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는 당초 세종시에 들어설 9부 2처 2청을 최소화 하기로 하는 한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를 유치하는 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청사에서 제3차 회의를 갖고 국토연구원으로 부터 ‘세종시 자족기능 보완 방안’과 ‘과학벨트를 구축하는 방안’에 대해 보고를 받고, 과학벨트 세종시 유치를 공식 건의키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행정’중심에서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전환되고, 과학벨트가 세종시의 핵심 분야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과학벨트의 경우 내년부터 사업을 시작, 완료 시점이 오는 2029년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과학벨트 역시 세종시 처럼 정권이 교체될 경우 지속적으로 추진될지 여부가 불투명해 충청권이 이를 수용할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더구나 과학벨트는 지난 2007년 대선 당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대표적 충청권 공약 사업이어서 정부 부처 이전 대신 정부의 수정안으로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과학벨트 사업의 경우 예산은 3조 5000억 원에 달하며, 200만㎡ 사업부지에 기초과학연구원과 함께 중이온 가속기 설치가 설치되고, 장기적으로 5개 연구단 3000명 규모로 조성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정부가 ‘세종시 수정방향’의 윤곽을 마련한 만큼 한국개발연구원 등은 원안과 수정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를 다음 4차 회의 때 보고할 방침이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위원회가 세종시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와중에 있음에도 일부 정보가 사실인 양 인식되기도 했다”며 “근거 없는 오해나 불안감이 지금 세종시를 둘러싼 논란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어 이명박 대통령의 특별생방송을 언급하며 “나는 가슴에서 우러나오는 대통령의 진정성과 국정을 책임져야 할 지도자로서 인간적 갈등과 고민을 느낄 수 있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종시 발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정부 입장의 진정성이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 출처 ; 충청투데이/방종훈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