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백호살(白虎殺)
1) 백호살(白虎殺) 찾는 방법
백호살(白虎殺)은 7종(種)이 있는데 모두 간지(干支)로 구성이 됩니다. 따라서 사주 팔주 내에 이 7종(種)의 간지(干支)가 존재하면 백호살(白虎殺)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또한 세운(歲運)에서 백호살(白虎殺)을 만나는 경우에도 백호살의 흉길(凶吉)을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백호살 보는 법 |
천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壬 | 癸 |
지지 | 辰 | 未 | 戌 | 丑 | 辰 | 戌 | 丑 |
2) 백호살의 원리(原理)
백호살은 60간지를 구궁(九宮)에 순행(順行), 역행(逆行)시켜 중궁(中宮)에 닿는 간지를 말합니다. 곧, 중궁(中宮)에 닿는 간지인 백호살은 무진(戊辰), 정축(丁丑), 병술(丙戌), 을미(乙未), 갑진(甲辰), 계축(癸丑), 임술(壬戌)입니다.
丁卯,丙子,乙酉,甲午 癸卯,壬子,辛酉 | 壬申,辛巳,庚寅,己亥 戊申,丁巳 | 乙丑,戊戌,癸未,壬辰 辛丑,庚戌,己未 |
丙寅,乙亥,甲申,癸巳 壬寅,辛亥,庚申 | 戊辰,丁丑,丙戌,乙未 甲辰,癸丑,壬戌 | 庚午,己卯,戊子,丁酉 丙午,乙卯 |
辛未,庚辰,己丑,戊戌 丁未,丙辰 | 甲子,癸酉,壬午,辛卯 庚子,己酉,戊午 | 己巳,戊寅,丁亥,丙申 乙巳,甲寅,癸亥 |
백호살(白虎煞)은 구궁도(九宮圖)에서 나온 이론입니다. 백호살(白虎煞)은 진술축미(辰戌丑未)의 토(土)기운이 중궁(中宮)을 침범하는 것을 말하는데 일명 오귀살(五鬼煞)이라 합니다. 예를 들어, 감궁(坎宮)의 갑자(甲子)로부터 출발하여 순행할 때 임신(壬申)에 이르면 9번째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그 중앙은 5번째로 황제자리인 중궁(中宮)에 해당되는 것인데, 진술축미(辰戌丑未)는 묘지(墓地)에 해당하므로 이 둘이 서로 토끼리 상충하다 보니 결국 토 중앙이 흔들린다는 의미가 됩니다. 곧 죽음의 기운이 중궁(中宮)을 침범하여 황제를 위협한다고 해서 나온 것입니다 중앙을 황제라고 보는 것은 구궁도의 풍수방위에 의한 것입니다.
3) 백호살의 개념(槪念)
백호살은 호랑이에게 물려가 피를 본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관청에 끌려가거나 혹은 호환(虎患)에 물려 당하는 초상(初喪)이 많았는데 요즘의 교통사고 사망자 수(數)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백호(白虎)는 피를 보는 팔자라고 하여 혈광사(血狂死)라고도 합니다. 이 사고를 당하면 해당되는 육친은 피를 토하며 죽는 사건이 발생하였다고 하는데, 불의의 재난이나 병난(病難), 횡사(橫死), 변사(變死), 교통사고, 암수술, 등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백호는 신살(神殺) 중의 하나로 작용하는 힘이 아주 강한 살입니다. 그러므로 이 살은 일반직업이면 구설수(口舌數) 등에 노출이 되어 횡액(橫厄)에 쉽게 휩쓸릴 수가 있어서 액(厄)을 해소하는 직업을 가지는 것이 길한데, 군인(軍人), 검찰(檢察), 판사(判事), 경찰(警察), 교도관(矯導官), 소방관(消防官), 구조대(救助袋), 의사(醫師), 수의사, 종교(宗敎), 역술인 등이 좋고 회집운영, 정육점, 식육점, 이용사, 운동선수, 격투기 등이 적합합니다.
