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부시집
한나라 시대의 악부시
乐府,中国古代民歌音乐。乐府是古代音乐机关,秦代以来朝廷设立的管理音乐的官署,到汉时沿用了秦时的名称。公元前112年,正式成立于西汉汉武帝时期,收集编纂各地民间音乐、整理改编与创作音乐、进行演唱及演奏等。 汉魏六朝以乐府民歌闻名。“乐府’本是汉武帝设立的音乐机构,用来训练乐工,制定乐谱和采集歌词,其中采集了大量民歌,后来,“乐府”成为一种带有音乐性的诗体名称。今保存的汉乐府民歌的五六十首,真实地反映了下层人民的苦难生活。如《战城南》、《东门行》、《十五从军征》、《陌上桑》等,其文体较《诗经》,《楚辞》更为活泼自由,发展了五言体、七言体及长短句等,并多以叙事为主,塑造了具有一定性格的人物形象。《孔雀东南飞》(又名《古诗为焦仲卿妻作》)、《木兰辞》是汉魏以来乐府中叙事民歌的优秀代表作,称为乐府双璧 <바이두>
- 악부는 중국 고대 민간인들이 부른 노래이다. (원래) 악부는 중국 고대 음악을 맡는 관청(음악기관)이었다. 秦나라 이후엔 조정에 음악을 관리하는 관서가 설립되어 있지 않았다. 기원전 112년 서한의 한무제 당시에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관청 설립은 한나라 한문제 때지만 그 이전부터 민간음악은 오래전부터 구전되거나 기록되어 왔다.) 각 지역의 민간음악을 수집하여 편찬했고, 노래와 연주 등을 같이 정리개편해 왔다. 한나라, 위진남북조는 악부민간가요로 명칭을 삼았다. 악부는 본래 한무제가 설립한 음악관청기구로 음악인들을 교육하였으며, 악보를 새로 쓰고, 가사를 채집했다. 그런 가운데 대량으로 민간가요를 채집했다. 이후에 악부는 음악적 성질을 지닌 詩體로 그 명칭을 삼았다. 현존하는 한나라 악부 민가는 50~60여 수이다. <전성남>, <동문행>, <15종군정>, <맥상상> 등이 있다. 그 문체는 시경, 초사 등으로서 자유롭게 전개되었고, 5언체, 7언체 그리고 장단구로 나타나기도 하고, 서사문이 주가 되거나 인물이 지닌 성격을 드러냈다. <공작동남비>, <목란사>는 한나라 위나라 이래 악부서사민가 중에서도 가장 우수한 대표작으로 악부의 쌍벽을 이룬다.
* 고려~조선시대의 악부
악부문학이 우리 나라에 수용된 것은 미상이나 고려 중엽 이후 악부라는 명칭이 문헌에 산견된다. 그러므로 이제현(李齊賢)의 「소악부」 이외는 대체로 송사(宋詞)를 의미한 것으로 보인다.
이제현의 「소악부」는 칠언절구의 짧은 시이나 그 소재가 민간에 유행되는 가요의 한역시라는 점에서 중국 악부시와 공통성을 지닌다. 이러한 종류의 소악부로는 이제현과 같은 시대인 민사평(閔思平)의 「소악부」가 있으며, 조선 후기에 시조를 한역한 신위(申緯)의 「소악부」, 이유원(李裕元)·이유승(李裕承)의 「소악부」가 있다.
악부라고 명제(命題)된 작품이 산출된 것은 조선 세조 때에 김종직(金宗直)의 「동도악부 東都樂府」로부터 시작된다. 여기서는 「회소곡 會蘇曲」·「우식곡 憂息曲」·「달도가 怛忉歌」·「양산가 陽山歌」·「대악 碓樂」·「황창랑 黃昌郎」 등의 『삼국사기』·『삼국유사』 소재의 사실(史實)과 설화적인 이야기를 주내용으로 하는 7편의 노래를 읊고 있다. 「동도악부」 이후에 악부는 거의 1세기 이상 동안 계승자를 가지지 못하였다.
17세기 초에 심광세(沈光世)가 「해동악부 海東樂府」(1617)라는 제명 하에 44편의 시를 저술한 이후, 김만중(金萬重)의 「서포악부 西浦樂府」(3편), 임창택(林昌澤)의 「해동악부」(35편), 이익(李瀷)의 「해동악부」(199편), 이광사(李匡師)의 「동국악부 東國樂府」(30편), 신광수(申光洙)의 「관서악부 關西樂府」(108수), 안정복(安鼎福)의 「순암악부 順菴樂府」(5편), 홍양호(洪良浩)의 「청구단곡 靑丘短曲」(26편)·「북새잡요 北塞雜謠」(48편), 정약용(丁若鏞)의 「탐진악부 耽津樂府」·「탐진촌요 耽津村謠」(20수)·「탐진농가 耽津農歌」(5수)·「탐진어가 耽津漁歌」(10장)가 저술되었다.
그리고 이학규(李學逵)의 「영남악부 嶺南樂府」(68편)·「해동악부」(56편), 김려(金鑢)의 「사유악부 思牖樂府」(상 147수, 하 143수), 조현범(趙顯範)의 「강남악부 江南樂府」(151수), 박치복(朴致馥)의 「대동속악부 大東續樂府」(28편), 윤달선(尹達善)의 「광한루악부 廣寒樓樂府」(108첩, 1852), 이유원의 「가오악부 嘉梧樂府」(264편)가 계속하여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