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6대 호텔 그룹들의 브랜드 현황 및 경영분석
(출처:호텔&레스토랑 매거진)
-경영여건 안좋은 편이지만 꾸준히 새 호텔 개발-
어느 사업분야나 마찬가지이겠지만 호텔의 경우는 특히 호텔브랜드에 대한 인지도가 투숙여부를 결정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독자적인 브랜드로 건설되어 운영되던 호텔들도 세계적인 체인과의 위탁경영이나 프랜차이즈 계약을 통해 국제적인 호텔로 변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 이유는 대외적인 인지도 때문이기도 하지만 세계적인 예약망을 통해 고객유치에 유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선진경영경영의기법을 도입, 경영의 효율화를 꾀할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체인 호텔그룹들의 경영실적을 알면 그 체인의 능력을 검증할 수 있다. 높은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고 세계적인 체인 호텔들을 운영하고 있는 호텔 그룹들에 대해 알아본다. 단일 브랜드로 가장 많은 객실을 보유한 곳은 전세계 3만개가 넘는 객실을 보유한 베스트 웨스턴 호텔이다. 하지만 호텔 그룹으로 봤을 때 가장 많은 객실을 보유한 곳은 식스 컨티넨츠 호텔스(Six Continents Hotels)로 총 5만개 이상의 객실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식스 컨티넨츠社의 분사 가능성 때문에 이 순위는 조만간 변화될 가능성이 있어 세계적인 호텔 그룹의 순위변화가 주목된다. 여기서는 가장 많은 숙박업 체인사이기는 하지만 주로 모텔체인의 프랜차이즈를 담당하고 있는 Cendant社와 초이스 호텔(Choice Hotels) 그룹, 혹은 북미지역에만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호텔 등은 배제하였다.
스타우드 (Starwood Hotels & Resorts Worldwide)
스타우드는 1998년 웨스틴 호텔&리조트 월드와이드 그룹과 ITT 코퍼레이션의 인수로 쉐라톤 홀딩 코퍼레이션이라는 이름으로 바꾼후 비스타나 그룹의 인수로 1999년 10월 스타우드라고 개명하였다. 직영과 자회사 형태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스타우드 계열의 브랜드로는 세인트 레기스(St. Regis(r)), 럭셔리 콜렉션(The Luxury Collection(r)), 쉐라톤(Sheraton(r)), 웨스틴(Westin(r)), W호텔(W(r)), 그리고 포포인츠 by 쉐라톤(Four Points(r) by Sheraton)이 있다. 럭셔리하고 수준높은 호텔과 리조트를 지향하며 세계적인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는 스타우드는 직접 운영과 위탁 경영, 프랜차이즈 등을 통한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다. 2002년말 기준으로 스타우드라는 브랜드를 가지고 운영하고 있는 호텔은 전세계 79개국에 총 7백 48개로 22만 7천여 객실에 달한다. 스타우드가 소유하거나 임대한 호텔은 이중 1백 63개이다. 2백 77개의 호텔을 스타우드가 위탁경영을 하고 있으며 3백8개의 호텔에 대해서는 프랜차이즈 비용을 받고 있다. 본사는 미국 뉴욕에 두고 있다. 전세계에 걸쳐 약 10만 5천여명의 종사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그중 60%가 미국에서 일한다. 스타우드의 경영전략은 크게 다섯 가지 핵심요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브랜드의 힘을 키우는 것이다. 스타우드는 기존 고객의 충성도와 새로운 고객의 유입을 활발히 진행시켜나가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지난 4년간 세번에 걸쳐 ‘비즈니스 트레블 뉴스’가 수여하는 ‘2003년 톱 美 호텔 체인’부문에서 웨스틴과 W호텔이 각각 1,2,위를 수상하기도 하였다. 포포인츠도 중간가격대의 호텔 카테고리중에서 1위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두번째 경영 전략인 Starwood Preferred Guest(SPG)는 전세계적으로 1천 5백만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여러 차례 호텔 상용고객 프로그램부문의 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호텔 산업에서 가장 먼저 도입된 상용고객우대 프로그램으로 회원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머물 수 있도록 제한을 두지 않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전략중 하나는 현금유동과 자산을 다양화하는 거이다. 브랜드와 시장 부문, 수익처, 지리적 위치등을 다양화 하는 것이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스타우드의 이익을 극대화하는데 있어서 안정된 기본이 되어줄 것이라는 것이 그 이유. 포인트제도를 통해 숙박과 항공마일리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외에도 품격있고 차별화된 시설과 규모, 위치 등도 스타우드의 성공적인 경영전략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세인츠 레지스가 고급스러운 호텔과 리조트를 지향한다면 포포인츠 by 쉐라톤은 좀더 경제적인 가격에 서비스와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앞페이지의 표는 스타우드 그룹의 2002년 1/4분기 평균객실가 및 투숙률 등을 보여준다 .
