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병징과 진단

○ 세균구병병은 복숭아, 앵두, 살구, 자두, 매실 등에 발생이 많으며 복숭아에서는 엘버타, 창방조생, 대구보, 대화백도 등의 품종은 이 병에 비교적 강하고 기도백도, 유명은 중간 정도이며 백도, 사자조생은 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잎에는 수침상의 작은 반점이 생겨 점차 확대되어 갈변하며 시간이 지나면 갈 색부위가 탈락되어 구멍이 뚫리게 된다.
○ 가지에는 처음 자갈색의 수침상의 반점이 생기며 병반이 움푹하게 들어가면서 갈라지며, 열매에는 수침상의 반점이 생겨 확대됨에 따라 점차 갈색으로 변하 고 약간 움푹해진다.
나. 병원균
○ 병원균은 그람 음성세균으로 Xanthomonas campestirs pv. pruni에 의하여 발생한다.
다. 발생생태
○ 병원균은 가지 껍질조직의 세포가 파괴된 부분에서 잠복 월동하며, 월동부위는 피목, 낙엽흔적에 많다. 월동한 병원균이 발육을 개시하는 시기는 기온이 상승 하면서 가지 껍질조직 내에 환원당이 증가하는 시기이다. 병원균 월동부위에 형성된 코르크층의 일부가 파괴되어 병반이 확대된다.
○ 복숭아의 개화, 발아시기에 육안으로 병반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이 봄 병반 이다. 지난해 병반의 주위가 수침상이 되어 확대되어 봄 병반을 형성하기도 하 라며 이 표면에 병원세균이 흘러나와 빗물이나 이슬에 녹아서 바람과 함께 분산 한다. 잎의 기공이나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잎의 작은 상처 등을 통하여 침입을 한다.
라. 방제
○ 병든 가지는 제거하고, 병원세균은 주로 잎에 나타나는 작은 상처를 통해 침입 하므로 상습적으로 이 병이 발생하는 포장에는 가능하면 방풍림을 설치한다.
○ 배수를 철저히 하며 균형시비를 실시하고 질소 과용을 삼가 한다.
○ 가능하면 봉지씌우기를 일찍 하는 것이 좋으며 늦어질 경우 병든 과실은 제거 한다.
○ 월동직후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하여 월동 전염원을 줄인다.
○ 생육기에는 농용신수화제나 아그리마이신을 2∼3회 살포하는 것이 좋다. 생육 기에 농용신·쿠퍼수화제는 약해를 유발하므로 살포하지 않는다.
○ 나무의 상부보다 중간 및 하부에 병 발생이 많으므로 약제 살포 시 이 부분에 집중살포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6∼7월에는 6-6식 아연석회액을 살포하면 효과적이고 과일에도 효과가 있다. 이 시기에 6-6식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하면 약해가 발생하므로 주의한다.
○ 발생이 많은 과원에서는 수확기 이후에 적용약제를 살포하면 다음해 발생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