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청나라 말기에‘장센’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노름꾼에다 호색한(好色漢)이었다. 그가 중년이 되자 시력이 점점 나빠지더니 거의 앞을 볼 수 없게 되었다.
어느 날 선교사들이 운영하는 병원에 찾아간 장센은 극적으로 시력의 일부를 회복할 수 있었다. 여기서 복음을 들은 장센은 이제 자신도 과거의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음을 확신하며 세례를 요청했다. 그러나 웹스터 선교사는“돌아가서 이웃들에게 당신이 변화되었다고 말하시오. 얼마 후에 우리가 방문할 그때까지 당신이 주님을 따르고 있다면 기꺼이 세례를 주겠소”라고 말했다.
다섯 달 후, 그 마을에 도착한 선교사들은 수백 명의 새로운 신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력을 완전히 잃어버린 장센은 욕을 먹고 침 뱉음을 당하면서도 계속 복음을 전했다. 어느 날 의화단원들이 약 50명의 성도들을 붙잡아 처형하려고 했을 때 어떤 사람이 말했다.
“이들을 죽여 봐야 소용이 없어요. 장센이 살아 있는 한 그리스도인은 자꾸 생겨나니까요.”
의화단원들은 장센을 데려오면 50명을 살려 주겠다고 했다. 장센은 자신을 위해 대신 죽으셨던 예수님을 바라보면서 출두했다. 지방 관원들은 우상에게 절하지 않으면 그를 죽이겠다고 위협했다. 그러자 장센은 자신은 이미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있으며 오직 하나님께만 예배한다고 대답하면서“하늘에 계신 아버지여, 내 영혼을 받으소서”라고 기도했다.
육신의 눈은 보이지 않지만 영혼의 눈으로 거룩하고 영원한 것을 보며 결국 장센은 기꺼이 순교의 제물이 되었다.
▪고난 주간 금식하기
(거울보기) 예수님의 오심이야말로 하나님이 우리를 돌보신다는 결정적인 증거다. -윌리엄 바클레이
금식은 구약시대부터 신약시대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백성들이 자연스럽고도 중요하게 실시해 온 기도의 한 방법이며 수련방법이다. 금식의 방법에는 부분적인 금식, 보통금식, 절대금식, 개인적인 금식, 정기적이고 공동체적인 금식 등이 있다.
금식의 올바른 자세로서는 금식의 동기와 목적이 영적이고 순수해야 하며, 금식의 방법이 개인의 영성의 진보과정과 건강에 알맞은 것이어야 한다. 또한 자기의 죄를 바로 보고 회개를 하기 위한 금식이어야 하며, 잘못된 습관이나 습관적으로 빠지는 죄에서의 해방을 위한 금식이어야 한다. 금식은 이웃에 대한 사랑과 섬김으로 열매 맺는 것이 더욱 아름답다.
목적:금식 기도를 통해 인간의 끝없는 욕망과 한없는 안락을 원하는 몸의 요구들을 극복하며,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려는 결의를 다진다. 또한 금식으로 인해 모아진 음식을 굶주린 이웃과 나눔으로 이웃 사랑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며 그들과 내가 그리스도 예수의 피로 맺어진 형제자매임을 깨닫고 확인하여 공동체 의식을 높인다.
⊙ 성경:마 6:16~18, 사 58:6, 7, 마 25:40, 고전 9:27.
⊙ 인원:20~30명 또는 인원 제한 없이 교회 단위로 할 수 있다.
⊙ 소요시간:사순절 기간과 나눔과 섬김을 위해 하루의 시간을 정한다.
⊙ 장소:각자 자기 집이나 삶의 자리에서
⊙ 기대되는 효과
1) 사순절, 특히 성주간 금욕과 금식을 통해 예수님의 고난에 동참한다.
2) 금식하는 동안 기도를 지속적으로 드림으로 기도를 생활화한다.
3) 몸의 요구를 스스로 제어하는 힘을 기른다.
4) 습관적인 악행을 끊을 수 있다.
5) 금식으로 모은 음식비로 이웃을 구체적으로 사랑할 수 있다.
6) 어려운 이웃 안에서 고난 받는 그리스도를 찾아 섬길 수 있다.
⊙ 진행
1) 주님의 고통에 동참하는 의의를 설명한다.
2) 주님의 고통에 동참하고 우리 죄를 구체적으로 참회하기 위해 수요일이나 금요일에 금욕과 금식할 것을 권면한다.
3) 금욕과 금식의 기준을 교회의 현실에 맞게 정해서 알려 준다.
(예:사순절 동안 매 수요일과 금요일에 한 끼씩 금욕, 금식하고 성금요일에는 하루 온종일 금식한다). 이때 청소년들에 대한 금식 기준은 보통 어른들과 다르게 해야 한다.
