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해가 막 넘어가려고 하는 시간에 오저초등학교에 들러 사진을 몇장 찍었습니다. 학교 규모는 매우 작지만, 아늑한 학교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학교에 남아 친구들과 놀고 있는 오저초등학교 꿈나무들도 만났습니다.
학교도 좋지만 학교 앞에 있는 소나무와 향나무, 은행나무, 정문옆에 있는 느티나무가 학교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것 같더군요.
이 나무들은 땀 흘리며 뛰어 놀던 그 옛날의 코흘리게들을 기억하고 있을까요??
1) 개황
193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하여 계명서숙이라는 사립학교(학원)이 폐교되면서 호산국민학교 부설 오저간이학교가 정식교육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초대 훈도(지금의 교장)로서 길달용씨가 취임하였고, 간이학교가 국민학교로 설립된 것은 1941년 6월 7일로서 당시 2학급으로 개교하게 되었다.
그후, 계속 발전을 거듭하여 학생수가 날로 증가하였고, 1980년대 초반에는 9학급에 300여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었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농촌지역의 이농현상과 산아제한 등으로 취학아동이 급격히 감소하여 지금은 3학급에 33명의 학생과 9명의 유치원생이 재학하고 있다.(2011년 9월말 현재 전교생 9명이 재학하고 있음)
그 동안 배출해온 학생 총 현황을 보면 제 52회 1,839명으로서 명실상부한 농촌지역의 명문국민학교로 그 전통을 자랑하고 있다.
(이 수치는 1997년 발행된 "가곡의 얼"에 나온 수치임)
2) 연혁
-1934.4.1: 호산국민학교 부설 오저간이학교 설립인가. 훈도 길달용 취임
-1941.6.7: 오저국민학교 설립인가
7.21: 개교식 거행
-1942.3.31: 초대 교장 박춘택 취임
4.1: 3학급 편성
4.25 : 2개교실 증축
-1944.5.31: 5학급 편성
-1946.6.29 : 제1회 졸업식 거행
-1947.9.1 : 6학급 편성
-1949.7.25 : 2개 교실 증축
-1950.6.26 : 6.25 사변으로 휴교
-1959.4.1 " 7학급 편성
-1962.1.15 : 교사 숙직실 전반 수리 및 변소와 창고 개축
-1968.7.25 : 교장 숙소 이전공사 완공, 신축교사 1동 2교실 준공
-1970.7.25 : 신축변소 1동 5칸 준공
-1973.1.16 : 신축교사 2개 교실 준공(서편), 관사 1동 준공(북쪽)
-1975.3.1 :9학급 편성
7.13 : 개축교실 준공 및 현관 준공(동쪽)
-1976.3.1 : 8학급 편성
-1977. 3.1 : 9학급 편성
-1979. 8.31 :2층 2개 교실 준공
-1980.6.21 : 제10회 삼척군 소년체전 농구부(남자) 준우승, 농구부(여자) 우승
-1981.6.17 : 제11회 삼척군 소년체전 농구부(여자) 준우승
-1982.1.20 : 1981년도 시범학교 운영실적 우수교 교육장 표창
2.26 : 병설 유치원 인가
3.1 : 8학급 편성
-1983.3.1 : 7학급 편성
-1985.3.1 : 6학급 편성
-1987. 7.14 : 삼척군 지정 자연과 시범학교 발표
-1993.6. 8 : 숙직실 보일러 공사, 교사 후면 보도 블럭 공사
7. 5 : 테니스장 설치
-1994.3.1 : 5학급 편성
4. 11 ㅣ 제24회 강원도 소년체전 테니스(남자부) 우승
-1995.3.1 : 4학급 편성
8.18 : 교실 방수 4실, 천정 보수 5실(택스 교체)
12.23 : 1개 교실 급식소 개조 완공
-1996. 2,12 : 신규 급식학교 지정
2.16 : 제51회 졸업식 거행
3.1 : 오저초등학교로 개칭(법률 제5069호)
-1996. 3.1 :4학급 편성
3.11 : 급식실시
11.25 : 23대 이장수 교장 취임
-1997. 3.1 : 3학급 편성
3) 일반 현황
-위치: 삼척시 가곡면 오저1리 94번지
-면적: 학교부지 면적 7,842 평방 미터
건물 면적:448.21 평방 미터
건물 연면적: 734.41 평방 미터
-교실수: 8실
-학교부지 취득 내역
1934년 4월 1일 오저간이학교 설립 당시는 탕곡리 7반에 위치해 있었으며 1941년 6월 7일 2학급 설립으로 현재 위치하고 있는 가곡면 오저리 94번지로 이전할 당시에는 가곡면 오저리 홍종국씨가 오저리 94-3번지 2241 평방미터 밭을 본인이 단독 구입하여 무상 기증하였으며, 오저리 홍종하, 홍종호, 오목리 김지원씨가 오저리 92-1의 밭, 92-2의 논, 82-4의 밭, 83-3의 밭, 83-6의 밭, 56-3의 밭, 92-1의 밭, 92-2의 밭, 62-3의 밭, 9필지를 매입하여 기부채납으로 현 위치에 학교가 설립되었으며 1985년 문교부 재산 정리시에 교육청 재산으로 이전되었다.
