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 세 내용
제사 순서 |
의미 |
내 용 |
조상모심 강신/ 降神
|
조상을 모심 |
(제주) 향을 피운다
(집사) 제주에게 술을 따라준다.
(제주) 술을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제주) 두 번 절한다. |
문안인사 참신/ 參神 |
조상에 대한 인사
|
(전원) 제사 참가자 모두 합동으로 두 번 절한다. |
첫잔드림 초헌/ 初獻
|
(제주) 향을 피운다.
(집사) 남자조상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부어준다.
(제주)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제주) 7부 정도 남은 술을 집사에게 준다.
(집사) 술잔을 밥과 국 사이에 놓고 젖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
(제주) 두 번 절한다. |
축문읽기 독축 / 讀祝
|
(전원) 모두 꿇어 앉는다.
(제주) 축문을 읽는다.
(전원) 두 번 절한다. |
둘째잔드림 아헌 / 亞獻 |
첫잔드림의 절차와 동일 (단, 모사그릇에 술 따르는 절차 생략한다.) |
끝잔드림 종헌 / 終獻 |
첫잔드림의 절차와 동일 (단, 모사그릇에 술 따르는 절차 생략.
술은 7부로 따른다.) |
식사권유 유식 / 侑食
|
조상의 음식 드심
|
(제주) 술주전자를 들고 남자조상의 잔과 여자조상의 잔에 술을 가득 따른다.
(제주부인) 메(밥)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메 한가운데 꽂는다.
(제주부인) 젖가락은 손잡이가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제주/제주부인) 같이 두 번 절한다. |
예전에는 식사권유 후 조상께서 편히 식사를 하시라는 의미로
문 밖에 나가 잠시 기다린 다음 숭늉을 올렸다.
요즘은 집 구조상 참사자들이 잠시무릎을 꿇고대기한후숭늉을 올리기도 한다.
|
숭늉올림 헌다 / 獻茶
|
(제주)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제주) 밥을 숭늉에 세 숫가락 말아 놓고 젖가락을 고른다. |
작별인사 사신 / 辭神 |
조상을 보내드림 |
(전원) 제사 참사사 모두 합동으로 두 번 절한다. |
지방소각 납주 / 納主 |
(제주) 향 앞에서 지방과 축문을 소각하여 재는 향로에 담는다. |
제상정리 철상 / 撤床 |
안쪽에 있는 음식부터 차례로 음식을 내린다. |
제사를 지내게 된 동기를 살펴보면 먼 옛날 사람이 원시적인 생활을 할 때 천재 지변이나
또는 사나운 맹수등의 공격과 질병으 로부터 보호를 받기 위한 수단으 로서
하늘과 땅 심수(深水), 거목(巨木), 높은 산. 바다. 조상 등에서 절차를 갖추어서 빌었던 것이니
이것이 즉 제사가 발생한 근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이 자연변화나 어떤 공격체나 또는 질병으 로부터 보호 받기 위한 수단으 로서 행하여져 온 제사는
중세와 근세에 이르러 차츰 유교적인 조상숭배의 제도로 변하여 졌으나.
그대신 유교적인 번잡한 절차와 자연숭배의 미신적인 의식이 높아지므로
가정마다 연간 제사를 지내는 횟수가 무려 48회 이상이나 되었다.
제례(祭禮)는 상례(喪禮)와 마찬가지로 그 의식절차(儀式節次)가 너무 복장하고 까다로워서
옛날부터 유학자(儒學者)나 예문가(禮文家) 사이에서 갑론을박의 논쟁이 많았을 정도였다.
우리나라의 제사는 고래부터 신명을 받들어 복을 빌고자 하는 의례로서 자연숭배의 제사 의식이 행하여 졌다.
삼국시대부터 자연신에 대한 제사가 자신의 조상에 대한 제사의례로 발전하였으며 일반 민중보다 왕가에서 먼저 행해졌다.
고려 말에 성리학의 수입과 더불어 "주자가례"에 따라 가묘를 설치하려는 운동이
사대부 사이에서 활발해 졌으나 사실상 가묘가 그다지 보급되지 않았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불교의례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주자가례"와 같은 유교의례가 사회전반에 쉽게 보급되지 않았다.
