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파파 앙상블(남성중창단)
 
 
 
카페 게시글
음악감상실 스크랩 Oh! Susanna (오! 수재너) / 포스터 곡
가별(진성인) 추천 0 조회 708 13.10.24 10:22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Oh ! Susanna (오! 수재너) / 포스터 곡 

 

 

 

 

Oh ! Susanna (오! 수재너)

Foster

 

I come from Alabama wiith my banjo on my knee

I'm going to Louisiana, my true love for to see

It rained all night the day I left The weather it was dry

The sun so hot, I froze to death Susanna, don't you cry

 

나는 밴죠를 무릎에 올리고 알라바마에서 왔지.

나는 내 진정한 사랑을 보기 위해 루이지애나로 간다네.

밤새 비가 내렸지 내가 떠나던 날 날씨는 건조했고

태양은 뜨거웠고 나는 얼어 죽었다네, 수잔나, 울지 말아라  

 

Oh, Susanna, Oh don't you cry for me

For I come from Alabama with my banjo on my knee

I had a dream the other night When everything was still

I thought I saw Susanna A-coming down the hill

 

오, 수잔나 오, 나를 위해 울지 말아라

왜냐면 나는 밴죠를 무릎 위에 올리고

알라바마에서 오기 때문이야

나는 지난밤 꿈을 꾸었다네 모든 것이 고요할 때

나는 수잔나를 봤다고 생각했지 언덕에서 내려오는 것을

 

The buckwheat cake was in her mouth The tear was in her eye

Says I, I'm coming from the south Susanna, don't you cry

Oh, Susanna, Oh don't you cry for me

For I'm going to Louisiana with my banjo on my knee

 

메밀로 만든 케?은 그녀의 입 속에 있었고

눈물은 그녀의 눈 속의 눈물은

나, 나는 남쪽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었네, 수잔나, 울지 말아라 

오, 수잔나 오, 나를 위해 울지 말아라

왜냐면 나는 루이지애나로 간다네. 밴죠를 무릎 위에 올리고

 

Oh, Susanna, Oh don't you cry for me

For I'm going to Louisiana with my banjo on my knee

오, 수잔나 오, 나를 위해 울지 말아라

왜냐면 나는 루이지애나로 간다네. 밴죠를 무릎 위에 올리고

 

 

 

 

Foster, Stephen Collins, (1826.7.4~1864.1.13)

 

피츠버그 태생인 미국의 작곡가. ‘미국의 슈베르트’라는 말까지 듣는 가곡 작곡가이다. 미국 남부의 펜실베니아 주의 부유한 실업가의 가정에서 태어났는데, 부친은 영국에서 이민해 온 개척자이고 모친은 필라델피아 태생의 여자이다. 어린 시절부터 하인을 따라

흑인들의 교회에 가 찬송가를 듣는 것을 낙으로 삼았다. 정식적인 음악 교육은 받지 않았지만, 고등학교 시절부터 기타의 반주로 노래를 부르면서 작곡 공부를 독학으로 하여, 약간의 기악과 가곡을 쓰기 시작했다. 흑인들의 선율의 특징을 살린 노래를 많이 작곡했으며, 18세 때에 최초의 작품 《창문을 열어다오, 연인이여》를 출판했다. 또 이 무렵부터 자신이 중심이 되어 남성 합창단을 조직하여, 그 단체를 위해 《오 수재너》나 《네드 아저씨》를 작곡하여 호평을 받았다. 또 독학으로 독일 음악도 공부했으며, 의사의 딸인 제인과 결혼했으나, 언제나 가난하게 살았다. 계속하여 가곡을 발표하여 호평을 얻었고, 1860년에 뉴욕에 나와서 아내와 별거하게 되어, 술과 방랑 생활을 계속하다가 과음으로 병을 얻어 38세의 젊음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노래의 대부분은 미국 흑인 사이에서 노래되고 있는 선율을 종횡으로 사용하여, 가사도 흑인의 사투리를 채용해서 자작하는 등, 소박한 감정과 아름다움에 넘쳐 있으며, 대중의 마음을 강하게 끄는 매력을 지니고 있다. 175곡의 가곡 외에 기악곡도 몇 곡 있다.

[주요 작품] 가곡 《오 수재너》, 《시골 경마》, 《스와니 강》, 《금발의 제니》, 《그 어른은 잠드셨네》, 《켄터키 옛집》, 《올드 블랙 조》, 《꿈길에서》 등.

 

 

이 노래는 1847년 피츠버그에서 청년 클럽을 위해 작곡하였다. 1848년에 출판되어 100달러를 번 포스터는 이로 인해서 가곡작가가 될 것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노래는 미국의 개척시대부터 불리워지며 후에는 전장에서도 불리워졌는데 미국의 서부출신의 장병들은 이 곡을 부르며 벤죠 대신 기타를 연주했다고 한다. 밴조를 메고 앨라배마에서 루이지애나의 애인을 만나러 간다는 내용의, 흑인적인 정서가 깃든 2박자의 명쾌한 노래로, 캘리포니아에서 금광이 발견된 1849년경 서부로 몰려든 청년들에 의해 불리기 시작, 곧 미국 전역에 보급되었다. 지금도 많이 불리고 있다.

 

니그로민스트럴 [ Negro minstrels ] 1843년 결성

 

민스트럴이란 '봉사하는 사람'이라는 뜻의 라틴어 미니스트렐루스(ministrellus)에서 유

래된 말로 중세에는 음유시인을 지칭하였는데, 차츰 그 의미가 확대되어 음악가·가수·시인을 가리키게 되었으며, 더 나아가 대중 연예인도 포함하게 되었다. 19세기 초반 미국의 농장에서 일하던 사람들의 오락으로 '민스트럴쇼'가 있었는데, 백인이 얼굴을 까맣게 칠하는 등 흑인 흉내를 내고 익살을 섞어가며 바이올린·밴조·탬버린 등을 연주하면서 노래하고 춤추는 쇼였다. 처음에는 백인들만 출연하다가 19세기 중엽부터는 흑인들이 직접 출연하게 됨으로써 니그로민스트럴이라 부르게 되었다. 니그로민스트럴의 출발은 1828년 미국의 보드빌 전문가 T.D.라이스가 흑인 마부의 노래와 춤을 섞어서 꾸민 촌극을 공연하면서부터인데, 이 쇼가 인기를 끌자 이러한 형식을 본뜬 것들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 Oliver Scott's Refined Negro Minstrels 출처 : 미의회 도서관 >

 

최초의 니그로민스트럴 그룹은 1843년 댄 에멧(Dan Emmett)이 이끌었던 바이올린·밴조·캐스터네츠·탬버린의 4인조악단 버지니아 민스트럴(Virginia Minstrels)이다. 그는 밴조의 명연주자이며 대표적인 민스트럴송 <딕시>의 작곡자로 유명하다. 여기에 자극을 받아 켄터키 민스트럴, 콩고 멜로디스트, 크리스티 민스트럴 등이 조직되어 미국 전역에서 인기를 끌었다. 스티븐 포스터(Stephen Foster)의 <켄터키 옛집(My old kentucky home)> <오, 수재너(Oh, Susannah)> <검둥이 조(Old Black Joe)> 등은 대부분 크리스티 민스트럴을 위하여 작곡한 것이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독창성을 잃고 차차 쇠퇴하였다.

 

 


oh, Susanna  - 로버트 쇼 합창단


oh, Susanna - 관현악곡


oh, Susanna - 합창곡


oh, Susanna - 컨츄리곡

oh, Susanna - Bobby Solo

Oh, Susanna - Freddy Quinn 

Oh, Susanna - 중국어 버젼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