4) 학교 상징
-교목: 향나무(싱그러움을 안겨주는 나무로서 영글고 향긋하고 상큼한 씨앗의 의미, 그리고 늘 어떠한 바람도 품고 서 있는 나무로서 그 의지를 교육적 의미로 부각시키기 위하여 선정)
-교화: 개나리(밝고 맑은 꽃속의 의미, 그 속을 들여다 보면 마음도 그와 같고, 돌돌돌 어름장 밑으로 봄시내 소리가 들릴 듯한 희망의 의미를 교육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하여 선정)
-교훈: 스스로 공부하고, 바르게 행동하며, 이웃을 사랑하자
-교가
웅장한 매봉산 우리의 정기/ 줄기찬 가곡천 우리의 기상/ 이 땅에서 자라나는 아들딸들아/ 이 고장을 사랑하자 우리 오저교
5) 역대 학교장 및 교감
-1대 교장: 박춘택 2대교장: 이의성 3대교장: 유종덕 4대교장: 김상기 5대교장: 임종기 6대교장: 김창영
7대교장: 김정경 8대교장: 김면화 9대교장: 이성주 10대교장: 민병동 11대교장: 김준한 12대교장: 김진수
13대교장: 김경식 14대교장: 김용기 15대교장: 박만기 16대교장: 이홍교 17대교장: 민욱기 18대교장: 김유헌
19대교장: 민욱기 20대교장: 최항순 21대교장: 권영두 22대교장: 윤주화 23대교장: 이장수
-1대 교감: 방만종 2대 교감: 조수현 3대교감: 김원식 4대교감: 이재룡 5대교감: 신만종 6대교감: 조성인
7대교감: 박창욱 8대교감: 전병일 9대 교감: 장형식 10대교감: 권영걸 11대교감: 김일용 12대교감: 김준용
13대교감: 김흥국 14대교감: 박병일 15대교감: 이종호 16대 교감: 조경준 17대교감: 김진호 18대교감: 조두형
6) 역대 학부형 대표
1대 기성회장 : 홍종호, 2대 기성회장: 홍순덕, 3대 기성회장 : 이성구, 4대 육성회장: 윤태석, 5대 육성회장: 안병수
6대 육성회장: 박용범, 7대 육성회장: 최동호, 8대 체육진흥회장: 홍성상, 9대 체육진흥회장: 이호기
10대 체육진흥회장: 이진대, 11대 체육진흥회장: 박재순
7) 역대 어머니회장
1대: 심정숙, 2대: 김영순, 3대: 박춘자, 4대: 양정희, 5대: 이순녀, 6대: 이남식
8) 연도별 재학생수 및 졸업생 수
연도(졸업회수) 재학생수 졸업생수(남/여)
1946(1) 121 18/0
1947(2) 145 12/0
1948(3) 162 30/1
1949(4) 183 31/2
1950(5) 242 22/2
1951(6) 252 7/2
1952(7) 155 19/5
1953(8) 183 24/3
1954(9) 198 9/6
1955(10) 192 23/6
1956(11) 229 19/8
1957(12) 210 21/11
1958(13) 167 16/2
1959(14) 177 12/8
1960(15) 197 16/13
1961(16) 165 11/6
1962(17) 251 28/6
1963(18) 289 18/9
1964(19) 345 16/6
1965(20) 326 25/17
1966(21) 695 24/23
1967(22) 406 35/9
1968(23) 412 38/21
1969(24) 427 22/16
1970(25) 415 36/18
1971(26) 385 22/22
1972(27) 362 28/30
1973(28) 341 32/36
1974(29) 305 36/34
1975(30) 276 42/27
1976(31) 254 24/31
1977(32) 232 24/33
1978(33) 246 26/30
1979(34) 215 34/34
1980(35) 197 23/28
1981(36) 186 27/31
1982(37) 201 17/16
1983(38) 173 27/33
1984(39) 181 17/18
1985(40) 179 26/37
1986(41) 182 16/15
1987(42) 171 19/16
1988(43) 150 18/14
1989(44) 134 13/8
1990(45) 115 9/16
1991(46) 103 10/14
1992(47) 80 10/10
1993(48) 68 7/12
1994(49) 58 6/6
1995(50) 45 9/6
1996(51) 38 6/7
1997(52) 33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