16세기 중엽부터 성리학이 심화 되면서 양반 사대부 사회에서 "주자가례"가 정착하게 되고 주자가례에서 명시된
4대조까지 제사를 지내는 전통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면서 조상에 대한 존경과 추모의 표시로 행하여 지고 있다.
축문(祝文)에 대(對)한 해설(解說)
축문의 종류는 여러 종류가 되는데 일일이 그격식을 따지자면 요즘같은 시대에 맞지 않을것이다. 시대가 변하고 생각하는 사고가 달라 졌는데 굳이 옛방식을 따를 필요가 없이 폐지되어야 할것은 폐지되고 현실에 맞는 그런 격식을 따라야 할것이다.
(상례(喪禮)와 제례(祭禮)에 따르는 여러 가지의 축문(祝文)과
고사(告辭)를 씀에 있어서 흔히 나오는 주요 문구(文句)를 다음에 설명해 둔다.
- (태세) : 제사 지내는 해의 간지(干支)
- (삭일) : 제사 든 달의 초하룻날 일진(日辰
- (일진) : 제사 날의 간지(간지(干支)
이상은 육십갑자(六十甲子)에 따른 것인데 책력을 보면 알 수 있다.
- (모관) : 남자의 경우 관직이 있는 사람은 그 관명(官名)을 쓰고 없으면 학생(學生)이라 쓴다.
- (모공) : 남자의 경우 타인이 말할 때에는 본관(本貫)과 (성(姓)공(公)이라 쓰고, 자손(子孫)이 직접 제사를 지낼 때에는 부군(府君)이라 쓰며 연소자에게는 이를 쓰지 않는다.
- (모봉) : 부인의 경우 옛날에는 남편이 관직에 오르면 그의 처도 따라서 품계(品階)를 얻어 호칭했으나 그것이 없으면 유인(孺人)이라 쓴다.
- (모씨) : 부인의 경우로서 남편에 따른 외명부(外命婦) 호칭을 쓰고 그 밑에 본관성씨를 쓴다.
- 제주촌칭(祭主寸稱)
제사 지내는 자손의 촌칭(寸稱)인데 초상을 당하면 졸곡(卒哭))전에는 부상(父喪)에는 고자(孤子), 모상(母喪)에는애자(哀子).
부모(父母)가 모두 안 계실 때는 고애자(孤哀子))라 쓰며, 조부상에는 고손(孤孫) 조모상에는 애손(哀孫), 조부모가 모두 안 계실 때는 고애손(孤哀孫)이라 쓰고, 담제이후에는 효증손(孝曾孫). 고조부모제사에는 효현손(孝玄孫). 남편의 제사에는 모씨(某氏). 아내의 제사에는 부(夫)라 쓴다.
- 제위(祭位)
제사를 받으실 당자인데 제주와의 촌수에 따라 각각 달리 쓴다. 부친은 현고(顯考),
- 모친은 현비(顯비), 조부는 현조고(顯祖考), 조모는 현조비(顯祖비), 증조부는 현증조고(顯曾祖考),
- 증조모는(顯曾祖비). 고조부는 현고조고(顯高祖考). 고조모는 현고조비(顯高祖
),
- 남편은 현벽(顯
), 처는 망실(亡室). 또는 고실(故室)이라 쓴다.
- 현자(顯字)는 고인을 높이는 뜻이다.
- 고사자성명(告祀者姓名)
- 산소에서 토지신(土地神)에게 고사를 지낼 때 직접 제주가 아니고 타인이 지낼 때에는
-
- 그 사람의 성명을 쓰고 직접 제주가 지낼 때에는 제주의 이름만 쓴다.
- 봉사자명(奉祀者名)
-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이름을 쓰되 제(弟)이하에는 쓰지 않는다.
- 감소고우(敢昭告于) (감조곡우 혹은 감소 고우)
- 처(妻)의 제(祭)에는 감자(敢字)를 삭제(削除)하고 소고우(昭告于)라 하며
- 제(弟) 이하(以下)에게는 고우(告于)만 쓴다.
