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프로그램은 예정대로 진행합니다.
지난 3월에 진행하지 못했던 프로그램을 9월에 옮겨서 이행할 예정이고 6월7월8월에 진행할 예정이었던 프로그램은 여건상 10월11월12월로 옮겨서 진행하고자 합니다.그리하여 다음과 같이 공지하고자 합니다. 9월 (20-21) 동해안 명승지그리고 원전문제의 현장을 찾아서<세계에너지경제의 흐름과 전망> 김대경 (아시아개발은행 컨설턴트)<원전의 위험과 한계, 그리고 대안>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 원전엔지니어) 10월(18-19) 월정사와 오대산 숲길<지역을 살려내는 지역공공은행> 양준호(인천대 교수)<기본소득은 기후위기시대를 돌파할 무기> 강남훈(한신대 명예교수) 11월(15-16) DMZ탐방<AI시대의 부동산과 국토정책> 정낙현 ( AI솔루션업체 ㈜쨈 대표, 도시계획학박사)<통일시대의 토지정책을 생각한다> 조성찬(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 원장) 12월(20-21) 강화도 및 한강하구 탐방<연해주, 그리고 고려인 이야기> 황광석(대륙학교 교감)<한강하구의 잠재력과 세계평화도시 구상> 이원영(국토미래연구소장, 국토학교 교장)참고 원래의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http://www.catholicpress.kr/m/view.php?idx=7670
‘국토학교’를 개설합니다
국토의 위기, 국가의 위기최근 십오년간 국토의 운영과 관련되는 여러 문제들이 등장해서 국가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를 위시하여 4대강, 원전위험과 에너지, 부동산문제, ‘지속가능
www.catholicpres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