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 상
|
잎 밑둥에서부터 담갈색으로 변해 썩어 올라가며, 감염부위에는 흰 균사가 자라고, 후에 흑색 부정형의 큰 균핵이나 구형 내지 부정형의 작은 균핵이 형성된다. 심하게 진전되면 속잎까지 썩으면서 병든 부위가 물러져 잘 찢어지게 되나 악취는 발생하지 않는다.
|
병원체 : Sclerotinia sclerotiorum, Sclerotinia minor
|
2종의 Sclerotinia균은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균핵, 자낭반, 자낭 및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Sclerotinia sclerotiorum의 균핵은 Sclerotinia minor균핵보다 크고, 이 두 종의 배양적 특성은 매우 비슷하다. 이 균들의 생육온도 범위는 1∼30。C이고, 생육적온은 20∼24。C이다.
|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외 조직 및 토양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월동한 다음,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자낭포자는 식물제의 약한 부위에 부착하여 침입하며, 균핵 및 균사체로부터 발아하여 뻗어나온 균사가 식물체를 직접 침해하기도 한다.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C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발생이 심하다.
|
방 제
|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는다. -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저온다습(低溫多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정식후 비닐을 멀칭하여 재배하면 무멀칭재배에 비해 병발생 억제효과가 있다 - 담수(湛水)가 가능한 곳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담수하여 균핵을 부패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