- 여기에서 밝혀둘 것이 있으니 「감소고우(敢昭告于)」라는 말은 「감히 밝혀 아뢰옵니다」하는 말인데,
- 「감조곡우」라고 도 읽고 「감소고우」라고 도 읽는다.
- 그런데 자원(字源)을 보면「소(昭)」를 「소」라 하면 「평야(評也), 소대(昭代), 저야(著也)」 등의 경우이며
- 「광야(光也), 명야(明也), 효야(曉也))일 경우에는 「 조」라 한다.
- 그리고 「고(告)」는 「고상일곡(告上日告)」(곡)이요. 「발하일고(發下日誥)」 ( 고)라는
- 말이 「광운(廣韻)」에 기록(記錄)되어 있다. 따라서 「감소 고우」 로 흔히 읽지만
- 「감조곡우」가 정확(正確)한 독축(讀祝)이다.
- 애모불녕(哀慕不寧)
- 처(妻)에게는 비도산고(悲悼酸苦) 불자승감(不自勝堪). 형(兄)에게는 비통무사(悲痛無巳) 지정여하(至情如何),
- 제(弟)에게는 비통외지(悲痛(阜+畏)至) 정하가처(情何可處).
- 자(子)에게는 비념상속(悲念相續) 심언여회(心焉如(火+毁))라 쓴다.
- 주과용신건고(酒果用伸虔告)
- 제(弟) 이하(以下)에는 주과(酒果) 용고(用告) 궐유(厥由)라 쓴다.
- 호천망극(昊天罔極)
- 은혜가 하늘과 같이 크고 넓어서 헤아릴 수 없다는 뜻
- 부모(父母)에게는 호천망극(昊天罔極). 조부모(祖父母) 이상(以上)에게는 불승영모(不勝永慕).
- 남편(男便)에게는 불승감창(不勝感愴). 제이하(弟以下)에게는 불자승감(不自勝感)이라 쓴다.
- 근이(謹以)
- 처와 제(弟)이하에는 자이(玆以)라 쓴다.
- 복유(伏惟) : 처(妻)와 제(弟) 이하(以下)에게는 쓰지 않는다.
- 존령(尊靈) : 처(妻)와 제(弟) 이하(以下)에게는 유령(惟靈)이라 쓴다.
- 애천(哀薦).지천(祇薦) :애천 . 지천
- 처(妻)와 제(弟)이하는 진차(陳此). 백숙부모(伯叔父母)에게는 천차(薦此)라 쓴다.
- 향(饗) : 높이 받드는 문자(文字)이니 줄을 바꾸어 현자(顯字)와 함께 높이 쓴다.
- 현자(顯字)도 한 자 높이 쓴다.
기타(其他) 참고사항(參考事項)
정월(正月) 설날이나 팔월(八月) 추석(秋夕)과 같은 절사(節祀)에는
-
축(祝)이 없다고 하나축(祝)이 있어도 가하고
-
단작(單酌)으로 초헌(初獻)만 하며 그 밖의 절차는 기제(忌祭))와 같다.
-
또 묘제(墓祭))의 진설이나 절차는 기제사에 준하지만 먼저 참신(參神)하고 후에 강신(降神)한다.
축문서식(祝文書式)
각종(各種) 축문(祝文) 서식(書式)을 다음에 소개(紹介)한다.
출주고사(出主告辭) (사당(祠堂)에서 신주(神主)를 모셔 나을 때 읽는 축(祝).
금이(今以) 현고 모관부군 원휘지신 감정신주 출취정침 (청사) 顯考 某官府君 遠諱之辰 敢請神主 出就正寢 (廳事) (풀이) 오늘이 돌아가신 날이옵니다.
신주(神主)께서 정침(正寢)으로 나아가기를 감히 바라옵니다.
