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국회
다음 중 SSTF(Shortest Seek Time First)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디스크 스케줄링을 할 경우
보기의 요구 큐에 있는 트랙의 이동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
요구 큐 : 20, 47, 169, 13, 83, 67, 52
head 시작 위치 : 72
------------------------------
① 169, 13, 20, 47, 52, 83, 67
② 13, 20, 47, 52, 67, 83, 169
③ 169, 83, 67, 52, 47, 20, 13
④ 67, 52, 47, 20, 13, 83, 169
⑤ 67, 83, 52, 47, 20, 13, 169
답:4
풀이방법
1.
72 -> 83 : 11
72 -> 67 : 5
72 다음으로 67이 가까움
2.
67 -> 52 : 15
67 -> 83 : 16
67 다음으로 52가 더 가까움
67 -> 52 ... 순으로 진행되는 것은 4번이다
시작위치와 요구 큐의 차이가 제일 작은 수를 차례대로 구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걸리는 문제
2010 국가
트랙 번호가 0부터 199인 200개의 트랙을 가진 디스크가 있다.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 중 C-SCAN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작업 대기 큐(디스크 큐)의 작업을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처리되는 트랙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현재 디스크 헤드는 트랙 35에서 트랙 47로 이동해 왔다고 가정한다.)
---------------------------------
작업 대기 큐 : 139, 22, 175. 86, 13, 158
헤드 시작 위치 : 47
---------------------------------
① 47 -> 86 -> 139 -> 158 -> 175 -> 22 -> 13
② 47 -> 86 -> 139 -> 158 -> 175 -> 199 -> 0 -> 13 -> 22
③ 47 -> 22 -> 13 -> 86 -> 139 -> 158 -> 175
④ 47 -> 86 -> 139 -> 158 -> 175 -> 199 -> 22 -> 13
답:2
C-SCAN 진행방식
한 방향 끝까지 진행(마지막 트랙) 그후
맨 처음(트랙의 처음)에서 부터 한 방향 끝까지 진행 반복
2014 서울시
디스크의 서비스 요청 대기 큐에 도착한 요청이 다음과 같을 때 C-LOOK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의한 헤드의
총 이동거리는 얼마인가?
(단, 현재 헤드의 위치는 50에 있고, 헤드의 이동방향은 0에서 199방향이다)
--------------------------------
요청 대기열의 순서
65, 112, 40, 16, 90, 170, 165, 35, 180
--------------------------------
① 388
② 318
③ 362
④ 347
⑤ 412
답:2
15+25+22+53+5+10+164+19+5=318
스케줄링 방식대로 나열후 뺄셈도 해야해서 시간 걸리는 문제
C-LOOK 진행방식
c-scan 진행방식 : 한 방향 끝까지 진행(트랙의 마지막) 그 후 맨 처음(트랙의 맨 처음)부터 다시 맨 끝까지 진행
C-LOOK 진행방식 : c-scan과 비슷하게 움직임 하지만 처리할 요청 없는 곳까지 진행후 다시 맨 처음에서 맨 끝까지 진행함
50 -> 65 -> 90 -> 112 -> 165 -> 170 -> 180 -> 16 -> 35 -> 40
(15) (25) (22) (53) (5) (10) (164) (19) (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