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청매실 흙놀이터 원문보기 글쓴이: 개미농부
수컷성충은 몸길이가 6~7㎜이고 날개를 편 길이가 12~13㎜인 작은 나방이다. 머리 · 가슴 · 배 모두 암회색이다.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약간 크며 알은 납작한 원형이고 유백색이며 진주광택을 가지고 있다. 1주일 후에는 광택을 잃고 홍색을 띠게 되며 7~15일 사이에 유충이 깨어 나온다. 유충의 머리는 황갈색, 몸은 엷은 등황색이며 등에는 약간의 돌이가 나있으며 나무껍질 속이나 죽은 가지 등에 고치를 지으며 타원형이고 길이는 10~13㎜이다.
새순과 과실을 먹어 들어가 피해를 준다. 새순 피해는 복숭아나무가 가장 심하고 그 다음이 사과 및 기타 과수 순이다. 4월 하순~5월 상순 제1회 발생한 유충은 자두나무의 새순을 갉아 먹고 제2회 유충은 새순과 웃자란 가지 및 과실을 먹어 들어가며 3~4회 유충은 과실만 가해한다. 피해 새순은 말라서 황색으로 변하며 진과 똥을 배출하므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과실에 침입하면 침입구로부터 즙액과 동이 배출되므로 각종 나방과 파리 · 말벌 · 꽃등애 · 개미 등이 몰려들게 되며 각종 병균이 전염되어 부패된다.
년 4~5회 발생하며 주로 노숙유충으로 조피틈에 고치를 짓고 월동한다. 봄에 용화하여 제1회 성충은 4월 중순~5월 중순에 잎뒤에 산란하고, 여기서 부화한 유충은 몇 개의 신초를 옮기며 식해한다. 제2회는 6월 중하순, 제3회는 7월 하순~8월 상순, 제4회는 8월 하순~9월 상순에 대발생하고 일부는 9월 중순경에 성충이 나타나나, 7월 이후는 세대가 중복되어 구분이 곤란하다. 낮에는 나무그늘에 숨고 해가 진후에 나와 활동한다. 다소 주광성(走光性)이 있어 해가 진후 30~60분 사이에는 유인되는데 강한 광선보다 약한 공선에 유인된다. 알을 낳는 곳은 1화기에는 자두나무 새순 끝에서 3~5매 하부의 잎 뒷면에 1개씩 낳고 제2회 성충 일부와 3~4회 성충은 과실에 보통 3개씩 알을 낳는다.
성충은 체장이 7~8㎜이고 앞날개는 회백색이며, 알은 직경 0.3㎜정도의 납작한 원형이고 적색이다. 유충(애벌레)은 방추형이고 몸은 등색이나 사과나 배를 먹는 것은 몸빛깔이 엷고 자두, 복숭아나 대추를 먹는 것은 진한 경향이다. 다 자라면 12~15㎜가 된다.
부화유충의 식입구멍은 바늘로 찌른 정도로 작으며 거기서 즙액이 나와 즉시 말라서 희게 된다. 식입한 유충은 처음에는 과피에 가깝게 먹고 다니므로 그 흔적이 선상으로 착색이 되고 약간 기형과로 된다. 점차 내부를 종횡무진으로 먹으며 과심부에가지 들어간다. 노숙유충(늙은 애벌레)이 되면 겉에 1~2㎜의 구멍을 내고 나오며 이때 겉으로 똥을 배출하지 않는다. 반면 복숭아순나방은 꽃받침 부분을 얕게 가해하며 겉에 똥을 배출한다. 명나방류는 후기 복숭아의 과실에 송곳으로 뚫듯이 먹어 들어가며 겉으로 똥을 배출하나 실로 부착하지 않는다.
대부분은 년 2회 발생하며 노숙유충으로 땅속 2~4㎝에서 편원형의 단단한 겨울 고치를 짓고 월동한다. 5~6월에 겨울고치에서 나온 유충은 방추형의 엉성한 여름 고치를 짓고 용화한다. 청도지방에서 제1회 성충은 빠른 것은 5월 하순~6월 상순 늦은 것은 7월 하순까지 나온다. 알은 과실전면에 고루 산란하나 과경부에 많다.
