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기 |
내용 | ||||
1920년대 |
위성도시 |
폴 울프(Paul Wolf), 래이몬드 언윈 (Raimond Unwin), 로버트 라이트 (Robert Wltten) |
위성도시의 형태를 제안 - 폴 울프(Paul Wolf)의 공업도시안, 래이몬드 언윈(Raimond Unwin)의 이상도시, 로버트 라이트(Robert Wltten)의 이상도시안 등 | ||
1923년 |
스타인, 멕케인, 멈포드, 아담스, 라이트 등 |
미국지역계획협회(R.P.A.A., Regional Plans Association of America, 1923~1933) 등장 | |||
1924년 |
위성도시 |
회장 : E.하워드 |
국제도시계획회의에(암스테르담)서 대도시지역계획의 수법 - 위성도시 건설, 그린벨트 설치, 교통 시스템의 근대화 등을 결의 | ||
라이트(H. Wright), 스타인(C. Stein) |
써니사이드 가든 | ||||
1928년 |
래드번 계획 | ||||
1929년 |
근린주구 |
C.A.페리 |
근린주구론 주창 : 뉴욕 대도시권 조사보고서(Regional Survey of New York & Its Environs) | ||
대공황 발생 | |||||
1930년대 |
그린벨트 도시 |
루즈벨트 대통령, 미국지역계획협회 (R.P.A.A.) |
대공황극복을 위한 뉴딜(New Deal) 정책 실시 | ||
1933년 |
T.V.A(Tennessee Valley Authority ; 테네시강 유역 개발공사)설립 - 대규모 토목공사를 통한 대공황 극복노력 | ||||
1935년 |
터그웰 |
그린벨트 도시 제안 및 건설 - 그린벨트(Greenbelt), 그린힐스(Greenhills), 그린데일(Greendale) | |||
1936년 |
긴급구조재원할당법 무효판결에 따라 추가적인 도시의 실현 무산(3000개 지역 → 3개 도시) | ||||
1938년 |
완성된 3개 도시는 연방공공주택국으로 소유권 이양 | ||||
1945년 |
도시분산이 계획적 분산의 전체개념을 압도 → '지역신도시의 거대한 무정형의 스프롤‘에 잠식 부지외곽은 주요간선도로로 관통되고 각기 다른 개발자들에 의해 연속성 없이 각각 개발 → 그린벨트도시의 실패 | ||||
1950년 |
종합주택협회에 그린벨트 매각 | ||||
1960년대 |
신도시 |
근린주구이론을 엄밀히 적용하여 신도시 개발 - 레스톤(Reston, 1962), 콜롬비아(Columbia, 1963), 조나단(Jonathan, 1968) - 사기업이 이윤을 추구하여 중산층과 고소득층에 주택을 제공하는 시장적 성격 | |||
1968년 |
‘New Community Act’ 제정으로 종합개발계획 수립 후 정부의 심의와 승인이 필요 | ||||
1970년 |
주택 및 도시개발법(Housing & Urban Development Act) 공포 |
● 미국의 위성도시
1. 위성도시(Satllite Town)
대도시 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 주변에 계획적으로 배치한 소도시
미국인 G.R. Taylor가 저서『위성도시』에서 처음 사용
도시내 공장이 값싸고 넓은 부지를 찾아 교외로 분산하여 가는 경향에 따라 교외의 공장을 핵도시와 교통을 연결해 준다면 핵도시와 공장이 동시에 발전할 수 있다는 논리
핵도시는 모도시(Mother Town)이고 다수의 위성도시는 공장도시의 성격
발상은 Howard에서 유래되었으나, 개념적 차이(위성도시는 경제적 자족성이 없음)가 있음
1) 전원도시와 위성도시
전 원 도 시 |
위 성 도 시 | |
주창자 |
Ebenezer Howard |
Robert Tylor |
도시형성 |
독립적 (자급자족) |
모체도시에 의존적 |
경제성 |
자족성 |
비자족성 |
도시조건 |
∙인구 3~5만 ∙도시주위 넓은 농경지 ∙공업 유치 (시민경제 유지) ∙공공시설은 도시에 전속 ∙공지 보유 ∙토지는 영구히 공유 |
∙인구 3만 ∙모체도시의 세력권에 놓임 ∙인구집중․확대 방지 ∙모체도시의 기능 분산 |
2. 서니사이드 가든
구분 |
주요내용 |
서니사이드가든 | |
계획가 |
1924년, 라이트와 스타인(H. Wright, C. Stein) |
<핸리 라이트> (Henry Wright) |
<클라렌스 스타인> (Clarence Stein)) |
면적 |
면적 420ha, 12~20ha의 슈퍼블록(대가구)으로 구성 | ||
배경 |
서니사이드 가든 개발(래드번 계획의 시초), 슈퍼블록개념 도입, 통과교통 및 모든 교통유형 배제 내부정원공간 형성을 위해 차량교통이 없는 대규모 슈퍼블럭을 기초로 계획 |
|
|
슈퍼블럭 |
연속된 가로로 둘러싸인 개발 가능한 대규모지역으로 대형가구 내의 자동차 통과교통을 없앰으로써 불필요한 도로율 증가와 통과교통 및 단조로운 외부공간형성 방지 | ||
계획내용 |
자동차 통과교통의 배제를 위한 슈퍼블록 구성, 슈퍼블록은 개발녹지로 둘러싸임 녹지 내부에 보행자도로설치를 통한 입체적 보차분리 막다른 길을 활용한 쿨데삭형의 세․가로망 구성 공동의 오픈스페이스 구성, 녹지 내에는 학교, 상점, 중심시설 배치 목적별로 4종류의 도로 설치 단지 중앙에는 대공원 설치 초등학교 800m, 중학교 1,600m 반경권 | ||
