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印星)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을 합칭한 말이니 일간(日干)을 생해 주는 오행이 인성이다.
인성격(印星格)
정인격(正印格) 편인격(偏印格)을 합칭한 말이다.
월지의 지장간(支藏干)이 사주 천간에 인성(印星)이 투출(透出)하면 인성격(印星格)이 된다.
인성(印星)이란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인성(印星)은 생하는 정관이나 편관을 좋아한다.
가장 꺼리는 것은 인성을 극제(剋制)하는 재성(財星)이다.
인성격(印星格)은 정인, 편인이 많으면 부모와 인연이 없어 일찍고향을 떠나고 만년(晩年)이 외롭다.
인성격(印星格)은 문장 교육 계통으로 출세하고 명예를 드날린다
인수(印綬)
일간(日干)을 생하는 자로 음양이 다르면 정인(正印)이라 하고,
같으면 편인(偏印)이라 한다.
정인은 대인관계로 남녀가 같이 친 어머니(生母) 또는 손자로 보고, 남자는 또 장인(丈人)으로 본다.
편인이 서모·계모·이모뻘이 되니, 정인은 나를 직접 낳은 어머니가 되며,
남녀가 모두 식신(食神)을 자식으로 볼 때,
정관(正官)은 며느리, 정관이 낳은 이수는 며느리가 낳은 子이니 바로 손자가 된다.
그리고 남자의 경우(正財)가 아내이니,
아내의 어머니는 나의 장모(丈母)로 식신(食神)이요,
장모인 식신(食神)의 남편(식신(食神)의 正官)은 인수가 되니 나의 장인(丈人)으로 본다.
甲日-癸子
乙日-壬亥
丙日-乙卯
丁日-甲寅
戊日-丁午
己日-丙巳
庚日-己丑未
辛日-戊辰戌
壬日-辛酉
癸日-庚申
#인수 #인성 #인성격 #참사주아카데미 #명리용어사전 #김희선사주
#천간지지 #십이운성 #무료사주보기 #음양오행
#창암명리학회 #일주론 #실전통변 #기초명리 #사주상담 #사주잘보는곳
#역학강사 #김희선사주 #우도주막김희선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