4) 백호살(白虎煞) 사건의 특징
갑진(甲辰),을미(乙未)백호(白虎): 끈이나 나무에 관계된 흉사(凶事)를 암시합니다. 죽으면 목메달아 죽거나 뭉둥이에 맞아 죽는다고 합니다.
병술(丙戌),정축(丁丑)백호(白虎): 불, 자동차, 양약에 관련된 흉사(凶事)를 암시하는데 사고가 나더라도 교통사고이거나 화재관련이 많고 죽어도 불에 타서 죽거나 부딪쳐 압사당해 죽습니다.
임술(壬戌),계축(癸丑)백호(白虎): 물이나 약물에 관련된 흉사(凶事)를 암시하는데 사고가 나더라도 익사, 음독, 자살이 많고 술주정뱅이 과량음주로 죽는 경우도 해당이 됩니다.
무진(戊辰)백호(白虎): 건축물, 산사태 등에 관련된 흉사(凶事)를 암시하는데 사고가 나더라도 토사의 붕괴에 의한 사고, 건물붕괴, 지하철붕괴오 압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5) 백호(白虎)와 육신(六神)의 결합상(結合像)
이 살(殺)이 편재(偏財)에 해당되면 부친(父親)이나 아내가 흉사(凶死) 또는 객사(客死)를 당한다고 보며, 관성(官星)이 이 살(殺)에 해당되면 여명(女命)일 경우 그 남편(男便)이, 남명(男命)일 경우는 그 자식(子息)이 비명횡사(非命橫死)할 위험이 있다고 보면 됩니다. 특히 갑진(甲辰) 을미(乙未)일주에 태어난 사람은 그의 아버지가 객사(客死) 또는 흉사(凶死)할 위험이 가장 많습니다.
상관(傷官)백호(白虎): 조모(祖母)의 산망(散亡)이 따른다
인수(印綬)백호(白虎): 모친(母親)의 산망(散亡)이 따른다
정재(正財)백호(白虎): 고모(姑母), 숙부(叔父) 혈광사(血狂死)
편재(偏財)백호(白虎): 부친(父親), 시모(媤母)의 혈광사(血狂死)
비견(比肩)백호(白虎): 자매(姉妹), 형제(兄弟)의 혈광사(血狂死)
관살백호인데 상식(傷食)다자(多者): 매부(妹夫)의 혈광사(血狂死)
6) 근묘화실(根苗花實) 응용법
년월일시의 근묘화실(根苗花實)을 따져 백호(白虎)에 임한 글자를 보는 데 백호(白虎)가 앉은 그 글자의 십신(十神)으로 운명을 논하면 됩니다. 천간과 지지가 모두 해당하므로 12운성으로 묘지(墓地)의 글자를 살피기도 하며 형충파해(形沖破害)하여 일어나는 충극(沖剋)을 살펴 백호의 흉을 예단(豫斷)합니다.
년주 백호살: 조상복이 없고, 조상들이 피를 보는 사고수가 있다.
월주 백호살: 부모형제와 관계가 안 좋고 박복하다.
일주 백호살: 부친 혹은 배우자에게 병이나 사고가 생길 수있고, 싸울 일도 많고 우환이 많다.
시주 백호살: 자녀에게 액운이 생길 수있고, 아랫사람으로 인해 고생할 수 있으며 노년에 고단한 삶을 살 수 있다.
7) 백호(白虎)와 신살(神殺) 결합상(結合像)
백호살와 양인 및 괴강살: 이 살을 만나면 중풍, 창질, 암, 당뇨병, 치질 등이 걸릴 확률이 높으며, 육해살이 되면 허리병이 들고 신경통과 위장무력이 있습니다.
화계(華蓋)와 월살(月殺): 백호살(白虎殺)이 있으면 승려, 수도인(僧侶 修道人), 유흥업에 종사하거나 무당(巫堂)이 되기도 합니다.