|
3. 래드번 계획
1) 의의
전원교외로서의 도시설계측면에서 언윈, 파커에 의해 설정된 기준들을 뛰어넘는 의미 있는 진보를 보임
엄격한 기준으로 볼 때 유럽의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질적으로 실패
교외의 불규칙한 확산으로 잠식됨에 따라 초기 계획의도 상실
2) 결과와 한계점
래드번 조합은 공개공지를 제외한 주택을 매각
육체노동자가 없고 유대인, 흑인의 배제 등 사회적 혼합 실패
대공황으로 인해 인구유입이 적어 그린벨트를 설치하지 못하고 다양한 지역 사회프로그램 및 서비스 지원 불가
공공공간 관리를 위해 도시주택공사 및 카네기재단 보조금 의존
산업의 유치가 어렵다고 판명, 전원도시의 목표를 포기하고 단순한 통근교외로 전락
3) 슈퍼블록과 래드번계획
대단위 주택단지 (super block) |
래드번(Radburn) 계획 | |
슈퍼블록 |
- 대형가구의 내부에 자동차의 통고교통을 없애고, 보행자 전용도로를 조성하여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생활공간을 창출 - 1928년 라이트(H. Wright)와 스타인(C. Stein)에 의해 계획된 미국의 뉴저지의 래드번(Radburn) 계획에서 처음 사용된 후, 각국의 뉴타운과 커뮤니티 계획에 널리 적용됨 |
|
장점 |
- 주택공급 용이, 다양한 주택공급 가능하며, 다양한 선택 가능 - 건물을 집약화 함으로써 고층화, 효율화 가능 - 공공시설 확보 용이, 편익시설 확보용이, 기반시설비용 경감 - 충분한 공동의 오픈스페이스 확보가 용이 - 보도와 차도의 완전한 분리가 가능 - 전력, 난방, 하수, 쓰레기 수집 등 도시시설의 공동화가 가능 | |
단점 |
- 주변지가 앙등, 도시의 외연적 확산, 외부 불경제효과 발생, 기반시설부담으로 주택가격 상승, 획일적 주거환경 - 주변지역과 부정합성 및 가구폐쇄로 도시성 상실 - 중심시설 중앙 배치로 간선도로변의 활성화 기회 상실 |
● 근린주구 이론
1) 근린주구 이론의 등장배경
대도시 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 주변에 계획적으로 배치한 소도시를 건설
영국의 전원도시 사상에서 유래된 개념으로 경제적 자족성이 없는 위성도시(포레스트 힐스 가든, 서니사이드 가든) 건설
도시화로 전통적 Town의 생활양식 급속히 상실(Community Disorg-anization)
1차대전 이후 도시근교에 교외주택단지가 여러 곳에 건설되면서 신흥중산층이 미국적 커뮤니티재건을 도모
페리는 10년 간 생활하면서 관찰과 체험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가 근린주구이론에 적용
근린주구이론 : 상실된 커뮤니티 이념을 실천할 수 있는 물리적 규모의 주택단지계획
‘뉴욕 대도시권 조사보고서(Regional Survey of New York & Its Environs, 1929)’를 발표
1. 근린주구이론
1) 근린주구 (페리, Perry)
계획의 한 단위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사용했던 용어로 주거단지를 의미하며, 어린 아동들이 위험한 큰 도로를 건너지 않고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초등학교에 통학할 수 있는 단지규모의 물리적 주거생활 환경을 의미
2) 근린주구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교통유형 및 강도, 생활편익시설의 서비스 제공 수준, 주택유형 및 주거밀도, 거주기간, 직장과의 거리, 자녀수
1929년 C.A. Perry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인구와 면적을 단위로 근린주구이론을 제안.
- 규모 : 초등학교 1개소가 구성되는 면적과 인구밀도
- 경계 : 주위를 간선도로로 둘러싸고 통과교통을 배제
- 공지 : 소공원과 Recreation 용지를 체계화
- 공공용지 : 학교 및 공공시설은 지구중심에 일단으로 배치
- 지구점포 : 1개소 이상의 상점지구를 교차지점에 배치하고 인접상점지구와 근접
- 내부가로체계 : 가로망은 교통량에 비례하고, 지구내 교통을 용이하게 함
3) 근린주구 이론
구분 |
주요내용 |
근린주구 |
물리적 기본요소 |
|
|
초등학교 작은 공원과 운동장 작은 가게 건물배치와 도로체계 | |
<클라렌스페리(Clarence Perry)> |
이미지교체 <근린주구 개념도> |
4) 근린주구 이론에 대한 비판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자족공동체
성장에 대한 신축성의 결여
전통적 가로기능의 축소 및 경관의 훼손을 초래
자족적인 주거단지 형성에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