베스트웨스턴(Bestwestern International)
베스트웨스턴은 전세계 약 80개국에 4천개가 넘는 호텔에 30만개 이상의 객실을 보유한 세계 최대의 호텔 체인브랜드이다. 럭셔리하고 고급스러운 호텔 체인은 아니지만 합리적인 가격과 일정 수준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신뢰를 바탕으로 매년 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지난 2001년 도입되어 현재 서울에 3곳의 베스트웨스턴호텔이 운영중이다. 피닉스에 본사를 둔 베스트웨스턴은 1946년 M.K.Guertin에 의해 건립되었다. 캘리포니아 출생의 호텔리어였던 그는 23년간의 숙박산업에서의 경력을 바탕으로 건립 17년만에 6백99개의 호텔과 3만 5천여 객실을 갖춘 최대의 체인호텔로 성장 시켰다. 1964년 캐나다의 호텔 소유주가 시스템을 공유하여 세계화의 첫발을 내딛게 된다. 2002년말기준으로 베스트웨스턴은 북미지역에 총 2천 3백34개의 호텔을 보유하고 있다. 2002년 한해에만 북미지역에 1백39개, 세계적으로는 1백43개의 신축 베스트웨스턴을 오픈하는 등 성장세에 있다.
메리어트(Marriott International)
메리어트 인터내셔널은 전세계 63개국에 총 2천 6백개 이상의 호텔과 리조트 등을 보유한 호텔 그룹이다. 사업영역은 매우 다양해서 호텔의 운영과 프랜차이즈, 별장 개발과 소유, 장기체류 부문, 컨퍼런스 센터 운영 등이 있다. 또한 노년거주공간이나 식품 도매 유통과 생산 사업도 펼치고 있다. 본사는 워싱톤에 있으며 약 14만 2천5백명의 종사원들이 일하고 있다. 2001년한해동안 메리어트 인터내셔널은 약 2백만달러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메리어트 호텔,리조트 & 스위츠(JW Marriott과 Marriott Conference Center 포함)는 주로 도심지역이나 공항 주변에 위치한2-3백개의 객실을 갖춘 고급 호텔 체인이다. 미국내에 2백 93개와 그 외지역에 1백 57개 등 총 4백 50개의 호텔이 있다. 13개의 JW Marriott과 23개의 Marriott Cenference Center를 운영하고 있다. 메리어트 인터내셔널은 2001년 상반기에 불가리 스파와 함께 차별화된 럭서리 호텔의 건립을 발표했다. 첫번째 불가리 호텔은 2004년에 1월에 선보일 예정이다.
힐튼(Hilton Hotels Corp.)
