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양씨 시조(始祖)와 중시조(中始祖)
우리 양씨 성의 시조는 제주의 삼성혈에서 용출하신 良乙那(량을나) 이나 이는 태고 때
일이라 이후의 일은 알 수가 없고
구전이나 기록에 나오는 확실한 근거는 신라 와 고려 때부터 인데 이후 조선 시대 중엽부터
족보가 보편화되면서 지역이나
문중에서 추대하여 모신 선조 분이 중 시조이다.
그리하여 아래의표와 같이 문중별로 중 시조부터 세계를 이루어 작성한 것이 현재의
족보인 것이다.
本貫(본관) 派(파) 派祖(파조) 관 직
남원 병부공파 梁能讓 양능양
號(호)는 돈암 兵部公派 派祖(병부공파 파조)로 976년 고려 경종 1년 봉사를 지낼 때 宋(송) 나라에 들어가 國子監(국자암)에서 金行成금행성)과 같이 典禮(전례)와 經義(경의)를 講(강)하고 賓貢科(빈공과)에 급제를 하였으며 귀국하여 학교를 설립하고 영재육성에 공헌하였으며. 성종 때 中奉大夫(중봉대부)에 책록되였고 兵部郞中(병부량중)을 거처 東宮 內 侍講學士(동궁 내 시강학사) 에 이르렀다. 1003년 목종 6년 김치양이 천추태후 황보와 사통하여 낳은 아들로 왕위 계승을 꾀하여 대량원군 순을 죽일 음모를 꾀하는 난정을 피하여 스스로 벼슬에서 물러나 호남 용성의 풍악산 아래 중산동에 은거하며 평생을 살았으며 용장서원에 제향 되었다.
집성지: 남원. 진안. 장수. 서울. 경기 지역
용성군파 梁朱雲 양주운
자는 효직 호는 삼강 고려 원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태자중윤에 이르렀고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정주의주를 갖이고 와서 널리 포교하는데 공을 세웠다. 삼벌초의 난을 김방경과 함께 몽고군 철기 30만을 이끌고 제주에 들어가 토벌하고 도민을 안무한 공으로 찬화공신 삼중대광에 책봉 되였으며 정당문학에 관직이 올랐으며 용성부원군에 봉하여 졌다. 묘소는 남원군 수지면 산정리 산28 번지 집성지 : 경남함양. 전라남북도
대방군파 梁水精 양수정
一諱守廷(일휘수정) 고려때 공을 세워 帶方 府院君(대방 부원군)에 봉하여 젖으며 상세한 연대와 연혁은 실전으로 알 수가 없고 오랜 세월 구전으로 전해온 바이다. 고려 충선왕 2년 경술년에 대방을 남원으로 이름이 바뀐바 그 이전으로 추정 할 수밖에 없다. 하여 대방군 파에서는 중시조를 水字 精字(수자 정자) 로 하고 1 世祖를 변<水卞> 字(수변자)부터 시작하여 世(세)를 이어 오고 있다.
집성지 : 진주 서부 남부지역 진주 창원 고성 남해 하동 산청 함양 남원
제주 성주공파 梁龜美 양구미
邑號曰耽羅盖以來時初泊耽津故也各賜 寶盖衣帶而遣之. 自此子孫蕃盛敬事國家.
以高爲星主良爲王子夫爲徒上後又改良 爲梁. 집성지 : 제주도 지역
유격공파 梁保崇 양보숭
고려 명종조(1131~1202) 유격장군 집성지 : 전라남도 지역
충주 예성군파 梁能吉 양능길
고려 건국 때의 무인이며 충주양씨 의 파조이다. 타고난 품격이 영민하고 비범하였으며 육체적인 힘도 남보다 뛰어났으므로 장상이 될 재능이 있었다. 따라서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할 때에 태조를 도와 통합삼한대 장군이 되어 국가의 대업을 이룩하여 그 공훈이 일세에 빛나므로 예성군에 봉하고 예성(충주)을 본관으로 삼게 하였다. 충주시 엄정면 신만리 산 58번지에 묘소가 있으며 1977년 10월에 후손들에 의해서 묘비가 세워짐. 묘소는 한쪽이 2.60m의 길이에 8각형 호석으로 들렀는데 호석의 높이는 3단으로 이루어 졌는데 총 높이가 90여c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