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가의 비밀, 물리학이 푼다
2005년 11월 25일 | 글 | 김상연, 임소형 기자
물리학자들 주가 변화 패턴 ‘프랙털’이론으로 규명 움직임
코스피지수가 24일 사상 최고치(1,282.02)를 경신하는 등 주식시장이 활황세다. 주가를 족집게처럼 집어낼 수는 없을까. 최근 물리학이 주식시장을 두드리는 주문을 외고 있다.
물리학자들은 주가 그래프 속에 특정 패턴이 숨어 있다고 본다. 바로 ‘프랙털’이다. 프랙털은 단순한 모양이 반복돼 복잡한 모양이 만들어지는 것을 뜻한다. 복잡한 전체 모습이 단순한 기본 구조를 닮은 것. 번개, 해안선, 고사리 등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프랙털 구조다.
김승환 포항공대 물리학과 교수는 “주가는 여러 성질의 프랙털이 섞여 있는 다중 프랙털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다양한 소파동이 전체 주가 파동 속에 섞여 움직인다는 뜻으로 각각의 파동을 이해하면 주가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 교수는 삼성경제연구소와 4년 동안 물리학과 경제학의 만남을 주제로 공동 연구를 하고 있다.
1995년 미국 보스턴대 물리학자들은 증시에 상장된 1000개 기업을 ‘통계물리적 해석’이라는 새로운 방법으로 분석했다. 이때 경제물리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가 탄생했다.
물리학자들은 주식시장을 날씨와 비슷한 복잡계로 보고 있다. 날씨는 워낙 많은 기상 요소가 복잡하게 작용해 아주 작은 변화가 큰 변화를 낳을 수 있다. 나비의 날갯짓이 태풍을 일으킨다는 ‘나비효과’가 바로 그것이다. 김 교수는 “복잡계 경제학에서는 시장, 조직, 기관, 투자자들이 서로 영향을 주며 작용해 끊임없이 요동하며 네트워크를 만든다”고 말했다.
국제 투자가인 조지 소로스도 자신의 헤지펀드(외환, 국제증권에 투자하는 펀드)에 입자들이 서로 영향을 준다는 양자역학적 의미를 살리고자 ‘퀀텀펀드’라고 이름을 지었다.
주식시장에서 가장 어려운 상품이 바로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이다. 이 중 옵션의 가격을 정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이 바로 열역학에서 나온 열전도 방정식이다.
열역학에서는 공기, 액체에서 열과 입자가 확산되는 현상을 숫자와 공식으로 표현한다. 특히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05년 세운 열전도방정식은 공기에서 입자의 확산을 잘 설명한다. 이 업적은 상대성이론과 함께 아인슈타인의 대표 업적으로 꼽힌다.
장경천 중앙대 상경학부 교수는 “1973년 미국 시카고대 경제학자 마이런 숄스와 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학자 피셔 블랙은 열전도 방정식을 변형해 옵션의 가격을 계산해내는 모형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블랙-숄스 모형을 이용하면 옵션 판매에 따르는 위험을 95%까지 없앨 수 있어 파생상품 거래의 혁명을 일으켰다. 숄스 박사는 이 업적으로 1997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선물 등 파생상품 모형 개발… 한국서도 금융공학 전문가 양성 추진
지금도 파생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워낙 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야 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로켓과학자들이 월가로 대거 진출해 파생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김동석(금융공학) 한국과학기술원(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는 “한국에서 팔리고 있는 주가연동예금의 대부분이 외국 상품을 빌려온 것이며 파생상품 거래도 질과 양에서 부족하다”며 “경제학과 수학, 과학 능력을 결합한 금융공학 전문가 양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KAIST는 내년 봄학기부터 금융전문대학원을 설립해 석사과정 200명을 모집할 계획이다. 과학동아는 ‘금융을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과학’을 12월호 특집으로 다뤘다.
