 순성장 이뤘지만, 분기별로 보면 ’21년 4Q 이후 4분기 연속 정체 - 영업이익 3분의 1 줄고, 이자비용만 3분의 1 늘어.. ‘이자빚 갚을 능력’ 반토막 - 商議, “코로나 기간보다 더 떨어진 기업활력 반전시킬 선제적 통화정책 필요”
우리 기업의 건강검진 결과가 나왔다. 수익성 지표에 경고등이 켜졌다.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3분의 1이 줄었지만, 이자비용은 같은 기간 3분의 1이 늘었고, 이에 따라 기업의 부채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은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기업의 안정성, 활동성 지표도 코로나가 한창이었던 2020년, 2021년보다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최근 한국평가데이터(KoDATA)와 함께 1,612개 상장사(대기업 159개, 중견기업 774개, 중소기업 679개)의 지난해 말까지의 재무상황을 각각 ①성장성, ②수익성, ③안정성, ④활동성 등 4개 부문별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표1> 2022년 기업건강도 분석 결과
[성장성] 2년 연속 매출순성장(12.1%), 영업이익은 3분의 1 줄어(-34.2%)
이번 조사대상 상장기업들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대비 12.1% 증가하며 2021년에 이어 2년 연속 순성장을 기록했다. 다만 성장세는 분기를 거치며 둔화 양상을 보였다. 분기별로 구분한 매출액 추이를 보면 지난 2020년 2분기부터 6분기 연속 성장해오다가 2021년 4분기부터 정체하고 있다.
<그림1> 분기별 매출액 추이(’20.1Q~’22.4Q)
총자산은 전년말 대비 6.5%, 3분기말 대비 0.1%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총부채는 전년말 대비 10.4%, 3분기말 대비 1.0% 늘어나 총자산의 증가폭을 앞질렀다.
영업이익증감률은 전년대비 –34.2%로 크게 후퇴했다. 이는 코로나 기간인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22.7%와 60.8%의 성장을 보인 것과 대조된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이 –44.1%, 중견기업이 9.2%, 중소기업이 –3.1%로, 대기업의 낙폭이 큰 것으로 나왔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4월 이후 무역수지가 15개월 연속적자를 기록하는 등 수출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에서 수출의 최전선에 있는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수익성] 이자비용 32% 증가, ‘이자빚 갚을 능력(=이자보상배율)’ 반토막
<그림2> 분기발생 이자비용과 기준금리
*2023년 6월 현재 기준금리 3.5%
영업이익이 줄어들면서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들도 동반하락했다. 매출액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은 4.5%로 전년대비 3.2%p 하락했고, 매출액당기순이익률(=당기순이익/매출액)은 3.6%로 전년대비 3.0%p 내려앉았다.
기업이 부담해야 할 이자비용은 전년대비 31.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급격히 오른 금리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2022년 대상기업에게 발생한 이자비용 14.2조원을 분기별로 나눠보면 각각 2.6조원, 2.9조원, 3.4조원, 5.2조원으로 점점 증가하는데, 이는 기준금리의 상승추세와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기업이 벌어들인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 전년대비(10.1배) 절반 수준인 5.1배로 나왔다.
[안정성] 부채비율 전년대비 4.8%p 상승. 자기자본비율 최근 4년래 최저 수준.
기업의 안정성도 악화된 것으로 나왔다. 대상기업의 부채비율은 79.9%로 전년대비 4.8%p 상승했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전년대비 4.6%p 오른 77.5%를, 중견기업은 6.2%p 오른 96.2%를, 중소기업은 0.4%p 오른 44.5%를 각각 나타났다. 기업의 차입금의존도(19.2%)는 전년대비 0.5%p 올랐다.
상의는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의 은행대출은 104.6조원 증가했고 회사채 발행은 5.9조원 감소했다”며,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운전자금 수요가 많이 올랐지만 회사채 시장이 얼어붙어 기업들의 자금확보 및 부채관리에 어려움을 더했다”고 밝혔다.
기업의 총자본에서 부채를 제외한 자기자본의 비중을 나타내는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총자본)은 전년대비 1.5%p 떨어진 55.6%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4년중 가장 낮은 수치다. <2019년 58.2%, 2020년 58.3%, 2021년 57.1%>
[활동성] 코로나 끝났지만, 기업만 여전히 자가격리중? 적극적 인센티브 필요
기업의 활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도 하락했다. 총자산에서 재고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최근 4년중 가장 높은 수준인 7.7%로 나타났다. <2019년 6.3%, 2020년 5.9%, 2021년 6.7%> 재고자산이 매출로 이어지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재고자산회전율도 10.6회로, 2019년 11.2회, 2020년 11.1회, 2021년 11.7회보다 크게 떨어졌다.
재고자산의 비중이 높고 재고자산회전율이 낮을수록 기업의 활동성이 약화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지난해 우리기업은 전국적으로 자가격리에 들어간 2020년, 2021년보다 더욱 위축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영업이익은 크게 깎이고 기업의 부채부담만 눈덩이처럼 불어나 기업현장의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기업활력 회복과 경기진작을 위한 선제적인 통화정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