힐튼은 세계적으로 총 2천 58개의 호텔과 약 33만 5천개의 객실을 보유한 호텔 그룹이다(2002년 10월 기준). 브랜드로는 힐튼, 힐튼 가든 인, 더블트리, 엠바시 스위츠, 햄프톤, 홈우드 스위츠 by 힐튼, 콘라드가 있다. 뒷페이지의 표는 힐튼에 속한 호텔들에 대한 분류와 운영실적이다. 2002년에 힐튼은 총 2억9천만 달러에 달하는 자본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장비와 바닥, 벽 재질 교체 등과 기술향상을 위한 통상적인 투자가 1억 8천만 달러를 차지하고 리노베이션과 설비비용이 6천만 달러, 공동소유 휴가시설에 대한 개발이 5천달러를 차지한다. 힐튼 소유의 호텔에 대해서는 2002년 한해동안 총 1억 3천8백만달러가 소요되었으며 여기에는 3백 27객실을 갖춘 힐튼 포트랜드의 건설비용도포함되어있다. 또한 하와이에 위치하여 하와이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1천2백여실 규모의 힐튼 와이코로아 빌리지에 대한 지분을 2002년 5월에 인수했다. 힐튼은 이전에 이 호텔에 대해 13%의 지분만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총 1억 5천5백만 달러의 나머지 83%의 지분을 인수했다. 2002년 1월부터 9월까지 힐튼은 1백 8개의 새로운 호텔과 프랜차이즈나 위탁경영 계약을 새로 수립했다. 그중 1백 2개가 프랜차이즈 호텔이고 5개는 위탁경영, 1개는 힐튼이 대부분의 지분을 가지고 운영하는 형태이다. 또한 6월의 해리슨 컨퍼런스 호텔 체인에 대한 매각과 멕시코의 카미노 리얼 체인과의 회원 계약이 만료 등으로 같은 기간동안 36개의 시설이 힐튼의 이름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2002년의 경영실적 결과를 살펴보면 미국 경기침체의 영향을 다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투숙률의약간의 하락과 9월 11일이 속해있는 주의 실적이 낮게 나타났다. 미국내 직영 호텔들은 2002년 3/4분기에 약 1억 3천 7백만 달러의 세전수익을 올렸고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이다.
하얏트(Hyatt Hotels Corp. & Hyatt International Corp.)
두개의 그룹이 운영하는 총 2백 6개의 하얏트 호텔이 전세계에 분포해있다. 하얏트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은 전세계 39개국에 61개의 호텔과 23개의 리조트를 운영하고 있다. 15개의 호텔이 건설중이다. 하얏트 호텔 코퍼레이션은 독립된 회사로 1백 23개의 호텔과 리조트를 미국과 캐나다, 카리브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다. 1994년, 프랜차이즈와 공동 휴가시설, 골프 코스 운영, 오락 산업 등 사업분야를 넓혔다. 하얏트호텔은 업계 최초로 호텔경영회사와 부동산 소유회사로 분리시켰다. 1994년 개장한 그랜드 빅토리아 카지노는 일리노이즈주 엘긴에 위치한 선박 카지노장으로 성공적인 운영을 펼치고 있다. 1995년에는 첫 공동 휴가시설과 골프 코스를 개장하기도 했다. 하얏트 코퍼레이션의 브랜드로는 파크 하얏트와 하얏트 리젠시, 그랜드 하얏트 등이 있다. 파크 하얏트 호텔은 작지만 유럽풍의 부티끄 호텔을 지향하는 고급호텔 브랜드로 미국과 카리브 지역에 9개를 포함해 전세계에 총 21개의 파크하얏트의 브랜드 호텔이 운영중이다. 서울에도 위치한 그랜드 하얏트 브랜드는 대규모 미팅과 컨벤션은 물론 비즈니스 고객을 위한 호텔을 지향한다. 대개 그랜드 하얏트의 연회장소는 중대형급으로 컨벤션까지 수용이 가능하다. 미국, 캐나다, 카리브, 남미 지역에 8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11개, 유럽, 아프리카, 중동 지역의 3개를 포함하여 총 22개의 그랜드 하얏트가 운영중이다. 또다른 브랜드인 하얏트 리젠시는 전세계 34개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리조트 지역에 위치한다. 우리나라에도 제주도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하얏트 리젠시 총칭(Chongqing)과 소마베이(이집트), 카이로, 파크하얏트 베이징과 밀라노, 그랜드 하얏트 도쿄가 2003년 개관을 앞두고 있다. 