선진국의 경제 애국주의
-현대경제연구원 상무 유병규
세계화는 21세기 지구촌 경제의 운명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반발하거나 역행하는 현상들도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이의 예로는 우선 세계화로 인해 발생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과 같은 부작용에 대한 비정부단체(NGO)들의 인도적 차원의 거센 반발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세계무역기구(WTO)나 다보스 포럼과 같은 세계화를 위한 국제회의 때마다 반세계화를 외치며 과격 시위도 서슴지 않고 있다. 그 결과 ‘인간의 얼굴을 위한 세계화’라는 애매한 세계화의 방향마저 설정되기도 하였다.
세계화에 역행하는 또 다른 경우는 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경제 애국주의(Economic Patriotism)’ 또는 ‘민족주의’ 현상이 확산되고 있는 점이다. 재미있는 것은 이같은 실례가 중국이나 한국과 같은 개도국이 아니라 세계화로 가장 큰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과 유럽의 선진 경제국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세계화의 상징적인 투자 전략인 글로벌 기업 인수합병(M&A)에 대해 미국, 프랑스, 독일 등이 자국 산업의 보호라는 미명 아래 제동을 걸고 있는 것이다. 세계 투기 자본의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은 중국 해양석유총공사가 자국의 석유회사 유노칼을 인수하려고 하자 안보를 빌미로 중국의 시도를 무산시켜 버렸다. 중동 국가인 아랍에미리트연합의 항만 운영 회사인 두바이포트월즈사가 미국 6개 항구에 대한 운영권을 인수하려는 계획도 결국은 없던 일이 됐다. 프랑스는 이탈리아의 에너지 업체 에넬이 자국의 에너지 기업인 수에즈를 인수하려 하자 국영 업체를 내세워 이를 저지했다. 프랑스의 자국 산업 보호에 대해 이탈리아도 자국 기업의 경영권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관련 법규를 개정해 맞설 태세다. 독일 역시 세계적인 헤지 펀드의 횡포로 유능한 독일 경영인들이 쫓겨나는 사태가 발생하자 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라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선진국들의 반세계화 현상은 그들이 추진한 세계화의 역풍에 대한 자기 방어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화의 혜택을 입고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중국과 같은 신흥 경제대국이나 고유가를 바탕으로 풍부한 자본을 모은 중동 국가들이 부메랑처럼 선진국 산업을 위협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자 이제 이들 국가들과 기존 선진국들과의 갈등이 불거지고 있는 것이다. 결국 21세기 세계 경제는 당분간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세계화가 확대되는 한편으로 환율 전쟁, 통상 마찰, M&A 전쟁과 같은 경쟁과 불화 역시 깊어질 전망이다. 그야말로 각국의 국경을 허문다는 세계화와 자국의 이익을 지키려는 민족주의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병존하며 대립 충돌하는 양상이 전개되는 것이다.
세계화의 종주국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에서 경제 애국주의가 고개를 들고 있는 가운데 한국에서는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인 헤지 펀드들의 경영 위협을 끊임없이 받고 있다. 칼 아이칸의 KT&G에 대한 적대적 M&A 시도에 대해서는 주요 해외 언론들까지 ‘피도 눈물도 없는 기업 사냥꾼’의 무분별한 경영권 찬탈 음모로 비난하고 있다. 국내 주식 시장 규모가 작아 외국 자본의 유출입에 주가가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상황에서 향후 포스코와 같은 한국의 괜찮은 기업들은 세계 자본의 무차별적 공격 대상이 될 공산이 크다. 국제 투기 자본들은 이를 통해 해당 기업 주가의 시세 차익과 함께 경영권 확보라는 전리품도 얻게 될 것이다.
외국 자본의 사냥감으로 노출돼 있는 국내 기업들은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여건에 처해 있어 갈수록 경영권 방어에 신경을 써야 할 판이다. 대내적으로는 지배 구조의 건실화를 위한 출자 규제에 묶여 있고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스탠더드 명분으로 외국 자본에 대한 견제 장치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외국 자본에 대한 규제를 주장하는 것은 이것이 선진국에서 이미 시행하는 글로벌 스탠더드 수준일지라도 시대에 뒤떨어진 국수주의로까지 몰리고 있다. 국가간 경제 장벽이 사라지는 세계화 속에서도 경제 주권은 엄연히 살아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미국이나 유럽 선진국의 ‘경제 애국주의’가 이들 국가들에만 해당돼야 하는 것인지 다시 한번 곰곰이 생각해 봐야 한다.
