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검도의 기본방향
검도에는 원칙과 목적이 있다.우선 그 정의를 머리에 두고 있는지의 파악이 되지 않으면 않된다.
1) 신뢰의 고착성과 착시성의 배재
- 자신이 작도한 그림이면 아무리 틀려도 옳게 보인다.
2) 산수는 수학과 설계를 파괴할 수 있다.
- 과겨에는 수많은 실수가 있었으나 CAD작업으로 많은 도움을 얻고 있는 실정이다.그래서 CAD는 오로지 1:1
3) 검증되지 않은 도면의 신뢰 금물
- 수정.보완 흔적(△)이 없는 초기 도면의 신뢰는 금물이다.
전 세계적으로 아무리 잘된 도면이라도 약 10%이내의 수정보완이 필연적이다.
4) 철저한 확인의 필요
- 연필로 작도한 그림이라도 출도 후에는 무조건 근거로 남게된다. 그래서 오작품과 도면과 설계자가 비교되는 법이다.
5) 적절한 소재의 선정과 정보파악
- 현재조달가능과 추후 대체 가능성을 확인 후 설계에 임하고 검도에 반영토록 한다.
6) 조립과 운송 방법등의 확인
7) 최신 설계기법의 적용
- 산업혁명이후 더 이상 발전된 기계요소는 없다.구식 방법을 고집한다면 창의력은 0% 이다.
2,검도의 단계 및 순서(제12단계)
1) 표현방법이나 규약의 확인
2) 각종기호나 약호의 모호성 확인
3) 표제란과 품번의 일치여부 확인
4) 누락된 품번이나 표기의 오류등을 확인
5) 재료절감 또는 적합성 여부등을 확인
6) 가공방법이나 제작성등의 고려여부
7) 오자 탈자 등의 여부 확인
8) 치수기입 방법의 확인
9) 관계조립 여부 확인
10) 상호 간섭관계 확인
11) 애매한 수식어나 표현등의 확인
12) IT 기본공차나 일반 공차의 적합성을 확인
3. 도면의 전체 및 부분의 파악
1) 전체조립도와 더 이상 상세한 부분 조립도의 누락 여부 확인(필요이상의 중복도 확인)
2) 조립도와 부품도의 순서 및 도번 품번 등의 확인
3) B.O.M의 LEVEL 확인
4) 상호관계되는 도면의 부분확인(SPEC)
5) Assam' & disassam'(분체 및 조립절차)시 누락된 요소나 참가하여야 할 부품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