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ta criterion에 관한 진술 중 (i) each argument must receive only one theta-role, and (ii) each theta-role must be assigned to only one argument. 에서 "only"가 왜 들어가 있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Susan put the book.에서는 goal theta-role이 할당돼야 할 argument가 없기 때문에 만약 the book에 할당된다면 the book이 theme , goal이라는 두 개의 theta-role을 받아버리기 때문에 조건(ii) 하나의 의미역이 only one argument에만 할당돼야 한다를 어기는건가? 라고 생각했습니다. (맞을까요,.?)
그런데
*The ball John hit it broke the window에서는 논항 it이 아무런 theta-role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조건 (i)을 어기는 것인데, 그렇다면 it이 두개의 의미역을 받아서 비문인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조건에 only가 들어갈 필요가 없는 것이 아닌가요..?
감사합니다!
첫댓글 답변드리겠습니다!
우선 only라고 말한건 아시겠지만 해당 문제와 관련해서 only라고 쓴 것입니다.
지문에서 only라고 쓴 것은 어떻게 보면 강조를 한 것이예요.
(i) 각각의 argument가 '오직' 하나의 theta-role을 받아야 한다
(ii) 각각의 theta-role은 오직 하나의 arguemnt에게 주어져야 한다.
이 2가지 조건을 꼭 지켜달라라는 말일 것입니다. 물론 only가 안들어가도 one이 있기 때문에 그냥 one이나 only one이나 같습니다. 그런데 강조를 했다라고 보시면 출제자의 의도를 이해 할 수 있을 거예요. 즉 무조건 only one으로 조건을 지켜라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B>의 a에서
Susan put the book에서 put은 3가지의 argument가 필요하고 또한 각각에 theta-role을 주어야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에게'에 해당하는 argument가 없죠. 그렇다면 put은 총 3개의 theta-role을 주어야 하는데 하나가 없기때문에 (ii)의 조건인 각각의 theta-role은 '오직' 한개의 argument에다가 주어져야한다. '오직'이니까 말씀하신 것처럼 the book은 theta-role을 무조건 하나만 받아야합니다. 그러면 나머지 남은 하나의 theta-role은 갈 곳이 없어지겠죠~ 그래서 (ii)의 조건에 충족하지 못하는 것이죠!
그리고 <B>의 b에서는
<A>지문 마지막 단락에 나오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에서 생략된 목적어 ∅wh에도 theta-role을 받는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러면 hit은 John과 ∅wh에 theta-role을 다 주었기 때문에 남은 it은 theta-role을 받을 수 없게되죠. 그래서 (i)조건을 어기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only를 쓴이유는(물론 안써도 괜찮지만) 출제자가 '무조건 하나야 하나! 꼭 이거 지켜야돼~'라는 것을 은연중에 알려주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