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도와 물의 증발 관계 |
온도가 높을수록 물이 빨리 증발한다. |
바람과 물의 증발 관계 |
바람이 적당히 불수록 물이 빨리 증발한다. |
2-1. 공기 속의 수증기가 많은 날
① 맑은 날보다 비가 내리는 날 공기 중에 수증기가 더 많다.
2-2. 공기 속의 수증기의 양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
3. 공기 속의 수증기의 양을 조절하는 방법
수증기가 많을 때 |
수증기가 적을 때 |
• 곰팡이가 잘 생긴다. • 빨래가 잘 마르지 않는다. • 쇠에 녹이 생긴다. |
• 피부가 건조해진다. • 빨래가 잘 마른다. • 산불이 나기 쉽다. • 감기에 걸리기 쉽다. |
습도계는 명탐정
1. 습도? 뜻 : 공기의 습한 정도
2. 물이 증발할 때 나타나는 현상
물이 증발할 때 주변의 열을 빼앗아가 시원해짐(습도계의 원리)
3. 건습구 습도계 만들기
① 온도계 두 개를 준비하여 한 온도계의 밑부분을 헝겊으로 감는다.
② 스탠드에 온도계 두 개를 매단다.
③ 헝겊을 감은 온도계 아래에 물이 담긴 비커를 놓고 헝겊 부분만 물에 잠기게 한다.
4. 건습구 온도계로 습도 재기
① 건구와 습구 온도를 각각 잰다. (예 - 건구 온도 : 28℃, 습구 온도 : 25℃)
② 건구와 습구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차를 구한다.(3℃)
③ 습도표의 세로축에서 습구 온도를 찾고 가로축에서 건구와 습구의 온도차를 찾아 만나는 곳의 숫자를 읽는다.(78)
④ 습도의 단위는 %로 나타낸다.(78%)
다시 물방울이 되어 풀잎 위에
1. 이슬이 생기는 과정
실험 과정 |
• 유리 컵의 표면을 깨끗이 닦기 • 컵에 찬물을 붓고 얼음 조각을 넣기 • 유리 컵의 표면 관찰하기 |
실험 결과 |
• 컵 표면에 물방울이 맺힘 |
알 수 있는 사실 |
• 공기 속의 수증기가 찬 물체의 표면에 달라붙어 물방울이 생김 |
2. 생활 속에서 이슬이 맺힌 사례
① 겨울에 버스를 타면 안경에 김이 맺히는 것
②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면 거울에 물방울이 생기는 것
4. 환경 조건에 따른 물의 증발
공기 속의 수증기가 많을 때 적게 하는 방법 |
공기 속의 수증기가 적을 때 많게 하는 방법 |
• 방에 불을 지핀다. • 난로를 켠다. • 방습제를 사용한다. |
• 가습기를 튼다. • 젖은 수건이나 빨래를 말린다. • 어항을 설치한다. |
안개와 구름도 나의 가족
1-1. 안개가 생기는 날의 현상
① 교통사고가 나기 쉽다.
② 비행기나 배가 운항하지 못한다.
1-2. 안개가 끼는 조건
① 바람이 없는 맑은 날 아침
② 밤과 낮의 일교차가 큰 가을
③ 호수나 강이 있는 곳
2-1. 안개의 발생 실험 과정
① 따뜻한 물로 병을 데우기
② 병에 채웠던 물을 조금 남기고 쏟아 버리기
③ 병 속에 비닐로 싼 얼음 넣기
④ 병 속을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