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aver.me/xq3SFBI3
“자기만의 ‘고삐’를 쥔 채 나아가는 태도”…철학자 최진석이 해석한 ‘반야심경’
“붓다는 혁명가였습니다. 지금 우리 사회에는 붓다의 혁명적 아우라가 필요합니다.”
최근 불교 경전 ‘반야심경’을 현대적 시선으로 풀어낸 ‘건너가는 자’(쌤앤파커스)를 펴낸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명예교수의 얘기다. 반야심경은 600권에 이르는 반야경의 핵심 사상을 압축적으로 요약한 경전. 단 260자에 공(空) 사상의 정수를 담아 “가장 짧지만 가장 깊은 지혜가 담긴 경전”이라 불린다.
최 명예교수는 13일 전화 인터뷰에서 반야심경을 관통하는 키워드로 ‘건너가기’를 꼽았다. 건너가기란 기존의 법칙을 의심하고, 깨부수고, 자기만의 ‘고삐’를 쥔 채 나아가는 태도를 일컫는다. 그가 보기에 붓다의 삶이야말로 건너가기 그 자체였다. 왕자였던 붓다는 29세에 속세의 부귀영화를 모두 내려놓고 출가했다. 무한한 건너가기와 무한한 부정의 과정에서 붓다는 참된 지혜를 얻었다.
하지만 익숙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건너가는’ 일이 말처럼 쉬울 리 없다. 그러기 위해선 본인이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탐구하는 지적인 투쟁이 필요하다는 것이 최 명예교수의 설명이다. 보통의 사람들은 남이 만든 틀에 본인 삶의 주도권을 넘겨주기 쉽다는 것. 최 명예교수는 “자신에게서 솟아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부과한 것을 숙제처럼 하는 삶은 쉽게 지칠 수밖에 없다”고도 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최 명예교수는 이런 문제에 봉착한 것은 비단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의 시스템이 잘못됐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핵심은 ‘교육 개혁’이다. 자녀나 학생들에게 무엇을 알게 해주려 애쓰다가, 알고 싶어하는 마음 자체를 없애버리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 이에 이를테면 유치원 단계에서는 글자 교육보다 놀이를 강화해 아이들이 세상에 반응하는 방법을 스스로 찾아가게 기다려줘야 한다는 것이다. 최 명예교수는 “한 사람 한 사람 자기만의 고삐를 쥔 사회가 행복하다”고도 했다.
이런 생각은 인재론으로 확대됐다. 그는 “대한민국 인재들은 시킨 것은 세계에서 제일 잘하지만 자기가 무엇을 하고 싶어 하는지는 모른다”며 “무엇을 원하는지 자기한테 물어본 적도 없는 사람들끼리 모여 사는 사회가 도달할 수 있는 높이는 정해져 있다. 그게 지금 우리 사회가 빠진 ‘중진국 함정’”이라고 말했다. 사회 구성원 각자 삶의 철학이 있어야 국가의 철학과 비전도 생긴다는 게 그가 강조한 ‘반야심경의 지혜’였다.
https://naver.me/FEU46mNL 공=본무자성
최진석 반야심경
(소승) 인간은 오온의 연합이므로 공하다
(대승의 종교개혁) 오온의 각 개체단위에서 조차 공하다.
오온(五蘊) - 다섯 무더기 인간인식도구
오(五) - 다섯
온(蘊) - 쌓을 온
색(色) - 눈에 보이는 현상 세계, 존재하는 모든 것, 객체
수(受) - 받아들이다. 감각, 느낌, 상대와의 느낌, 감정
상(想) - 생각하다. 지각, 좋다, 나쁘다, 분별하는 것
행(行) - 판단의 결과, 의지를 냄
식(識) - 알다, 판별하다, 인정하다, 자세히하다. 명확히하다. 식별하는 능력, 마음, 전반적인 느낌.
색(色) - 객체로 있던 나와 너가 만났다.
수(受) - 상대를 처음 본 느낌
상(想) - 상대와 대화를 해볼까 고민 중 [판단을 해볼까 고민 중]
행(行) - 상대와 대화를 하고 자기 의견을 펼침, 판단의 결과
식(識) - 상대나 대화를 판단 후에 잔잔히 흐르는 느낌을 받아들임
그리 따져보면 오온(五蘊)이란 것을 객체적으로 나누는 것이 무의미함을 알 수 있다.
그 각각의 개체의 경계가 명확치 않다.
상대 혹은 대상과 안이비설신의로 관계를 맺을 때
받아들이거나 판단하는 상태나 느낌을 말한 것인데
1 다음에 2가 오고, 2 다음에 3이 오고, 3 다음에 4가 온다는 식은
인간의 인지 상태를 피곤하게 만든다 생각한다.
서양 철학처럼 분석하고 큰 줄기를 잡는 것은 좋다생각하지만
인간의 인지는 매우 빠르기에 오온(五蘊)을 일부러
구분할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하다.
그런데 정신분석학 입장에선 꼭 필요한 조치가 아닌가 한다.
최진석 님의 반야심경 해설에서의 공(空)은 본무자성으로 해석한다.
본무(本無)자성(自性)
본무(本無) - 기초, 근본, 기원이 없다.
자성(自性) - 본래의 성질, 스스로를 무엇이라고 정의내릴 단어.
본무자성 – a를 a이게 하는 것이 없다. 객체성을 부정한다.
본무자성 – 개인의 개성을 부정한다. 본질적인 존재가 아니다.
본무자성 = 공(空)이다.
공(空) = 인연(因緣) = 연기(緣起) = 객체는 관계성으로 존재한다.
색즉시공(色卽是空) - 객체는 관계성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객체의 실체는 없다.