도화(桃花)반안(攀鞍)백호(白虎): 연예인으로 인기 상승하나 격(格)이 나쁘면 유흥(遊興)무대(舞臺)에 종사(從事)할 수 있습니다.
겁살(劫殺)백호(白虎): 손재수가 따르고 축재(蓄財)가 힘들 수 있습니다.
역마(驛馬)백호(白虎): 이동중 흉사(凶事)하거나 직업으로는 물류업종에 종사합니다.
재살(災殺)백호(白虎): 악살(惡殺)이 결집하면 수감, 투옥을 당할 수 있고 수슬 등의 입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비인(飛刃)백호(白虎): 이미용계, 의료계, 조각가 도예가 등에 종사합니다.
【예시1】 신축(辛丑)대운 병술년(丙戌年)에 부친이 혈광사(血狂死)한 사건인데 갑진(甲辰)일주는 편재(偏財) 백호(白虎)에 해당한다. 그런데 병술년(丙戌年)에 재차 편재(偏財) 백호(白虎)를 만난 것인데 백호가 진술충(辰戌沖)하여 들어오므로 백호가 크게 동(動)했다. 이 해는 부친이 편재(偏財)백호(白虎)에 걸린 시기라 흉운(凶運)이니 부친의 이동을 자제해야 한다.
時 | 日 | 月 | 年 | 세운 | 대운32 | 곤 명 |
편관 | 일간 | 겁재 | 편인 | 식신 | 정관 | 六 神 |
庚 | 甲 | 乙 | 壬 | 丙 | 辛 | 天 干 |
午 | 辰 | 巳 | 子 | 戌 | 丑 | 地 支 |
상관 | 편재 | 식신 | 정인 | 편재 | 정재 | 六 神 |
| 백호 |
|
| 백호 |
| 신 살 |
【예시2】병술(丙戌), 임술(壬戌), 갑진(甲辰)의 3 백호로 구성이 된 사주인데 병술(丙戌)은 부친궁에 자리한 편재(偏財) 백호(白虎)에 해당한다. 부모궁에 부친성이 백호이면 부친(父親)의 혈광사(血狂死)를 근심해야 한다. 그러므로 부친의 흉사가 있었고 부부의 인연도 박(薄)하였다
時 | 日 | 月 | 年 | 곤 명 |
식신 | 일간 | 편재 | 편인 | 六 神 |
甲 | 壬 | 丙 | 庚 | 天 干 |
辰 | 戌 | 戌 | 申 | 地 支 |
편관 | 편관 | 편관 | 편인 | 六 神 |
백호 | 백호 | 백호 | 역마 | 신 살 |
【예시3】 계축(癸丑)은 백호(白虎)이고 일간의 묘지(墓地)에 해당한다. 그런데 2개의 진토(辰土)가 축진파(丑辰破)로 협공(挾攻)하니 백호(白虎)가 동(動)하고 있다. 계축(癸丑)백호(白虎)는 물에 의한 혈광사(血狂死)이니 익사(溺死), 음독(飮毒), 약물(藥物)치사(致死)이다. 그러므로 이 명조는 사주실록에 소개가 된 임자년(壬子年)에 익사(溺死)한 요절(夭折) 명조이다.