지난 3월 4일, 하얏트 호텔스 코퍼레이션과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은 경영방침에 대한 발표를 새롭게 하였다. ‘글로벌 하얏트’라는 이 제안은 지난해 가을부터 시작된 것으로 하얏트 미국과 인터내셔널의 운영과 부동산활동, 기업 활동에 있어서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하얏트 코퍼레이션의 CEO 토마스 J. 프리츠커(Thomas J. Pritzker)는 Doug Geoga를 하얏트 코퍼레이션과 AIC 홀딩社의 회장으로 임명하고 “이렇게 새로운 성장의 단계에서 많은 경험을 통해 하얏트에 능통한 Doug Geoga씨를 임명할 수 있게 된 것이 행운”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글로벌 하얏트 활동을 담당할 Geoga씨는 47세로 1994년부터 99년까지 하얏트 호텔 코퍼레이션의 회장을 역임하는 등 20년간 하얏트에서 일해온 베테랑이다. 한편 하얏트는 1992년 이후 총매출에 있어서 두 자리수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매년 꾸준히 4-5개의 신규호텔을 추가하고 있으며 2010년까지 1백개 이상의 호텔을 추가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식스 컨티넨츠(Six Continents Hotels)
어느 호텔 브랜드보다 가장 그 이름과 소유관계가 자주 바뀌어왔던 식스 컨티넨츠 호텔 그룹은 얼마전에도 그룹 분할에 관하여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현재 주주총회에서 회사를 인터컨티넨탈 호텔 그룹의 호텔 사업부문과 미쉘 & 버틀러(Mitchells & Butlers) 펍(Pub)사업 부문으로 91%의 찬성으로 분할 쪽으로 결말이 남으로써 오는 4월 17일 공식적인 분할을 앞두고 있지만 그때까지도 다른 제의에 대한 열린 입장이라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현재 적대적 지분인수를 제안했던 휴 오스몬드는 주주총회이후 제의를 철회한 상태이지만 스타우드나 메리어트 등 미국에 본사를 둔 호텔 그룹이나 사기업가 등 세계 최대의 소유권 이전이 될 이번 문제에 대해 많은 관계자들이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 식스 컨티넨츠는 전세계 1백개국 이상에 3천 3백개 이상의 호텔과 대략 51만 5천개의 객실을 보유한 거대호텔기업이다. 소유한 호텔 브랜드로는 인터컨티넨탈, 크라운 프라자, 홀리데이인, 홀리데이인 익스프레스, 그리고 스테이브리지 스위츠 by 홀리데이인 등 5개이다. 케몬스 윌슨이라는 이름의 미국 사업가가 1952년 멤피스에 홀리데이인 호텔을 오픈하면서 시작된 호텔 사업은 미국의 고속도로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발전하였다. 1990년 식스 컨티넨츠 PLC(그당시 Bass PLC)가 홀리데이인을 인수함으로써 본사를 멤피스에서 아틀란타로 이전하게된다. 호텔 브랜드 별로 살펴보면, 전세계적으로 1천 5백개 이상의 호텔을 보유한 홀리데이인은 대표적인 호텔 브랜드의 하나로 자리잡아나가고 있다. 홀리데이인 익스프레스는 1991년 처음 도입된 브랜드로 식음료 매장이 없이 객실만으로 한정된 서비스를 중저가로 제공하는 호텔로 현재 1천 3백개 이상의 호텔이 운영중이다. 좀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1994년 도입된 크라운 프라자 호텔 & 리조트는 전세계 40개국에 1백 90개의 호텔을 운영중이다. 미팅과 컨퍼런스 쪽의 시설과 스탭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는 등 비즈니스 호텔로 성공적인 운영을 펼치고 있다. 스테이브릿지 스위츠 by 홀리데이인은 1997년 도입된 가장 최근의 브랜드로 장기체류자 시장을 공략한 호텔이다. 현재 미국과 캐나다에 50여 개가 운영중이다. 식스컨티넨츠의 대표적인 브랜드인 인터컨티넨탈 호텔&리조트는 1998년 3월 사이손 그룹(Saison Group)에서 바스 PLC(Bass PLC)로 29억달러에 인수되어 식스컨티넨츠 그룹에 1백87개의 호텔을 더해주었다.
글 / 허수정 기자 -호텔&레스토랑잡지 4월호 표 참고-
첫댓글 수구하시네요^^ 앞으로도 많이 올려주세요 성하씨^^ 수고하세요 !!!!
성하씨는 호텔리어를 꿈꾸는가부다. 멋있다~~~~~ 절 어울릴것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