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상담심리자료창고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진로상담 스크랩 (진로상담) 4주차 - 진로 발달 이론
서대표 추천 0 조회 535 16.10.28 22:53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1. Super의 발달이론
 2. 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이론
 3. 진로발달이론을 사례에 적용하기

1. Super의 발달이론


 
1) 이론의 내용
 1. 진로발달 : 전 생애에 걸쳐서 이루어지는 것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 결과 +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한 적응과정

 2. 진로발달의 요인 (영향을 미치는 것들)
    개인차, 다양한 가능성, 직무 능력의 유형, 동일시와 모델의 역할, 적응의 계속성,      생애단계, 진로유형, 발달의 지도 가능성, 상호작용의 결과로서의 발달, 직무 만족

 3. 주요개념
   1) 인간의 능력, 흥미, 성격 등에 차이 (선호에 의한 차이)
   2) 인간은 이러한 특성의 차이로 인해 특정 직업에 대하여 적합성
   3) 각 직업에 요구되는 일정 범위의 능력, 흥미, 인성특성이 있음
   4) 직업의 선택과 직업에의 적응은 계속적인 과정
      [성장기, 탐색기, 확립기, 유지기, 쇠퇴기의 과정]
   5) 개인 능력과 흥미의 성국과정을 촉진시키거나 자아개념의 발달을
      도와줌으로써 지도
     * 자아개념 (Super)
      자아 이미지를 살릴 수 있는 직업을 택한다.
      형성단계, 전환단계, 실천단계를 거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발달, 보완 
      But, 청년기 이후부터는 크게 변하지 않음
      유전(지성, 생리적 체질)과 역할수행 기회 및 결과, 타인 평가 등의
      상호작용 결과로서 형성
   6) 개인의 사회적 요인 = 자아개념과 현실성 간의 타협
   7) 개인의 만족
     = 자기의 능력, 흥미, 성격특성, 가치관에 맞는 진로를 찾았는지 여부
     = 성숙과 탐색경험에 비추어 일관되고, 적합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일의 유형, 작업환경 및 생활양식의 확보 여부

 4. 직업발달의 단계와 과업 (발달단계)
   1) 성장기 [0-14세]
    - 가정과 학교에서의 주요인물과 동일 시 함으로써 자아개념이 발달
    - 환상기[4~10세]<마구 꿈을 꿈>, 흥미기[11~12세], 능력기[13~14세]
   2) 탐색기 [15-24세]
 - 학교생활, 여가활동, 시간제 일을 통해서 자아검증, 역할시행, 직업적 탐색

직업발달 과업
연령
일반적인 특징
구체화
Crystallization
<결정>
14~17
흥미 가치 가용자원과 장차 일어날지도 모를 일, 선호하는 직업을 위한 계획 등을 인식하여 일반적인 직업 목적을 형성하는 지적 과정 단계의 과업.
 - 선호하는 진로에 대하여 계획, 계획을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 고려하는 것
특수화
Speclfcation
18~21
잠정적인 직업에 대한 선호로부터 특정 직업에 대한 선호로 옮기는
단계의 과업.
- 직업선택을 객관화/명백화 하고, 선택된 직업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하여 진로계획을 특수화하는 것
실행화
Implementation
22~24
선호하는 직업을 위한 교육 훈련을 마치고 취업하는 것

  



   3) 확립기 [25-44세]
    - 자신에게 적합한 분야를 발견하고, 영구적인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
  

직업발달 과업
연령
일반적인 특징
안정화
Stabilization
25~35
직업에서 실제 일을 수행하고 재능을 활용함으로써, 진로선택이
적절한 것임을 보여주고 자신의 위치를 확립하는 것
공고화
Consolidation
35~
승진, 지위획득, 경력개발 등을 통하여 자신의 진로를
안정시키는 것
  
   4) 유지기 [45-65세]
    - 이미 선택한 직업에 정착,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
   5) 쇠퇴기 [65세 이후]
    - 힘이 약해지고 직업전선에서 은퇴하여 다른 활동 탐색

2) 이론에 대한 평가
 1. 직업적 성숙과정을 가장 체계적으로 기술
 2. 다양한 실증적 자료 확보
 3. 너무 광범위함
 4. 자아개념을 지나치게 강조함

2. 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이론 <직업포부 발달이론>
   <제한 타협이론, 한계 타협이론>
1. 개념
  1) 직업포부 (Occupational aspiration) <꿈>
   - 어떤 한 시점에서, 자신에게 최고의 대안이라고 보는 직업,
      개인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지능수준으로 예측가능
  2) 자아개념 (Self-concept)
   - 진로 발달에 있어 핵심적인 요인
   - 자신에 대한 관점
   - 다양한 요인(성별, 사회적 배경, 지능, 직업 흥미, 능력, 가치 등)으로 구성  
   - 어린 아이들은 거의 모든 직업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비판적인 평가
 3) 직업 선호 (Occupational Preferences)
   - 직업의 이미지와 지신의 이미지가 맞는지 평가하고, 그 직업을 갖기 위해
       해야 하는 노력을 자신이 하고 싶은지 평가.
   - 직업 선호는 가장 이상적인 것 ~ 참을 수 있을 정도의 것까지 분포
 4) 직업 이미지 (Occupational image)
   - 직업에 대한 선입견
   - 실제로 하는 일에 대한 이미지라기보다는 그 사람들의 생활방식,
     그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이미지,
     그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하는 일, 생활수준 등