부화유충은 실을 내며 과면을 기어 다니다가 식입하는데 약 20일 정도 되면 노숙유충이 되어 과실에서 탈출, 지면으로 떨어져 적당한 장소에 고치를 짓는다. 7월부터 8월 중순 이전에 과실에서 탈출한 유충은 대부분 여름고치를 짓고 용화하며 제2회 성충은 7월 하순~9월 상순에 걸쳐 발생하고 최성기는 8월 상순경이다. 성충은 낮에 줄기 · 잎 · 나무 밑의 잡초사이 등에 숨어 있다가 해가지면 나와 활동하며 산란한다.
구 분 | 복숭아순나방 | 복숭아심식나방 |
---|---|---|
발생회수 | 년4회 ~ 5회 | 년2회 |
피해과실의 모양 | 과일이 변색된다. | 과실표면이 울퉁불퉁하다. |
분비물 | 배설물이 나온다. | 배설물이 나오지 않는다. |
과실식용여부 | 일부식용가능 | 식용불가 |
겨울나기장소 | 나무껍질, 쓰레기 | 땅속 |
겨울나기상태 | 고치속(늙은 애벌레) | 겨울 고치 |
성충의 몸은 길이가 15~16㎜이며 검은자색이고 머리는 검은색이다. 더듬이는 기부가 약간 황색이고 다른 부분은 전부 검은 남색이다. 배에는 두 개의 노란 띠가 있으며 날개는 투명하고 날개맥만 검은색이다. 알은 납작한 구형이고 담황색이다. 나무껍질의 갈라진 틈에 1~2개씩 붙어 있다. 유충은 머리가 황갈색이고 몸은 담황색이며 각 마디는 노란색이다. 몸 길이는 23㎜정도이다.
유충의 나무줄기를 가해하므로 수지(樹脂)가 발생되며 수세가 약해지고 심하면 말라 죽는다. 자두 이외에 복숭아나무에 피해가 심하다
성충의 발생시기가 일정치 않고 일단 줄기 속으로 들어가면 약제방제가 곤란하다. 봄철에 가해를 시작하기 이전(4월 하순~5월 상순)에 수지나 벌레똥을 찾아서 DDVP유제 50~100배약으로 피해부위에 분무나 주사로 액이 충분히 투입되어 유충의 몸에 붙을 수 있게 살포한다.
1년에 빠른 세대는 23회 늦은 것은 9회 발생하며 복숭아나무 눈부근에서 알로 월동한다. 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된 약충은 단위생식을 한다. 무시충을 태생(胎生)하면 새순 또는 새잎에 기생하여 흡즙하고 잎이 세로로 말린다. 5월상 · 중순에 유시충이 생겨 인근 나무나 여름숙주로 옮아간다. 온도가 계속 높고 비가 적으면 6월 상 · 중순까지 복숭아원에 있으나 대체로는 5월 하순~6월 상순에 하작물로 이동한다. 거기서 6~18세대를 경과하고 10월 중 · 하순이 되면 다시 겨울숙주인 복숭아나무로 이동하여 산란성 암컷이 되어 교미 후 11월에 월동란을 낳는다.
