七一. 菊花散
治風熱上攻 頭痛不止.
甘菊花 旋覆花 防風 枳殼 羌活 蔓荊子 石膏 甘草 各一錢
水一鍾半 薑五片 煎七分 不拘時服.
71. 국화산(菊花散)
풍열(風熱)의 상공(上攻)으로 두통(頭痛)이 부지(不止)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감국화(甘菊花) 선복화(旋覆花) 방풍(防風) 지각(枳殼) 강활(羌活) 만형자(蔓荊子) 석고(石膏) 감초(甘草) 각 1전(錢)
물 1종반(鍾半)에 생강(生薑) 5편(片)을 넣고 달여 7분(分)이 되면 시(時)에 불구(不拘)하고 복용하느니라.
七二. [寶鑑]如聖散
治眼目 偏痛 頭風.
麻黃(燒灰) 半兩 盆硝 二錢半 麝香 腦子 各少許
上爲細末搐之.
72. [보감]여성산([寶鑑]如聖散)
안목(眼目)의 편통(偏痛) 두풍(頭風)을 치료(治)하느니라.
마황(麻黃)(소(燒)하여 회(灰)) 반량(半兩) 분초(盆硝) 2전반(錢半) 사향(麝香) 뇌자(腦子) 각 소허(少許)
세(細)하게 가루 내고 불어 넣느니라.
七三. 點頭散
治偏正頭痛.
川芎 一兩 香附 四兩(炒去毛)
上爲細末. 每服二錢 食後茶淸調服.
73. 점두산(點頭散)
편두통(偏頭痛) 정두통(正頭痛)을 치료(治)하느니라.
천궁(川芎) 1량(兩) 향부(香附) 4량(兩)(초(炒)하고 모(毛)를 거(去))
세(細)하게 가루 내고 매 2전(錢)을 복용하니 식후(食後)에 다청(茶淸)에 조(調)하여 복용하느니라.
七四. [東垣]淸空膏
治偏正頭痛年深不愈者. 善療風濕熱上壅頭目 及腦痛不止. 若除血虛頭痛者 非此所宜.
川芎 五錢 柴胡 七錢 黃連(酒炒) 防風 羌活 各一兩 炙甘草 一兩半 細挺子黃芩 一兩(一半炒 一半酒洗)
上爲細末. 每服二錢匕 熱茶調如膏 抹在口內 少用白湯送下 臨臥. 如若 頭痛 每服加細辛二分. 如太陰脈緩有痰 名曰痰厥頭痛 減羌活 防風 川芎 甘草 加半夏一兩五錢.
74. [동원]청공고([東垣]淸空膏)
편두통(偏頭痛) 정두통(正頭痛)이 연심(年深)하여 낫지 않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풍습열(風濕熱)의 두목(頭目)으로의 상옹(上壅) 및 뇌통(腦痛)의 부지(不止)를 잘 치료(:療)하느니라. 만약 혈허(血虛)의 두통(頭痛)을 제(除)하려면 이것은 마땅하지 않느니라.
천궁(川芎) 5전(錢) 시호(柴胡) 7전(錢) 황련(黃連)(주(酒)로 초(炒)) 방풍(防風) 강활(羌活) 각 1량(兩) 자감초(炙甘草) 1량반(兩半) 세정자황금(細挺子黃芩) 1량(兩)(반(半)은 초(炒)하고 반(半)은 주(酒)로 세(洗))
세(細)하게 가루 내고 매 2전비(錢匕)를 복용하니 임와(臨臥)에 열다(熱茶)에 조(調)하여 고(膏)와 같게 하고 구내(口內)에 발랐다가 백탕(白湯)을 소(少)하게 사용하여 송하(送下)하느니라.
만약 두통(頭痛)하면 매 복용에 세신(細辛) 2분(分)을 가하느니라.
태음(太陰)의 맥(脈)이 완(緩)하고 담(痰)이 있으면 명(名)하여 담궐두통(痰厥頭痛)이라 하니, 강활(羌活) 방풍(防風) 천궁(川芎) 감초(甘草)를 감(減)하고 반하(半夏) 1량(兩) 5전(錢)을 가하느니라.
七五. 愈風餠子
治頭風疼痛.
川烏(炒) 半兩 川芎 甘菊 白芷 防風 細辛 天麻 羌活 荊芥 薄荷
上爲細末 水浸蒸餠爲劑 揑作餠子. 每服三五餠 細嚼茶酒任下 不拘時.
75. 유풍병자(愈風餠子)
두풍(頭風)의 동통(疼痛)을 치료(治)하느니라.