2. Gottfredson의 타협모델
 1) 진로포부의 발달(Circumscription)
    자아 개념/ 직업선호 발달에 따라 여러 직업대안들을 제외시키는 과정
 
   A. 개인의 발달단계

단      계
연령
 일 반 적 인      특 징
힘과 크기 지향
[Orientation
 to size and power]
3~5
3~4세: 동성 친구를 선호
4~5세: 어른들의 성역할의 차이 인식
5세: 신체 크기의 차이 의식
성 역할 지향
[Orientation
 to sex roles]
6~8
직업 선호는 성역할과의 일치를 반영
각자 자신의 성이 우월하다고 생각
남, 여아 선호직업 목록은 고등학생까지 불변
사회적 가치 지향
[Orientation
 to social valuation]
9~13
외적인 자기의 평가, 또래 집단의 평가에 민감
직업 간 사회적 지위 차이나 사람들 간의 사회계층, 능력의 차이에 대해 인식
직업 수준에 대한 선호도의 발달
 - 초기 남아: 트럭 운전사, 소방관, 경찰관 등
   초기 여아: 선생님, 간호사 등
 - 청소년기: 육체노동이나 비숙련 직무 비선호
고유한 내적자아 지향
<자기의 특성>
[Orientation
 to the internal,
 unique self]
14 +
능력, 흥미, 가치 등이 중요한 직업선택 기준
- 대학생들은 흥미, 적성을 찾기 원함

 



   B. 수용 가능한 진로대안 영역 형성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 진로대안 = 직업 ,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옵션>

 
2) 타협 (Compromise)
   <타협의 가치도 제한의 기준과 일치 (성역할, 지위, 개인의 특성)>
  - 직업세계의 이상과 실제 간의 차이를 좁히는 것
   A. 어떤 자아개념은 더 중요해서 타협하기 어렵고, 어떤 것은 보다 쉽게 타협
   B. 성격, 구체적인 직업 흥미나 직업에서 요구하는 구체적인 기술이 가장 쉽게
      타협
     -> 직업의 사회적 지위
     -> 성별 유형의 순으로 타협
   C. 사람들이 만족할 만한 직업을 찾고 실행하기 시작했을 때 직업 탐색 종결
      <타협/직업의 선택=포기>





 3) 직업 인지지도 (cognitive map of occupations)
   - 직업들 간의 차이와 유사점을 몇 가지 요인에 따라 나누어 그린 도표


 
<타협: 가장 포기하기 힘든 것: 성 역할, 가장 쉬운 것: 개인의 흥미, 성격과 같은
       개인의 특성>

 * 사례를 통해서 보는 이론: 나슬기 사례
  1. 호소문제
   상담자: 이전 커리어 경험에 대해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내담자: 처음 사대 졸업 후 지금 이 학교 이전에 다른 학교에 약 3년 정도
           재직했었어요. 그때 사귀던 사람과 헤어지면서 이 도시로 이사와 지금의              이 학교에 다니면서 남편을 만나 결혼하게 되었는데 벌써 결혼한 지 5년             이 지났지요. 나이도 있는데 아직 아이가 없는 것도 우리부부가 서로 일을             갖고 바쁘게 지내는 탓은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상담자: 남편은 전직에 대해 어떻게 말씀하시나요?
   내담자: 남편은 제가 일을 관두어도 별로 뭐라 할 것 같지 않아요. 오히려 아이문             제도 있으니 좋아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친정어머니가 싫어할 것 같아요. 여자가 일하고 돈을 벌어야 한다             고 엄마는 항상 말씀하셨거든요. 여자 직업으로는 교사만한 것도 없다                고 생각하시니 그만 둔다고 하면 속상해 하실 것 같아요.

 2. 발달 이론을 통한 사례 다시보기
  1) 확립단계(25~40세)의 중간에 위치
  2) 첫 직장에서 생애 역할 사이의 불일치로 직업전환
  3) 현 학교에서 안정화 과업이 달성, 직장 내 불만요소 때문 직업전환 고려중
     (통합화 과업에 대한 탐색 필요)
  4) 자아 개념이 정교화, 구체화됨에 따라 직업에 대한 불만족이 증가했을 가능성
  5) 학생과 딸의 역할에서 부모와 아내의 역할에 대한 우선순위 변화

 3. 발달이론을 통한 사례 접근하기
    (C-DAC: Career Development Assessment and Counseling)
 1) 평가
  - 생애 구조와 직업 역할의 중요성
  - 진로발달의 수준과 자원
  - 직업적 정체성 (가치, 흥미, 능력)
  - 직업적 자아개념과 생애 주제
 2) 상담목표
  - 자신에 대한 더 나은 관점 갖기
  - 일에 대한 불만족 원인의 알기
  - 자녀, 직업인, 부모로서의 다양한 역할 수행 방법 이해하기


이 자료는 숭실사이버대학교(구.한국사이버대학교.kcu)에서
선혜연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학우들과 요약 정리한 자료임을 밝혀둡니다.
학교진로상담 저자 김봉환|학지사 |2006.03.10





진로상담 4주차-명중.hwp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