※ 각 동계약제 살포는 최소 2주간의 차이를 두어야 약해발생이 없음
석회유황합제 희석표
살포액농도\원액농도 | 보베 26도 |
27 | 28 | 29 | 30 | 31 | 32 |
---|---|---|---|---|---|---|---|
보매 0.3도 | 170cc | 164 | 155 | 150 | 143 | 137 | 131 |
0.5도 | 280 | 272 | 262 | 250 | 240 | 230 | 22.3 |
5.0도 | 2.880 | 2.720 | 1.620 | 2.500 | 2.400 | 2.300 | 2.200 |
석회유황합제 희석표
신 호 칭 | 구 호 칭 | 물1001 (4두5승) |
신 호 칭 | 구 호 칭 | 물1001 (4두5승) | ||
---|---|---|---|---|---|---|---|
유산동 | 석 회 | 유산동 | 석 회 | ||||
8-8식보르도액 | 3두식보르도액 | 800g | 800g | 4-2식보르도액 | 6두식석회반량 | 400g | 200g |
6-6식보르도액 | 4두식보르도액 | 600g | 600g | 3-12식보르도액 | 8두식석회4배량 | 300g | 1.200g |
6-3식보르도액 | 4두식보르도액 | 600g | 300g | 3-9식보르도액 | 8두식석회3배량 | 300g | 900g |
4-8보르도액 | 4두식보르도액 | 400g | 800g | 3-6식보르도액 | 8두식석회2배량 | 300g | 600g |
4-6식보르도액 | 6두식석회3/2량 | 400g | 400g | 3-3식보르도액 | 8두식 | 300g | 300g |
4-4식보르도액 | 6두식 | 400g | 400g |
구 분 | 원 료 | 비 중 (보메) |
산 량 (%) |
pH | 용해타료 (%) |
굴절률 (%Brix) |
육안 판별 |
---|---|---|---|---|---|---|---|
전통식숯가마 또는 이를 응용한 장치 |
침엽수 | 0.6~5.5 | 1.5~5.0 | 3.5이하 | 2.0이하 | 3.5이상 | 적갈색, 투명 |
활엽수 | 0.6~2.5 | 3.0~6.5 | 3.5이하 | 1.5이하 | 3.5이상 | 적갈색, 투명 | |
기계식탄화로 | 활엽수 | 0.6~2.5 | 3.0~6.5 | 3.5이하 | 1.5이하 | 3.5이상 | 적갈색, 투명 |
활엽수 (주) |
2.5~5.5 | 4.5~9.0 | 3.5이하 | 5.0이하 | 7.0이상 | 적갈색, 투명 | |
증류목초액 | 침엽수 | 0.0~2.5 | 0.8이상 | 3.5이하 | 0.3이하 | 0.8이상 | 담황색, 투명 |
활엽수 (주) |
0.0~2.5 | 1.0이상 | 3.5이하 | 0.3이하 | 0.8이상 | 담황색, 투명 |
※ 목초액 품질기준은 산림법 제 53조의 규정에 의거 임업연규원에서 고시하였으며 이를 위반시 산림법제 122조 제 2항에 의거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있음.
구 분 | 사 용 방 법 | 주 의 사 항 |
---|---|---|
수도(벼) | (유묘기)500배액을 2~e회 살포 (본답)모내기 1주후 500배액을 살포 (농약살포시)500배액을 2~3회 살포 |
|
과수류 | (개화전후)500배액을 엽면살포 (낙화기)500배액을 엽면살포 (착색기)500배액을 2회 엽면살포 (수확기)300~500배액을 수확 1주일 전까지 엽면살포 |
개화기는 약해가 우려되므로 살포를 금지하고 과살이 탁구공만하면 살포를 중지 할 것 |
과채류 | (이식기)배액을 15일 간격으로 2개월간 살포 (이식후)800배액을 수확 1주일전까지 살포 |
수확직전에는 살포를 금지할 것 |
근채류 | (발아기)600~1000배액을 10~15일 간격으로 2회 엽면살포 (발아후)500~800배액을 수확 15일전까지 |
|
엽채류 | (발아기)700배액을 5일 간격으로 2회 엽면살포 (발아후)500배액을 1주 간격으로3회 엽면살포 (이식기)1000배액을 15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 (이식후)800배액을 수확 15일전까지 살포 |
|
화훼류 | (삽목시)심기 7일전 20배액을 평당 2~31살포 (심은후)순자를때까지 700배액을 10일간격 으로 2회 살포 (꽃눈분화시)700배액을 10~15일 간격으로 3회 살포 (수화기)600배액을 7~15일 간격으로 살포 3회 살포 |
※ 본 교재에서 예시한 사용방법은 목초 조제협회 제시안을 기준으로 작성한 자료이므로, 사용시에는 제조회사별 사용설명서(라벨)를 참고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과일식초는 환경농업 및 저농약 사용으로 족보 있는 안전한 복숭아 생산을 위한 작물 보호제로 곰팡이균 발생억제 효과가 탁월하여 지도자료로 활용하고자 함(과일 식초는 산성으로써 PH308 정도임)
|
출처: 청매실 흙놀이터 원문보기 글쓴이: 개미농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