잘사는 길
-공병호경영연구소 소장 공병호
생각이 부유하면 삶도 부유해질 수 있지만, 생각이 가난하면 삶도 가난해 질 수밖에 없다. 근래 우리 사회를 지켜보면서 '좀더 잘 할 수 있을 텐데'라는 아쉬움의 많은 부분들이 생각에서 비롯된다는 판단 때문이다. 똑 같은 두 사람이 같은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들은 각각 머리 속에 어떤 개념을 갖고 살아가느냐에 따라 세상을 전혀 다른 모습으로 이해될 것이고, 그것에 따라 나오는 정책들도 다를 수밖에 없다.
최근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양극화 문제만 해도 그렇다. 일부 사람들은 상위 20% 대 80%의 대결 구도로 몰아가고 있지만 실제로 소득 분배에 관한 통계 자료를 이용하면 상위 20%와 하위20% 사이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을 뿐 중간층 60%의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는 증거를 찾기는 어렵다.
사업을 하든 정치를 하든 간에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려고 노력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정의롭지 못한 목표를 정하고 그것에 맞추어서 현실을 꿰맞추려 하다보면 커다란 부작용을 낳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
부자와 빈자의 대결 구도로 세상을 바라보기 시작하면 그곳에는 세금을 거두어서 재분배에 적극적으로 정부가 개입하는 정책 이외에 다른 대안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 정책을 사용해서 잘 된 나라의 사례가 세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현대사 책을 한번이라도 들추어 보라. 놀랍게도 증세와 거대정부 그리고 광범위한 복지 정책을 사용해서 나라의 토대를 굳건히 한 사례는 없다.
세상을 현명하게 살아가는 방법은 다른 사람들이 일찍이 경험하였던 것으로부터 배움을 청하는 것이다. 그것은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비용을 절감하게 해 줄 것이다. 게다가 그냥 배우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자신 만의 스타일을 창조하게 되면 대단한 성공이란 결실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생각을 바꾸면 우리의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찾아낼 수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서울시를 거쳐 갔지만 서울시의 광장을 새로운 관점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실천에 옮겨서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는데 성공한 경우는 없다. 특정인을 두고 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누구든지 세상의 이모저모를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면 부(富)나 편리함을 창조할 수 있는 영역은 거의 무한대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강조해 두고 싶다. 결국 인간이란 자신의 상상력의 한계, 다시 말하면 생각의 한계까지 성장할 수 있음을 뜻한다.
우리 한국인들은 우리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장점과 가능성을 갖고 있다. 상승 의지가 강한 사람들, 적응력과 순발력이 뛰어난 사람들, 고도성장을 통해 부를 축적해 본 경험을 가진 사람들, 잘 짜여진 사회간접 자본, 기반을 잘 닦은 기업들 등을 하나하나 따져 나가다 보면 근래에 우리가 가진 자원을 한껏 활용하는데 실패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한국이란 공동체가 자신이 가진 가능성의 영역을 한껏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올바른 생각의 정립이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부(富)란 결코 주어진 것을 나누어 갖는 일종의 '제로섬 게임'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는 일이다. 부(富)란 얼마든지 창조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두고 '포지티브 섬 게임'의 산물이라는 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시각으로 우리 사회의 곳곳을 둘러 보면 우리가 이 정도의 성장률에서 오랫동안 정체를 면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다소의 분노와 불편함을 느껴야 한다. 한국 사회는 지금보다 더욱 높은 기대 수준을 가져야 하고, 그런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과제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 그것은 '나누어 가져야 한다'로부터 '창조해 나가야 한다'로 관점을 전환하고 문제 해결책을 찾는 일이라 하겠다.
