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실사례)_"Brand Communication Index Monthly Report('18.10월)"_ FCMBA 문재현
1. 조사 종류 : "Brand Communication Index Report"
2. 조사 소개
§ 본인이 소속되어 있는 회사는 건강식품 회사로서
건강식품 시장 특성상[업종내 경쟁 높음, 시장 트렌드 변화(소재/효능 등) 빠름] 소재/종류와 관련된 다양한 시장조사를 주기적/중복적으로 시행중임.
§ 여기서 소개할 내용은 그중에서 보편화 되어 있는 리서치 전문 기관을 통해 월별로 각 경쟁 브랜드별 인지도 및 당사 제품 소재별 상기도등과 관련한 Brand Communication Index Monthly Report 중 하나임('18. 10월)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FC5435BE6C0A232)
3. 조사 목적
- KGC인삼공사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지표 측정과 주요 이슈 및 소재 트렌드 파악을 통해
현재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진단하고 향후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고자 함
본 조사는 Corporate, Family, Product 브랜드의 인지 및 이미지를 파악하여 KGC인삼공사의
주요 현안에 대한 파악 및 즉각적 대응, 신규 소재에 대한 트렌드 변화, 홍삼의 인지도 제고
등을 위한 마케팅 활동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음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39D4C5BE6C2D006)
4. 조사의 설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2024D5BE6C42503)
5. 표본 할당 및 응답자 특성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453465BE6C46235)
6. 조사 결과
[ 요약(상세 생략) ]
건강식품 소재/종류 중 ‘홍삼’은 추석 명절의 영향으로 최초상기(**%)와 총 비보조상기(**%)
직전 조사 대비 모두 상승하였으며,
‘비타민/종합비타민’, ‘유산균’의 상기도는 유지, ‘녹용’과
‘오메가 3’는 상기도가 하락하는 추세를 보임
유행/관심 건강식품 소재/종류는 ‘유산균’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노니’에 대한 유행
/관심이 상승하고 있음
건강식품 브랜드로서 ‘한국인삼공사-정관장’은 최초상기 **%로 건기식 시장 내 높은
브랜드 위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비보조상기에서 ‘***’와 ‘***’의 인지도가 소폭 하락한 반면,
‘**식품’은 전월 대비 비보조상기가 상승하였음
~(중략)
주요 제품 중 ‘천녹’의 매체 접촉률은 상승했으나, ‘굿베이스’ 와 ‘지니펫’의 매체 접촉률 하락함
‘굿 베이스’의 경우 타겟층의 매체 접촉률도 하락하여 타겟층을 고려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광고/PPL 평가에서는 추석 명절을 타겟으로 한 추석광고에 대한 광고 평가 및 호감도, 제품
구매의향 모두 매우 긍정적인 수준으로
평가 되었으며, 특히 추석광고(딸편)의 평가가 긍정적임
'여성을 위한 건기식’, ‘갱년기 전용 건기식’ 모두 ‘화애락’의 상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과거 대비 상기도가 하락하여, 지속적인 지표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각종 수치 및 경쟁 조사 내용 등이 포함된 대외비 성 내용이 포함되어 일부내용 블랭크 처리함**. 끝.
첫댓글 정기적으로 마케팅 조사를 실시해서 그 결과를 전략 수립에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 합니다만, 조사 대상지역이나 조사대상자를 한정하고 조사한 결과를 전국적으로 해석하는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설문지의 내용을 보다 정교하게 작성해서 유효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정관장 주 구매는 상당부분 여성일거같은데 양성 동등한 수로 표본 조사했네요~여성의 비중을 더 늘릴필요가 있지않나 ~해서 적어봤습니다~
역시 정관장 홍삼은 김영란법 등 외풍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한 브랜드임을 여실히 보여주는 자료네요ᆢ여타 홍삼 브랜드와 비교 등 좀더 상세한 데이타가 있으면 더 좋겠네요 ㅎㅎㅎ
정관장 그 회사명자체가 최고의 신뢰받는 브랜드죠 월별 ㆍ시기별 분석 진단 이 눈에 띄네요
마케팅조사의 심플하고 깔끔한 샘플을 본 것 같네요~!^^ 주기적으로 외부기관을 통해 서베이하고 결과에 따라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상당히 유효한 전략인 것 같습니다.
너무 작은 표본수로 인해 정확한 데이터를 측정한다는 것이 다소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또한 5개의 도시를 전체의 지역의 반응이라고 설문조사 후 결론을 내리기에는 오류가 있을 것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지역별 유효표본수를 연령층별 일정 비율로 할당했는데 부산이라는 지역은 젊은 층보다 중장년층의 인구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굿베이스 제품보다 천녹과 같은 제품의 인지도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데 지역별 동일 연령으로 유효표본을 할당하기 보다 지역별 연령층을 먼저 조사 후 그 연령층에 맞는 유효수를 할당하는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표본할당과 응답자의 특성까지 잘 정리해서 조사하신 것 같습니다.. 조사를 통해 얻은 정보로 정관장이 더 크게 성장하길 기원합니다
정관장은 소비대상에 따라 제품이 나눠진다고 생각합니다. 상대적으로 고가의 제품이다 보니 소득에 따라 구매빈도와 구매율은 크게 차이가 날 것이고요. 또한, 소비대상은 아이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할지 몰라도, 사실상 구매자는 단순하게 좁혀질 것입니다. 이에 맞게 설문문항이 보다 다양했으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을 살포시 해봅니다.
홍삼의 브랜드 로열티가 강한 정관장에서 기존 제품의 시장지배력 강화를 위한 조사활동을 통해 경쟁사 및 트랜드 조사, 기호도, 기존제품의 시장의 경쟁우위, 제품의 매출 시계열 분석등 운영제품의 포지션을 알수 있는 유용한 자료라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