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시꽃 당신 - 도종환 -
옥수수잎에
빗방울이 나립니다.
오늘도
또 하루를 살았습니다.
낙엽이 지고
찬바람이 부는 때까지
우리에게 남아 있는
날들은 참으로 짧습니다.
아침이면 머리맡에
흔적없이 빠진
머리칼이 쌓이듯
생명은 당신의 몸을 우수수 빠져나갑니다.
씨앗들도 열매로 크기엔
아직 많은 날을 기다려야 하고
당신과 내가 갈아엎어야 할
저 많은 묵정밭은
그대로 남았는데
논두렁을 덮는 망촛대와 잡풀가에
넋을 놓고 한참을 앉았다
일어섭니다.
마음놓고
큰 약 한번 써보기를
주저하며 남루한 살림의
한구석을 같이 꾸려오는 동안
당신은 벌레 한 마리
함부로 죽일 줄 모르고
악한 얼굴 한 번 짓지 않으며 살려 했습니다.
그러나 당신과
내가 함께 받아들여야 할
남은 하루하루 하늘은
끝없이 밀려오는 가득한 먹장구름입니다.
처음엔
접시꽃 같은
당신을 생각하며
무너지는 담벼락을 껴안은 듯
주체할 수 없는
신열로 떨려왔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에게 최선의
삶을 살아온 날처럼,
부끄럼없이 살아가야 한다는
마지막 말씀으로 받아들여야 함을 압니다.
우리가 버리지 못했던
보잘것없는 눈높음과
영욕까지도
이제는 스스럼없이 버리고
내 마음의 모두를 더욱 아리고
슬픈 사람에게
줄 수 있는 날들이 짧아진 것을
아파해야 합니다.
남은 날은
참으로 짧지만
남겨진 하루하루를 마지막 날인 듯
살 수 있는 길은
우리가 곪고 썩은 상처의 가운데에
있는 힘을 다해 맞서는 길입니다.
보다 큰 아픔을 껴안고
죽어가는 사람들이
우리 주위엔 언제나 많은데
나 하나 육신의
절망과 질병으로 쓰러져야 하는 것이
가슴아픈 일임을 생각해야 합니다.
콩댐한 장판같이 바래어 가는
노랑꽃 핀 얼굴 보며
이것이 차마 입에 떠올릴 수 있는 말은 아니지만
마지막 성한 몸뚱아리 어느 곳 있다면
그것조차 끼워넣어야 살아갈 수 있는
사람에게 뿌듯이 주고 갑시다.
기꺼이 살의 어느 부분도 떼어주고 가는 삶을
나도 살다가 가고 싶습니다.
옥수수잎을 때리는
빗소리가 굵어집니다.
이제 또 한번의 저무는 밤을
어둠 속에서 지우지만
이 어둠이 다하고
새로운 새벽이 오는 순간까지
나는 당신의 손을 잡고
당신 곁에 영원히 있습니다.
1988년도,
그러니까
우리나라가 올림픽을 치루던 해였던가요.
봄날에 개봉한 영화가
"접시꽃 당신" 이란
유명한 영화가 있었내요.
원작은 도종환 시인 자신의 실화를 바탕으로 쓴
접시꽃 당신을 박철수 감독이
각색하여 만든영화였지요.
남자주인공은 이덕화.
여자주인공은 이보희(그땐 우수에 젖은 눈빛이 꽤 괜찮아
보였는 데 ~ 늙어서 그런지 요즘 수상한 삼형제인가에서는
영 아니더라고요. ㅎ)
그 때 이영화로 이덕화는 남우 주연상,
이보희는 여우 주연상으로
이 한작품에 많은 상들이 쏟아졌지요.
내 젊은 날
나도 이영화를 보면서 눈가에 흐르는 눈물을
남몰래 지우느라 고생했는 데 ~
우리네 인생사 참 묘하게도
먼 훗날 또 내가 그 주인공이 될 줄이야 ~
그 땐 많은 여성들이 이영화를 보다가 훌쩍대는
소리가 많이 들렸고 꼭 손수건을 지참하여야
볼 수있다고 까지 했었지요.
접시꽃 당신은 도종환 시인의 사실적인
실화를 바탕으로 쓴 시를 가지고 작품을 만들어서
더 호평을 받았는 지도 모르겠내요.
도종환 시인이 초등하교 교사로 있으면서
자신의 부인이 암에 걸려 하루하루 죽어가는
사실적 기록을 표현한 시이자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 보내야 하는
허무와 절망감과
애틋한 사랑을 잘 표현한 시로 많은 주부들의
눈물샘을 자극했었고요.
1980년 전두환정권 때 비판세력들을 총칼로 몰아내던
시절 요즘도 시끄러운 "전교조"
도종환 시인도 전교조에 가입한 죄로
해직을 당한 상황에서
부인까지 암으로 죽어가는 고통을
옆에서 지켜 보아야
했으니 얼마나 가슴이 아프고 시렸을 까요?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알 수가 없는 게
우리네 세상사는 일이고요.
아무튼 이영화는 87년도
노태우 정권의 6.29선언
과 맞물려지면서,
그래도 우리 언론이 숨을 쉬기 시작하여
전교조에 대한 언급을 영화에 할 수 있어서
젊은 지식인들 사이에서
더 큰 파급효과를 거두지
않았나 싶내요.
그 시절을 생각하며 " 접시꽃 당신" 을 한번
읽어 보시죠.
사랑하는 그 이와 함께요.
접시꽃은 우리가 흔히 볼 수있는
한해살이 꽃이고요.
일찍심으면 6월말쯤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하고,
7월이면 절정을 이루게 되는 꽃이죠.
색은 빨강. 분홍. 흰색
다양하게 있고요. 키는 최대 2m까지 자라며
줄기가 성장하면서 꽃봉우리를 맺고 올라가지요.
꽃이 너무 화려하여 좀 추하다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건 접시꽃을 폄하하는 말이고.
거리에 담밑에 피어 있으면 동네전체를 환하게
만드는 꽃이랍니다.
디자이너들이 이꽃을 모델로 많은
창작을 하기도 하고요.
여러분들도 이 꽃을 한번 심어보실래요?
생명력이 강해서 아무곳에서나
잘자라 거든요.
조금 있으면 피어오를 접시꽃의 추억을 떠올리며
~ 시인과 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