한국영화 신기록의 그늘
-상명대 영화학과 교수 조희문
[경인일보2006.3.10] '왕의 남자'란 영화가 또 다시 한국영화 신기록을 갈아 치웠다. '실미도' '태극기 휘날리며'가 ‘1천만 관객’ 기록을 돌파했다고 온 나라가 흥분했던 기억이 채 가시기도 전에 그 기록을 뒤로 밀어 버린 것이다. 영화의 어떤 요소가 사람들을 감동시켰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말들이 여기저기에 분분하다. 배우들의 연기가 좋았다거나 광대들의 자유로운 방랑자 기질이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고 하는 경우도 있고, 왕을 희롱하며 권력을 조롱하는 구성이 현실정치에 대한 대리만족으로 공감대를 넓혔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뭐라고 하든 다 맞는 진단이다. 어차피 결과를 두고 하는 말이라면 무엇이 틀리겠는가.
오히려 이 영화를 통해 주목해야 할 부분은, 무엇이 관객들을 그렇게 많이 불러 모을 수 있었는가라는 이유보다 ‘왜 우리는 영화에 열광하는가’라는 점이다. ‘왕의 남자’는 1천200만 명 관객을 넘기고 있다. 아직도 열기가 완전히 식은 것이 아니어서 관객 숫자는 한동안 더 올라갈 것 같다. 그러나 아무리 이 영화가 특별한 요소를 담고 있다 하더라도 영화 한편을 두고 온 국민이 열광한다는 것은 뭔가 이상하다.
1천200만 명이라면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 영화를 볼만한 사람이라면 거의 다 봤다는 수준이다. 우리나라(남한) 인구를 4천800만명 수준으로 계산하면 잠재관객은 아무리 높여 잡아도 2천만 명을 넘지 않는다. 15세 미만의 청소년, 거동이 불편하거나 아주 연로하여 극장에 가지 못하는 노약자들, 개인적인 취향이나 이런저런 이유로 극장에 가지 않는 사람들을 빼고 나면 그 정도라는 뜻이다. 그런데 한편의 영화에 국민 전체 인구의 4분의 1, 관람 가능한 잠재 관객의 절반 이상이 몰렸다는 사실은 ‘취미’나 ‘교양’의 문제와는 다른 성격의 현상이다. 열풍의 수준을 넘어 집단적 열광이나 최면의 양상처럼 보인다.
지난 1999년, 남북한 비밀 정보요원들의 대결을 그린 영화 '쉬리'가 한국영화로서는 처음 전국 관객 600만 명을 넘기는 흥행기록을 세웠다. 이전에는 흥행방식이 단일 극장에서 계속 상영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고, 관객 기록도 개봉관 극장에서 입장한 숫자만을 헤아렸다. '서편제'가 한국영화로서는 처음 ‘100만 관객’을 돌파했다고 했을 때는 단일 극장에서의 기록을 잰 것이다. 그런데 '쉬리'에 이르러서는 여러 개의 극장에서 동시에 상영하는 ‘와이드 릴리스’ 방식으로 전환했고, 관객 집계도 ‘영화를 본 모든 관객’으로 바뀌었다. 이때부터 영화 흥행기록은 우리 사회의 집단적 동일성을 가늠하는 숫자로 떠올랐다. '쉬리'가 세운 흥행 기록은 다시 넘기 어려운 감동의 역사라고 생각했지만 '공동경비구역JSA' '친구' '실미도' '태극기 휘날리며'가 차례로 600만, 800만, 1천만 기록을 넘겼다. 그 기록을 다시 '왕의 남자'가 뒤집어 버린 것이다. 6년 남짓한 기간에 신기록이 여섯 번 바뀐 것이니 해마다 기록을 다시 쓴 셈이다. 온 국민이 영화보기를 생활화하고, 독립운동 하듯 경건하게 대하지 않았다면 도저히 볼 수 없는 현상이다. 그야말로 ‘죽기 살기’로 영화를 봤다는 뜻이다. 덕분에 한국영화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산업적 성장을 이루기는 했지만 우리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 정신건강이라는 측면에서는 오히려 걱정스럽다. 영화를 즐기는 것이 아니라 영화 속으로 도피하거나 위안을 찾으려는 불안한 몸부림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영화의 세계는 환상이다. 현실에서 얻고 싶은 것, 이루고 싶은 것 그러나 실현할 수 없는 것들을 대신해 줄 수 있다. 영화를 보는 동안은 다른 세상, 딴 사람이 된 것 같은 만족감에 빠질 수 있는 것이다. 여유롭게 즐기는 한편의 영화는 생활의 에너지가 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몰입하고 열광하는 것은 답답한 현실을 벗어나기 위한 맹목적인 추종이거나 도피일 가능성이 더 크다. 불안하고 어두운 시대일수록 영화에 대한 열광이 넘쳤던 것은 세계영화 역사가 증명한다. 해마다 바뀌는 한국영화 흥행 신기록이 한편으로는 우리 사회의 불안한 그늘처럼 보이는 이유다.
