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기호[計算記號, mathematical sign]
일반적으로 사칙연산(四則演算) 등 간단한 계산에서 사용하는 기호로서 연산기호라고도 한다. 넓은 뜻으로는 수학기호 전반을 가리킨다. 연산기호라고도 하며, 그 종류는 덧셈기호 +, 뺄셈기호 -, 곱셈기호 ×, 나눗셈기호 ÷를 비롯하여 등호(等號) =, 부등호(不等號) > <, 괄호 ( ) [ ] { } 등이 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postfiles8.naver.net%2F20110716_279%2Falwaysneoi_1310806621925lQf4v_PNG%2F%25BC%25F6%25C7%25D0%25B1%25E2%25C8%25A34.png%3Ftype%3Dw2)
수학기호의 의미
σ 소문자 시그마는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기호
Σ 대문자 시그마는 아래첨자와 위첨자를 기입하여 합에 관한 기호로 사용
i 아이. 허수단위. 제곱해서 -1이 되는 수입니다.
cosθ 코사인쎄타
√ 제곱근 또는 루트라고 읽습니다.
∫ 인테그랄 : 적분기호
± 플러스마이너스 :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라는 뜻
× 곱하기
÷ 나누기
≠ 같지 않다
∴ 따라서 또는 그러므로
∵ 왜냐하면
≒ 약, 근사값을 쓸때 또는 양쪽 값이 거의 비슷할때 사용
≤ (왼쪽이 오른쪽보다) 작거나 같다
≥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거나 같다
< (왼쪽이 오른쪽보다) 작다
>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다
dθ 디쎄타, 미분에서 사용되는 기호입니다.
≡ 합동 또는 모듈로(mod)를 나타내는 기호=도형의 합동 기호
∈ (왼쪽이 오른쪽의) 원소이다.
∋ (오른쪽이 왼쪽의) 원소이다.
⊂ (왼쪽이 오른쪽의) 부분집합이다. (오른쪽 집합이 왼쪽 집합을) 포함한다.
⊃ (오른쪽이 왼쪽의) 부분집합이다. (오른쪽 집합이 왼쪽 집합을) 포함한다.
∪ 합집합
∩ 교집합
∀ 임의의
∃ 존재한다. exist.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postfiles4.naver.net%2F20110716_35%2Falwaysneoi_1310806784652pIfyT_GIF%2F%25BC%25F6%25C7%25D0%25B1%25E2%25C8%25A32.gif%3Ftype%3Dw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