饗향
|
謹근 以이 淸청 酌작 庶서 羞수 恭공 伸신 奠전 獻헌 尙상
|
顯현 高고 祖조 考고 또는 顯현 高고 祖조
비 諱휘 日일 復부 臨임 追추 遠원 感감 時시 不불 勝승 永영 慕모
|
顯현 高고 祖조
비 孺유 人인 密밀 陽양 朴박 氏씨 歲세 序서 遷천 易역
|
顯현 高고 祖조 考고 某학 官생 府부 君군
|
敢감 昭소 告고 于우
|
歲세 次차 太태 歲세 某모 月월 月월 建건 朔삭 初초 某모 日일 日일 辰진 孝효 玄 현 孫손 哲철 壽수 |
維유
|
고조부모
〔뜻풀이〕
OO년 O월 O일 효손 OO은 삼가 고하옵이다. 고조할아버님 고조할머님 어느덧 해가 바뀌어 할아버님(또는 할머님)돌아가신 날을 다시 맞게 되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몇 가지 음식 음식으로 공손히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여 주시옵소서.
|
증조(曾祖)-효증손(孝曾孫) 고조(高祖)-효현손(孝玄孫) 제사축문(祭祀祝文) 같은 서식(書式)인데 다만 제위(祭位)와 봉사자 (奉祀者) 칭호만 촌수에 따라 달리 쓴다.
|
饗향
|
謹근 以이 淸청 酌작 庶서 羞수 恭공 伸신 奠전 獻헌 尙상
|
顯현 祖조 考고 또는 顯현 祖조
비 諱휘 日일 復부 臨임 追추 遠원 感감 時시 不불 勝승 永영 慕모
|
顯현 祖조
비 孺유 人인 密밀 陽양 朴박 氏씨 歲세 序서 遷천 易역
|
顯현 祖조 考고 某학 官생 府부 君군
|
敢감 昭소 告고 于우
|
歲세 次차 太태 歲세 某모 月월 月월 建건 朔삭 初초 某모 日일 日일 辰진 孝효 孫손 哲철 壽수 |
維유
|
조부모
〔뜻풀이〕
OO년 O월 O일 효손 OO은 삼가 고하옵이다. 할아버님 할머님 어느덧 해가 바뀌어 할아버님(또는 할머님)돌아가신 날을 다시 맞게 되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몇 가지 음식 음식으로 공손히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여 주시옵소서.
|
증조(曾祖)-효증손(孝曾孫) 고조(高祖)-효현손(孝玄孫) 제사축문(祭祀祝文) 같은 서식(書式)인데 다만 제위(祭位)와 봉사자 (奉祀者) 칭호만 촌수에 따라 달리 쓴다.
|
饗향
|
謹근 以이 淸청 酌작 庶서 羞수 恭공 伸신 奠전 獻헌 尙상
|
顯현 考고 또는 顯현
비 諱휘 日일 復부 臨임 追추 遠원 感감 時시 昊호 天천 罔망 極극
|
顯현
비 孺유 人인 密밀 陽양 朴박 氏씨 歲세 序서 遷천 易역
|
顯현 考고 學학 生생 府부 君군
|
敢감 昭소 告고 于우
|
歲세 次차 甲갑 戌술 五오 月월 丁을 未미 朔삭 初초 七칠 日일 癸계 丑축 孝효 子자 哲철 壽수 |
維유
|
부모
〔뜻풀이〕
OO년 O월 O일 효자 OO은 삼가 고하옵이다. 아버님 어머님 어느덧 해가 바뀌어 아버님(또는 어머님)돌아가신 날을 다시 맞게 되오니 하늘과 같이 크고 넓으신 은혜를 잊지 못 하여, 삼가 맑은 술과 몇 가지 음식 음식으로 공손히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여 주시옵소서.
|
호천망극(昊天罔極) :
은혜가 하늘과 같이 크고 넓어서 헤아릴 수 없습 니다.
|
|
饗향
|
謹근 以이 淸청 酌작 庶서 羞수 恭공 伸신 奠전 獻헌 尙상
|
歲세 序서 遷천 易역 諱휘 日일 復부 臨임 追추 遠원 感감 時시 不불 勝승 憾감 愴창
|
顯현
벽 學학 生생 府부 君군
|
敢감 昭소 告고 于우
|
歲세 次차 甲갑 戌술 五오 月월 丁정 未미 朔삭 初초 七칠 日일 癸계 丑축 主주 婦부 沈심 順순 愛애 |
維유
|
남편의 경우
〔뜻풀이〕
OO년 O월 O일 주부 심순애는 삼가 고하옵이다. 어느덧 해가 바뀌어 남편이 돌아가신 날을 다시 맞게 되오니 슬프고 괴로운 마음 이기지를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몇 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여 주시옵소서.