[번역]Government supports poor households
[코리아헤럴드 2006-03-15]
The government said yesterday it will support poor households in emergencies such as death, disease and fire from March 24.
The needy will receive 700,000 won in living expenses or 3 million won in medical expenses (for four family members), according to the ordinance of law decided during a Cabinet meeting.
Under the current system, it takes over two weeks to get help because of a complicated application process, but once the changes take effect, it will take three or four days to get support.
By dialing 129, councilors are available for 24 hours for 365 days a yea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aid.
For support, people should have less than 15 million won of income and 95 million won of property in big cities and 77.5 million won in medium-sized and small cities.
The government predicts that about 60,000 people will benefit this year from the allocated budget of 61 billion won.
The increased support for the needy is part of the government`s efforts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the haves and have-nots.
Calls for providing a social safety net for the poor are mounting as more people suffer from poverty.
Last year, a middle school girl died because a fire last year while sleeping beside a burning candle. The electricity in her house went off after she was unable to pay the bills.
In 2004, a 4-year-old boy was also found dead in a closet due to malnutrition.
Critics said it is also important to find those people in need first to give them a helping hand.
They said the government could have prevented the death of the school girl if it had checked the supply of electricity for the low-income bracket.
정부, 저소득층 적극 지원키로
정부는 3월 24일부터 가장 사망, 질병, 화재 등의 이유로 갑자기 생계유지가 곤란해진 저소득층 가계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라고 어제 말했다.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시행령에 따르면 이들 저소득층 가계 (4인 가구)는 70만원의 생계비 및 의료비 30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현행 제도 하에서는 복잡한 신청 절차로 인해 정부 지원을 받는데 2주가 넘게 걸리지만 이 시행령이 발효되면 3-4일 이내에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129번으로 전화하면 상담원들이 일년 365일 하루 24시간동안 서비스를 제공할 거라고 보건복지부는 말했다.
지원 대상은 소득이 4인가구 기준 150만원이하여야 한다. 재산기준으로는 대도시 9,500만원, 중소도시 7,750만원보다 적을 때로 제한했다.
정부는 올해 약 6만명이 이 제도를 통해 지원을 받게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소요 예산으로 610억원을 책정해놓고 있다.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 강화는 빈부 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부 노력의 일환이다.
빈곤계층이 늘어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사회안전망 강화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지난해 한 중학교 여학생이 촛불을 켜놓고 잠을 자다 발생한 화재로 사망했다. 당시 이 여학생의 집은 전기료를 내지 못해 전기가 끊긴 상태였다.
2004년에는 4살짜리 소년이 영양실조로 장롱에서 사망한 채 발견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도움을 주기 위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들을 찾아내는 일도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들은 정부가 저소득층에 대한 전기 공급 상황을 점검했더라면 어린 여중생의 죽음을 막을 수 있었을 거라고 말했다.
♥ 우리 목동정일학원생들 가운데 최근 목감기 로 고생하고 있는 이들이 늘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우리 학생들, 철저한 건강관리가 공부의 가장 기본임을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