천오(川烏)(초(炒)) 반량(半兩) 천궁(川芎) 감국(甘菊) 백지(白芷) 방풍(防風) 세신(細辛) 천마(天麻) 강활(羌活) 형개(荊芥) 박하(薄荷)
세(細)하게 가루 내고 물에 침(浸)한 증병(蒸餠)으로 만드니, 반죽하여 병자(餠子)를 작(作)하느니라. 매 3~5병(餠)을 복용하니 세(細)하게 작(嚼)하고는 차(茶) 주(酒)로 임하(任下)하느니라. 시(時)에 불구(不拘)하느니라.
七六. [本事]治八般頭風
草烏尖 細辛 等分 黃丹 少許
上爲細末 用葦管搐入鼻中.
76. [본사]치팔반두풍([本事]治八般頭風)
초오첨(草烏尖) 세신(細辛) 등분(等分) 황단(黃丹) 소허(少許)
세(細)하게 가루 내고 갈대의 관(:葦管)으로 비중(鼻中)에 불어 넣느니라.
七七. [百二]都梁丸
治風吹項背 頭目昏眩 腦痛 及婦人胎前産後傷風頭痛.
白芷(大塊白者 沸湯泡切)
上爲末 煉蜜丸 彈子大. 每用一丸 細嚼荊芥點茶下.
77. [백이]도량환([百二]都梁丸)
풍(風)이 항배(項背)로 취(吹)하여 두목(頭目)이 혼현(昏眩)하고 뇌통(腦痛)하거나 및 부인(婦人)의 태전(胎前) 산후(産後)의 상풍(傷風) 두통(頭痛)을 치료(治)하느니라.
백지(白芷)(흰 대괴(大塊)를 비탕(沸湯)에 포(泡)하고 절(切))
가루 내고 연밀(煉蜜)로 환(丸)을 탄자(彈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1환(丸)을 사용하니 세(細)하게 작(嚼)하고 형개(荊芥)를 점(點)한 다(茶)로 하(下)하느니라.
七八. [和劑]三拗湯
治感冒風寒 鼻塞聲重 語音不出 咳嗽喘急 胸滿多痰.
麻黃(連節) 杏仁(連皮尖) 生甘草
上咀. 每服五錢 薑三五片 水煎. 食遠服. 若憎寒惡風 欲取汗解 加桔梗 荊芥 名五拗湯 治咽痛.
78. [화제]삼요탕([和劑]三拗湯)
풍한(風寒)의 감모(感冒)로 비색(鼻塞) 성중(聲重)하고 어음(語音)이 불출(不出)하며 해수(咳嗽) 천급(喘急)하고 흉만(胸滿) 다담(多痰)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마황(麻黃)(절(節)을 연(連)) 행인(杏仁)(피첨(皮尖)을 연(連)) 생감초(生甘草)
썰어서(:咀) 매 5전(錢)을 복용하니 생강(生薑) 3~5편(片)을 넣고 물에 달여 식원(食遠)에 복용하느니라.
증한(憎寒) 오풍(惡風)으로 취한(取汗)하여 해(解)하려면 길경(桔梗) 형개(荊芥)를 가하니, 명(名)하여 오요탕(五拗湯)이라 하느니라. 인통(咽痛)을 치료(治)하느니라.
七九. [局方]華蓋散
治肺受風寒 頭痛發熱 咳嗽痰飮.
麻黃 去節 蘇子 桑白皮 杏仁 去皮尖 炒 赤茯苓 橘紅 各一錢 甘草 五分
水二鍾 薑五片 棗一枚 煎八分. 食後服.
79. [국방]화개산([局方]華蓋散)
폐(肺)가 풍한(風寒)을 입어 두통(頭痛) 발열(發熱)하고 해수(咳嗽) 담음(痰飮)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마황(麻黃)(절(節)을 거(去)) 소자(蘇子) 상백피(桑白皮) 행(行)인(피첨(皮尖)을 거(去)하고 초(炒)) 적복령(赤茯苓) 귤홍(橘紅) 각 1전(錢) 감초(甘草) 5분(分)
물 2종(鍾)에 생강(生薑) 5편(片) 대조(大棗) 1매(枚)를 넣고 달여 8분(分)이 되면 식후(食後)에 복용하느니라.
八十. 冲和散
治感冒風濕 頭目不淸 鼻塞聲重 倦怠欠伸出淚.
蒼朮 四兩(米泔浸炒) 荊芥 甘草(炙) 八錢
上爲末. 薑湯調服二錢.
80. 충화산(冲和散)
풍습(風濕)의 감모(感冒)로 두목(頭目)이 불청(不淸)하고 비색(鼻塞) 성중(聲重)하며 권태(倦怠) 흠신출루(欠伸出淚)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창출(蒼朮) 4량(兩)(미감(米泔)에 침(浸)하고 초(炒)) 형개(荊芥) 감초(甘草)(자(炙)) 8전(錢)
가루 내고 강탕(薑湯)에 조(調)하여 2전(錢)을 복용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