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시간에 교수님의 컨펌을 받고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이번 패키지는 캐릭터를 벗어나고, 뚜껑이 있는 것 보다는 종이 안에 비닐이 잇어서 간편하게
먹고 버리기 편한 느낌으로 가려고 합니다. 그리고 어디서 팔지 정하고 타이포에 치중을 하기로 했습니다.
브랜드 네임은 반찬이란 명칭을 가지고 풀어가면서 전통적인 느낌을 살릴까 합니다. 그와 관련된 단어들과 뜻을 찾아보았습니다.
첩
반상기 한 벌에 갖추어진 쟁첩을 세는 단위.
/
반상기
명사
격식을 갖추어 밥상 하나를 차리도록 만든 한 벌의 그릇.
사기나 놋쇠 따위로 만들며, 주발ㆍ대접ㆍ쟁반ㆍ탕기ㆍ조칫보ㆍ
보시기ㆍ종지 따위를 기본으로 하고 쟁첩의 수에 따라 3첩ㆍ5첩ㆍ7첩ㆍ9첩 등
으로 구별하고, 대접과 쟁반 외에는 모두 뚜껑이 있다. [비슷한 말] 반상14.
/
④ 찜 또는 선 ⑤ 전골 ⑥ 김치 ⑦ 장종지(맑은간장 ·초장 ·초고추장 ·젓국 등 먹는 사람이 간을 맞추는 데 쓸 것들) 등이고,
찬품은 ① 편육 또는 수육[熟肉], ② 전유어(저냐) ③ 회(생회 ·숙회 ·강회 등) ④ 달걀(水卵 ·熟卵 등)
⑤ 조림 또는 볶음 ⑥ 구이(더운 구이 ·찬 구이) 또는 적(炙) ⑦ 나물(숙채) ⑧ 생채(生菜) 또는 겉절이
⑨ 장아찌 또는 장과 ⑩ 젓갈 ⑪ 자반[佐飯] 또는 마른 찬류 등이다.
/
찬
명사
밥에 곁들여 먹는 음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비슷한 말] 밥반찬ㆍ식찬(食饌)ㆍ찬4(饌).
/
수라상
① 기본음식
: 밥(흰밥·팥밥)·국(미역국·곰국)·김치(섞박지·깍두기·동치미)·
장(초간장·초고추장·겨자즙)·조치(젓국조치·고추장조치)·찜(갈비찜)·전골 등이다.
② 반찬
: 숙채(애호박나물·숙주나물·도라지나물 등 삼색나물)·생채(무생채)·
구이(너비아니구이·생선구이)·조림(조기조림·사태장조림)·전(민어전·뮈쌈)·
적(송이산적·사슬적)·자반(북어무침·장똑도기·대구포·어란·장포육)·젓갈(새우젓)·
회(육회·민어회)·편육·장과(삼합장과·오이통장과)·별찬(육회·어회·어채·수란) 등이다.
/
우렁각시
우렁각시 달팽이각시(우리나라에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우렁이 색시 유형에 속하는 설화.
평범한 남자와 고귀한 여자의 결합, 서민의 극적인 신분 상승을 주된 화소(話素)로 하는 민담이다).
/
첩이란 쟁첩의 준말
쟁첩은 반찬을 담는 작은 접시로
과거에는 흔히 놋쇠로 만들었다
쟁첩은 뚜껑이 다 있고
다섯개나 일곱개 또는 아홉개로 한 벌을 이룬다
이첩을 셀 때 밥상의 기본이 되는 밥, 국, 김치, 장은 뺀다
3첩 반상은 밥, 국, 김치, 장을 뺀 나물, 구이, 또는 조림
마른반찬이나 젓갈 등에서 한 가지를 택해서 차렸다고 한다.
5첩 반상은 밥, 탕, 김치, 간장, 찌개를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숙채, 생채, 구이나 조림, 전류, 마른반찬, 이 다섯 가지
반찬을 차린 밥상이다.
7첩 반상은 찜과 전골이 기본 상에 포함되고, 반찬으로 일곱 가지가
나오는 상인데 5첩 반상과 달리 구이와 조림이 각각 따로 나오고
젓갈이나 회 중에서 한 가지가 추가되는 상이다.
반찬이 가장 많은 상이 임금님이 드시던 수라상이다.
수라상은 빨간색의 동그란 상에 차려졌는데
상이 1개가 아니고 보통 3개로 구성된다.
임금님 바로 앞에 커다란 상, 대원반이라고 하는상에
기본 반찬을 제외한 12가지 반찬이 오르는데 기본 찬까지 합치면 대략
20가지가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왕의 오른쪽에 소원반이라고 해서 팥밥과 곰국, 숭늉이 준비됐고.
이 소원반 앞에는 기미상궁이 대기 하고 있다가. 음식을 미리
맛보는 역할을 했다
그리고 소원반 앞쪽에 책상반이라고 해서 사각혀으이 작은 상과 전골용
화로를 놓았는데 이상 앞에는 전골담당 수라상궁이 앉아서 전골을 즉석에서
만들었고, 이역시 기미상궁이 먼저 맛을봤다.
아래 사진들은 반찬과 관련된 사진들을 추가로 찾아보았습니다.





첫댓글 반찬박사될듯^^ 브랜드 네임~ 제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