|
불승감창(不勝感愴) 슬프고 괴로운 마음 이기지 못함 |
|
饗향
|
慈자 以이 淸청 酌작 庶서 羞수 伸신 此차 奠전 儀의
尙상
|
歲세 序서 遷천 易역 亡망 日일 復복 至지 追추 遠원 感감 時시 不불 勝승 憾감 愴창
|
亡망 室실 儒유 人인 河하 東동 鄭정 氏씨
|
敢감 昭소 告고 于우
|
歲세 次차 甲갑 戌술 五오 月월 丁정 未미 朔삭 初초 七칠 日일 癸계 丑축 夫부 沈심 順순 燮섭 |
維유
|
아내의 경우
〔뜻풀이〕
OO년 O월 O일 남편 심순섭은 삼가 고하옵이다. 어느덧 해가 바뀌어 아내가 돌아가신 날을 다시 맞게 되오니 슬프고 괴로운 마음을 이기지를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몇 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여 주시옵소서.
|
망일복지(亡日復至)
휘일부임(諱日復臨)과 같은 뜻이며 다만 격식을 조금 낮춘 것임 |
|
饗향
|
謹근 以이
淸청 酌작 庶서 羞수
恭공 伸신 奠전 獻헌
尙상
|
歲세 序서 遷천 易역 諱휘 日일 復부 臨임 追추 遠원 感감 時시 情정 何하 悲비 痛통
|
顯현 兄형 學학 生생 府부 君군
|
敢감 昭소 告고 于우
|
歲세 次차 甲갑 戌술 五오 月월 丁정 未미 朔삭 初초 七칠 日일 癸계 丑축 弟제 沈심 順순 哲철 |
維유
|
형의 경우
〔뜻풀이〕
OO년 O월 O일 동생 김철수는 삼가 고하옵이다. 세월이 흘러 형님의 제삿날이 다시 돌아 오니 형제지간의 그리운 정과 비통한 마음 한량 없습니다. 여기 삼가 맑은 술과 몇 가지 음식을 차려 공손히 올리오니 응감하소서.
|
정하비통(情何悲痛)을 불승비통(不勝悲痛)이라 쓰기도 한다. 그리운 정과 비통한 마음 한랼 없습니다. |
|
饗향
|
玆자 以이 淸청 酌작
陳진 此차 奠전 儀의
尙상
|
歲세 序서 遷천 易역
亡망 日일 復복 至지
情정 何하 可가 處처
|
亡망 弟제
洪홍 吉길 童동
|
告고 于우
|
歲세 次차 甲갑 戌술 五오 月월 丁정 未미 朔삭 初초 七칠 日일 癸계 丑축
兄형 O O
|
維유
|
아우의 경우
〔뜻풀이〕
OO년 O월 O일 형은 삼가 고하오. 세월이 흘러 아우의 제삿날이 다시 돌아 오니 그리운 마음 어찌 할 바를 모르겠어서 여기 삼가 맑은 술과 몇 가지 음식을 차려 공손히 올리오니 응감하소서.
|
정하가처(情何可處) 그리운 마음 어찌 할 바를 모르겠소. |
|
饗향
|
玆자 以이
淸청 酌작
陳진 此차 奠전 儀의
尙상
|
歲세 序서 遷천 易역
亡망 日일 復복 至지
心심 毁훼 悲비 念념
|
亡망 子자
洪홍 吉길 童동
|
告고 于우
|
歲세 次차 甲갑 戌술 五오 月월 丁정 未미 朔삭 初초 七칠 日일 癸계 丑축 父 0 0
|
維유
|
아들의 경우
〔뜻풀이〕
OO년 O월 O일 . 세월이 흘러 아들의 제삿날이 다시 돌아 오니 아비의 마음이 찢어지는 것 같고 비통한 마음 어찌 할 바를 모르겠어서 여기 삼가 맑은 술과 몇 가지 음식을 차려 올리오니 응감하여라.
|
심훼비념(心毁悲念) 아비의 마음이 찢어지는 것 같고 비통한 마음 그지 없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