4) 사순절의 마지막 주일이나 부활절 전야예배 혹은 부활예배 때 그동안 금식으로 모은 음식비를 모아 어려운 이웃과 나눌 것이라는 사실을 광고한다. 이때 도울 대상을 분명히 밝히면 참여도가 높아질 수 있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금식의 열매를 나누는 봉사의 날을 미리 알려 준다.
5) 금욕이나 금식이 자기의 의를 드러내는 도구가 되거나 타인의 신앙을 재는 자가 되지 않게 해야 됨을 일깨워 준다.
6) 사순절 동안의 공중집회에서 금식의 뜻과 성실한 실천을 고무시킬 수 있는 권면의 말을 들려 줄 필요가 있다.
7) 정해진 날 금식의 열매를 함께 모아 어려운 이웃을 찾아 나눈다.
8) 교회 단위로 할 때는 대표나 원하는 참가자들이 음식을 만들어서 주거나, 그들이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는 쌀 등을 직접 사서 주는 것도 좋다.
9) 조별로 할 때는 회원들이 어려운 사람을 직접 찾아가서 사랑을 나누는 것이 공동체 의식을 높이고 신앙의 성숙을 가져오는 데 도움이 된다.
⊙ 활용
고난 주간을 통해 금식하며 주님의 고난에 동참한다.
기도카드준비, 릴레이금식기도, 성가 감상을 활용한다.
금식기도담당
“내가 주의 성소를 향하여 나의 손을 들고 주께 부르짖을 때에
9일(주일)
10일(월)
11일(화)
12일(수)
13일(목)
14일(금)
15일(토)
나의 간구하는 소리를 들으소서”(시편 28:2)
▪부활절 축하예배 참석하기
(거울보기) 갈보리에 올라 우리가 어떻게 하나님의 용서를 받았는지 배우자. -C. H. 스펄전
썬다싱의 예수님
썬다 씽은 분노에 가득 찬 젊은이였습니다. 그의 나이 14살 때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그는 그가 사는 북인도 지역에서 맹렬한 기독교 반대자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극적인 개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되고, 그 후 25년간 그는 세계 구석구석에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한번은 유럽으로부터 비교종교학 교수가 찾아왔습니다. 불가지론 사상을 지닌 그 학자가 호기심을 갖고 씽에게“당신의 전통적인 종교에서 발견하지 못한 그 어떤 것을 기독교에서 발견하셨습니까?”라고 묻자,“예수님을 발견했습니다”라고 씽은 대답했습니다.
그러자“예, 그런 줄은 알지요. 하지만 어떤 특별한 가르침이나 교리를 발견하셨는지요?”라고 조급하게 물었습니다. 씽은 단순히“예수님을 발견했습니다”라고 되풀이했습니다.
씽은 후에 이렇게 기술했습니다.
“‘무엇이 당신을 기독교인으로 만들었는가?’라고 사람들이 질문하면 저는 그저‘예수님 자신이 나를 기독교인으로 만드셨다’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습니다. 주님이 저에게 자신을 나타내 보이셨을 때 저는 그분의 영광을 보았고 그분은 살아계신 그리스도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예수님만이 하나님께 이르는 유일한 길이라고 확신하고 계십니까?
기독교와 다른 모든 종교와의 차이는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I've found a Friend, oh, such a Friend! (내가 알기 전 날 먼저 사랑한)
He loved me ere I knew Him; (그 좋은 친구 찾았네!)
He drew me with the cords of love, (사랑의 줄로 나를 이끌어)
And thus He bound me to Him. - Small (그분 안에 나를 두셨네)
Many religious leaders have risen to greatness; only Jesus has risen from the grave. (많은 종교 지도자들이 위대하지만 오직 예수님만이 무덤에서 부활하셨다.)
새벽기도회
부활절 아침 예수님의 무덤을 찾았던 마리아처럼 학생들도 부활의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새벽을 깨우도록 독려한다.
① 공관복음 중 부활과 관계되는 성경말씀을 묵상하게 한다.
② 메시지를 듣고 경건의 일기를 쓰도록 한다.
③ 연약한 지체들을 위해 기도하게 한다.
2) 부활절 준비를 위한 고난주간 기도회
① 월요일:「눅 23:24」“아버지여 저희를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의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타인의 잘못을 용서)
② 화요일:「눅 23:43」“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내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회개를 수용하고 축복해 주기)
③ 수요일:「요 19:26」“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부모님께 효도하기)
④ 목요일:「마 27:45」“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자기포기와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기)
⑤ 금요일:「요 19:28」“내가 목마르다.”(인간의 고뇌)
⑥ 토요일:「눅 23:46」“내 영혼을 아버지의 손에 부탁하나이다.”(자신을 하나님께 완전히 위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