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충청정치] 류석만 기자 = 공주시의 대표를 뽑는 시장선거가 선거여론조사 시시비로인해 지역의 민심이 크게 요동치고 있어 웬지 씁쓸한 마음이 든다.
유권자들이 올바르게 후보자들의 됨됨이와 청렴성, 도덕성, 리더쉽 등, 투명 하고 깨끗한 후보에게 한표 한표 주권을 행사해야 함에도 일부 언론들의 납득하기 어려운 행동으로 유권자들의 눈을 멀게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 때문이다.
공주시가 세종시 인접지역이라는 이유도 있겠지만 이와 더불어, 가장 큰 지역이슈는 청렴성과 도덕성 깨끗한 후보를 이번 공주시 대표로 뽑아야 한다는 것이 지역의 여론이다.
한국은 최근 6.2지방선거로 인해 여론조사업계가 최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는 유권자 한명이 8표를 행사하는 사상 최대 선거판이 벌어진 덕분이라고 한다.
그런 만큼 유권자들 입장에선, 출마하는 후보자가 많다보니 여론조사 기관에 서 전화 오는 것도 휴대폰의 문자메세지도 보통 귀찮은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여론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는 것인지 의심스러운 것이 여론조사를 하는 직원은 응답률은 사상 최저라는 것이다.
특히, ARS(전화자동응답)조사의 경우는 6% 안팎의 답변이라고 한다.
무작위로 100명(가구)에게 전화를 돌렸을 때 답변하는 사람이 고작 6명 정도라는 얘기다.
L여론조사 이모 대표는 “10년 전만해도 ARS도 평균 20% 정도의 답변이 나 왔으나 지금은 6% 정도”라며, 격세지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이렇게 낮은 응답률의 조사결과를 얼마나 믿을 수 있는지? 또한, 답변한 6명은 답변하지 않은 94명의 표심을 얼마나 대표하는지, 업계 관계자들의 얘기는 다르지만 학자들의 평가는 신랄 하기만 하다.
K대 강모 교수(정치대학원)는 “굉장히 웃기는 일”이라고 말하고 있다. “응답 률은 표본(답변한 사람)이 모집단(전체 유권자)을 얼마나 대표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중요 지표인데, 10% 미만의 응답률로는 대표성이 없다”는 것이다.
그는 “응답률 3∼6%의 여론조사는 여론조사라고 할 수도 없다”며, “우리나라가 여론조사 공화국이라는 오명을 쓰지 않을까” 걱정이라는 것이다.
공직선거법이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하거나 보도할 때 응답률을 공개토록 한데는 이유가 있지만 그러나 이 규정도 지켜지는 예가 드물다는 것이다.
여론조사기관은 항변한다. “응답자들과 당일 투표장에 가는 사람들 특성이 비슷하고, 그래서 예측엔 무리가 없다”는 것이다. 투표율이 낮을수록 개연성 은 있다.
그러나 여론조사 결과가 들쭉날쭉 이고, 허다하게 투표결과가 판이 한 현실에서 설득력이 떨어지는 얘기라는 것이다.
“우리도 돈을 벌어야 할 것 아닙니까” 이런 논란 속에 한 여론조사기관 대표의 솔직한 고백은 우후죽순으로 늘어나는 여론조사 기관들이 유권자들을 농락하고 있다는 지적인 것이다.
또 “어떤 후보는 오늘 의뢰하면서 내일까지 해달라고 한다”며, “시간이 걸리는 대표성 있는 표집에 집중할 여력이 없다.” 고 말하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의 여론조사, 수입은 치솟고 있지만 믿음은 추락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 것이다.
물론 언론의 자유를 뭐라고 할 수는 없으나 후보자들의 여론 조사 결과와 보도는 좀 더 신중했으면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