공즉시색(空卽是色) - 객체는 관계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객체성은 있다.
즉의 해석이 중요하다.중국의 사유는 상호의존성을 말하는 데 불교는 상호침투성, 섞여 있음을 말한다.그런 의미의 단어가 즉이다.주자의 '성즉리'는 불교의 사유가 없으면 나올 수 없는 사상이다.
*주역의 도=일음일양, 노자의 도=유무상생
*세상 모든 것이 공하다는 것을 허무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예를들어 번뇌가 가득차 있늘 때 이 번뇌의 실체를 들여다보라. 자신이 만든 환상이 대부분이다. 이런 의미에서의 공을 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https://naver.me/xHDVDRsm
새로운 저곳으로 건너가는 사람의 (삶의) 태도
P. 005
이 말은 서강대 최진석 교수가 반야심경을 한마디로 축약한 글인데요. 그의 신간인 건너가는 자의 제목이 만들어진 배경입니다. 건너가는 자 책은 불교의 경전인 반야심경 뜻의 원문을 정확히 해석하고 현대어인 한글로 재해석한 단행본입니다. 정확한 명칭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인데요. 최진석 교수님이 여러 경전 중에서도 가장 높은 경지에 도달해 있다고 말합니다.
1. 경전 제대로 읽기
당신의 고삐는 무엇인가요?
세상에 수많은 종교가 존재합니다. 종교마다 경전이 있는 곳도 있고 없는 곳도 있습니다. 철학자인 최진석 교수님은 불교의 반야심경을 이번 책의 주제로 잡 습니다. 서적에서 한글 반야심경의 경에 주목을 하는 데요. 경이라는 글자는 보통 기준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경이라 들어간 단어 중 대표적인 단어는 경영입니다. 경영이라고 하면 회사가 생각이 나죠. 여기서 최 교수님께서는 한발 더 들어갑니다. 회사는 보통 이윤 한 가지 관념에만 가두는 것이 어울리지 않잖아요. 회사를 이윤 추구를 수단을 삼고 사회의 진화에 공헌하는 조직으로 정의를 내립니다. 즉 꿈과 비전을 바탕 으로 회사를 키우는 게 중요하다고 말해줍니다.
이때 회사를 사람의 관점을 달리 보면은 경전에 대한 역할을 알 수 있는데요. 철학자인 최진석 교수님은 경전에 대해 자기 소명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그것을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한다고 말하는데요.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읽지 않으면 그저 경전 안에 있는 내용과 구절을 곱씹기는 데만 매몰된다고 합니다
또한 이러한 태도로 경전을 바라보면은 삶에 도움도
되지 않은 종이 뭉치에 불과하다고 알려줍니다
2. 게으름은 행복을 쟁취할 수 없다
왜 행복하지 않은가?
행복한 사람과 불행한 사람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소명을 위해 사는 삶인지 아닌지로 갈릴 것입니다. 소명은 누군가가 부여받는 숙제가 아닙니다. 만약 누군가 부여를 한다면 신들린 사람이겠죠. 반야심경에서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저자의 반야 심경 해석을 통해 소명은 자신 안에 솟아나는 것임을 알 수 있는데요. 죽기 전에 반드시 이뤄야 하는 것, 그 것을 이루지 않고는 찝찝해서 견디기 어려운 것입니다
보통 불행한 사람은 소명 자체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 다. 소명이 없으면 자신이 무엇을 위해 사는지 모릅니 다. 그저 누군가의 말에 의해 살아가게 됩니다. 삶에 희망이 없으니 일락을 즐기면서 삶을 마감을 하는 것 이죠. 행복은 부지런히 스스로 쟁취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3. 일보후퇴 이보전진
무소유
무언가를 내려놓는 이유는 내려놓아야 더 많이 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힘을 패는 이유는 더세게, 더 정화히- 구사하기 위함입니다.
철학자인 최진석 교수님은 무소유에 대해 많은 사람이 무언가 가지려 하거나 무언가를 이루려 하거나 무언가를 쌓으려는 태도를 버려야 한다고 이해하는 분이 많다고 하는데요. 갖지 말라 쌓지 말라 뜻이 아니 라 소유하려는 태도를 갖지 말라고 합니다.
이 말을 8글자로 축약을 하면 <일보후퇴 이보전진>이 라는 말이 떠올랐습니다. 마치 그릇의 무엇인가 담겨 있다면 비우고 다시 채우거나 아니면 더 큰 그릇을 채우는 개념처럼 말씀을 해 주십니다
4. 피날레, 반야심경 가사 해석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어렸을 때 학교에서 견학차 절에 가면은 스님이 반야 심경 가사를 부릅니다. 들을 때에는 무슨 뜻인지 모르고 듣기만 했습니다. <건너가는 자> 도서에는 반야심경 가사도 해석이 자세히 돼 있습니다. 그중 마지막에 3번 연속으로 나오는 부분이 유독 궁금했습니다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마지막 후렴구
최진석 교수님은 이 주문을 산스크리트어의 음역이라고 알려줍니다. 아제는 아저씨가 아닌 건너간다는 의미를 가졌습니다. 누군가를 숭배하는 의미가 아니라 내가 나에게 건너가기를 독려하는 뜻인데요. 건너가 기로 한다는 내가 게을러지지 않도록 감독하는 주문이라고 해석해 줍니다
이 말을 더 쉽게 풀면은 내가 나와의 한 약속을 지키자는 굳은 각오를 뜻합니다. 그래서 3번이나 연속으로 나오는 거였군요. 이제 이해됐습니다! 아 그래서 서적의 제목은 건너가는 자가 나올 수 있었겠군요
https://naver.me/FOM2wBn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