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 중 사실상 대전과 줄을 대고 톱니바퀴를 이룰 지구별 개발계획이 지연되며 특구를 지향한 대전시 계획도 일단 멈춤 상태에 빠졌다.
더욱이 구랍으로 예정됐던 국토연구원의 초안작성이 한 달 가량 늦어져 1월 주민협의, 2월 공람 및 전문가 토론회, 3월 계획안 확정, 4월 관계부처 협의후 특구위원회 상정, 5월 의결 후 확정·고시의 절차도 한 발씩 후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개발계획과 밀접하게 맞물린 것은 개발조정가능지역 개발기본계획과 산업단지 조성 등이다.
개발조정가능지 기본계획은 기초조사 및 개발기본계획을 완료하고도 특구 종합개발계획 반영 후 확정을 위해 덮어둔 상태다.
2004년 말 건교부 승인을 받은 개발제한구역 조정가능지는 국가정책사업 3개 지역을 제외한 일반조정가능지 23개소 약 404만평이다.
시는 개발 타당성 조사가 진행중이던 지난해 7월 개발조정가능지의 효율적인 활용방안 마련을 위해 실국 및 자치구의 사업구상을 취합하는 등 본격적인 용처파악에 나섰다.
원점에서 가수요를 측정함으로써 입지 충돌 및 난개발을 방지하고 용도를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토지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준비는 계속돼 기본계획에 녹아들었지만 지난해 10월∼11월이면 충분할 것으로 전망됐던 특구 개발계획 확정·고시가 늦어지는 바람에 당분간 뚜껑을 열 수 없게 됐다.
한시가 시급한 산업단지 조성사업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대덕 테크노밸리에서 확인했듯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한 부지난은 진행형으로 대규모 산업단지가 입지할 대덕특구 개발계획을 목빠지게 고대하고 있다.
지난해 8월 과학기술부에서 발표한 육성종합계획안 상으로는 신동·둔곡·방현·용산·신성·전민·죽동·문지 등 8개 개발 지구 중 신동은 북부거점 복합단지, 둔곡동은 최첨단 산업단지, 방현동은 연구개발·산업단지, 신성동은 벤처산업단지, 죽동은 외국인 단지를 예고했다.
시 관계자는 "국토연구원의 초안이 늦어지는 것이 사실이나 이후 절차를 서둘러 진행하면 5월 확정·고시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현안사업의 시급성을 들어 조속히 확정될 수 있도록 촉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