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영속성(object permance)의 6단계
1. 반사 사용단계 ( 0 - 1 개월)
이 단계에서는 대상영속성의 개념이 전혀 없다. 신생아는 움직이는 물체가 보이면 눈으로 그 물체를 좇아가다가 그 물체가 시야에서 사라지면 더 이상 그 물체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예> 영아의 눈앞에서 장난감을 천천히 왔다갔다 움직이면 눈을 움직여 그 장난감을 좇는다. 그러나 장난감이 사라지면 장난감은 이미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여겨 더 이상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2. 1차 순응 반응 ( 1 - 4 개월)
대상영속성의 기본 형태가 발달하며, 개념이 어렴풋이 나타난다.
예> 영아의 눈앞에서 장난감을 영아의 등 뒤로 숨기면 장난감이 사라지기 바로 전에 머물었던 지점을 잠시 바라보다가 이내 고개를 돌린다.
3. 2차 순응 반응 ( 4 - 8 개월)
대상영속성의 감각이 좀 더 발달하여 기초개념을 획득한다. 이 시기 유아는 물체가 시야에서 사라져도 그 물체가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이해한다. 그래서 사라진 대상을 찾는 분명한 행동을 보이고, 물체가 사라진 지점을 계속해서 시각적으로 또 손으로 찾는다. 눈과 손의 협응이 이루어져 물체가 부분적으로 눈에 보이는 경우에는 잡으려고 애쓰지만, 물체가 사라지는 과정을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사라진 경우에는 찾으려 하지 않는다.
예> 영아의 눈앞에 장난감을 보자기로 반쯤 가려 놓으면 영아는 그 장난감을 찾아낸다. 그러나 장난감을 보자기로 완전히 덮어 놓으면 찾지 않는다. 이처럼 물체를 찾으려고 하지 않는 것은 대상영속성의 개념이 완전히 발달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4. 2차 도식의 협응 ( 8 - 12 개월)
유아는 물체가 사라진 지점에서 없어진 물체를 적극적으로 찾으려 노력하며, 또한 찾고자
하는 목표를 성취하려는 새로운 행동을 한다. 유아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이해하기 시작하여 어떤 다른 사람이 감추었던 대상을 찾음. 담요 밑의 인형을 찾아냄
5. 12 ~ 18개월
가장 나중에 사라진 곳으로 보이는 장소에서 대상을 찾음(보이는 이동에만 대처), 위치 변화에 대한 상상과 표상이 어려움.
6단계. 18 ~ 24개월
성숙된 대상 영속성 개념 형셩, 장난감을 담요 속에서 베개아래에 놓으면 담요를 치운 후 베개아래서 찾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