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은 허리 무릎 전반적으로 봐야 한다.
옛날에는 허리 수술후 3-5일 정도 쉬었다.
그러나 지금은 1일 쉬고 화장실이나 진통제를 먹고 운동ㅅ킨다.
다열근이 근위축이 발생하면 회복되는데 오랜기간이 걸린다.
유지이완은-근긴장을 떨어뜨리기 위해 사용한다
유지이완후 관절범위가 다나오게 되면 따로 스트레칭을 할 필요가 없다.
운동선수은 스트레칭을 더 많이 해야 한다.
스트레칭을 함으로써 Saromia를 하나더 만들수 있다.
약간의 통증을 느끼는 정도가 type 2을 일하게 할수 있다. type1은 유지이완시신장된다.
스트레칭은 근육의 탄력성을 좋게 할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내전근 단축이 더물다. 양반다리 다가능하다.
쪼그려 앉는 자세는 외전과 외회전의 양을 증가 시킨다.
완전한 가동범위가 나와야 길항근이 강화된다.
중둔근의 앞부분이 약하면서 짧아지고 뒷부분이 약화된다.
최소 주3회 운동을 해야 기존의 근력이 유지된다. 위성세포 3일 이후부터 좋아 진다.
스트레칭만으로도 근력의 유지 효과가 있다.미토콘드리아를 증가 시킨다. 당저장능력을 증가시킨다.
너무강력한 운동 즉 마라톤을 하고나서 스트레칭은 위험하다.이때는 얼음을 댄다.
스트레칭은 짧게 여러번 하는 것이 좋고 저녁에 하는 것이 회복하는 기간이 필요함으로 더좋다.
강한것 보다는 약하게 자주 부드럽게 천천히
통증은 기분좋은 통증이 되어야 한다.
육포처럼 마르게 되면 결합조직이 많이 증가하게 되어 스트레칭이 어렵고 오래 갈수 있다.
유지는 짧게 하되 이상근 같은 근육은 2분동안 할수도 있다.
퇴행성인 경우 횟수를 줄이고 강도를 증가 시킨다.장요근은 3분동안 할수도 있다 결합조직이 많은 곳임 유지가 길어야 한다.
2조이트 근육인 경우 큰관절을 가지고 스트레칭을 한다.그러나 관절이 손상된경우 이웃관절을 이용한다.
함스팅은 신장성수축이 효과적이다.
근육의 벨리보다 건이나 인대가 회복이 늦다. 앉을때 지탱하고 일어설때 누르는 운동이 좋다.
이때 발밑에 웨지를 대고하면 더 효과적이다.
주로 단축되는 근육-중둔근 앞부분,외측광근,대퇴근막장근,대퇴이두근,비복근 안쪽
주로 약화되는 근육-중둔근 뒷부분,내측광근,슬와근,반건양근,박근,봉공근,비복근 가쪽
브릿지 자세는 부하가 200%가 걸린다. 주변근육이 모두 수축하기 때문에
인공관절을 한경우 올라가는 점프는 가능하나 내려가는 점프를 하면 않된다.
장축의 부하가 있어야 한다.
루즈바디시 다리 털기를 한다.
관절순이 찢어진 경우 염발음이 나고 임상으로 구별하기 거의 불가능 하다.MRI로만 가능하다.
주사는 더 가동성을 증가 시킬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