時 | 日 | 月 | 年 | 곤 명 |
편인 | 일간 | 상관 | 식신 | 六 神 |
戊 | 庚 | 癸 | 壬 | 天 干 |
寅 | 辰 | 丑 | 辰 | 地 支 |
편재 | 편인 | 정인 | 편인 | 六 神 |
역마 | 괴강 | 백호묘지 |
| 신 살 |
【예시4】 임술(壬戌)은 상관(傷官)백호(白虎)요 계축(癸丑)은 편인(偏印)백호(白虎)이니 조모(祖母)산망(散亡)과 모친(母親)산망(散亡)이 염려가 되었다. 축술형(丑戌形)하므로 년지,월지의 백호(白虎)가 동(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사람은 모친(母親)이 조기 산망(散亡)하였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겁재 | 일간 | 식신 | 상관 | 六 神 |
庚 | 辛 | 癸 | 壬 | 天 干 |
寅 | 巳 | 丑 | 戌 | 地 支 |
정재 | 정관 | 편인 | 정인 | 六 神 |
|
| 백호 | 백호 | 신 살 |
【예시5】이 명조는 아버지, 남편, 형제가 모두 급사(急死)한 사주이다. 무술(戊戌)일주가 미월(未月)에 출생하여 토기(土氣)가 만국(滿局)하니 가색격(稼穡格)이 될 듯하나 을목(乙木)과 임수(壬水)가 천간(天干)에 투출(投出)하여 파격(破格)이 되었다. 그런데 을미(乙未)는 정관백호이며 임술(壬戌)은 편재 백호인데 축술형(丑戌形)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을미(乙未)는 고(庫)에 묻혔고 임술(壬戌)은 군겁(群劫)이 되었다. 그러므로 부친은 혈압으로 급사(急死)하였으며 남편 역시 병진년(丙辰年)에 갑자기 실신(失神)하여 불귀(不歸)의 객(客)이 되었고 형제성(兄弟星)인 비견(比肩) 토(土)가 삼형(三刑)으로 중중(重重)하였고 삼주(三住) 역시 비견(比肩)백호이므로 큰 오빠도 임술년(壬戌年)에 심장마비로 급사하였다.
時 | 日 | 月 | 年 | 곤 명 |
편재 | 일간 | 정관 | 편인 | 六 神 |
壬 | 戊 | 乙 | 丙 | 天 干 |
戌 | 戌 | 未 | 戌 | 地 支 |
비견 | 비견 | 겁재 | 비견 | 六 神 |
백호 |
| 백호 | 백호 | 신 살 |
【예시6】정축(丁丑)은 편재(偏財) 백호(白虎)이고 정계충(丁癸沖)인데 정축(丁丑)이 동주묘(同住墓)라 부친(父親)의 혈광사(血狂死)가 염려가 된다. 갑술(甲戌)대운에 축술형(丑戌形)하니 백호(白虎)가 동(動)하였는데, 그 결과 임오년(壬午年)에 축오(丑午)귀문이 백호(白虎)를 재차 불렀다. 그래서 임오년 28세에 부친이 작고한 명조이다.
時 | 日 | 月 | 年 | 세운28 | 대운24 | 곤 명 |
편인 | 일간 | 편재 | 상관 | 겁재 | 상관 | 六 神 |
辛 | 癸 | 丁 | 甲 | 壬 | 甲 | 天 干 |
酉 | 亥 | 丑 | 寅 | 午 | 戌 | 地 支 |
편인 | 겁재 | 편관 | 상관 |
|
| 六 神 |
|
| 백호 |
|
|
| 신 살 |
【예시7】을미년(乙未年)에 친정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그 다음에는 시어머니가 쓰러져 현재까지 병(病)수발을 한다고 하였다. 년지(年支)의 편재(偏財)가 공망(空亡)인데 오묘파(午卯破)가 되어 있다. 일시지(日時支)의 사해충(巳亥沖)은 역마지살(驛馬地殺)의 충(沖)이니 늦은 나이에 닺쳐 오는 원행(遠行)이다. 그런데 원행(遠行)해야 할 사람이 이동을 못하게 되면 이건 질환(疾患)이 된다. 왜냐하면 역마(驛馬)는 병지(病地)에서 출행(出行)하기 때문이다. 또는 남편 혹은 자식의 원행(遠行)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그래서 을미년(乙未年)에는 편재(偏財)백호(白虎)가 등장하였는데 자수(子水)대운이라 자오충(子午沖)으로 오묘파(午卯破)를 동(動)하게 하였다. 그런 즉, 편재(偏財)가 동(動)하였는데 편재(偏財)는 부친(父親)이고 또한 시모(媤母)에 해당하였으므로 이 해에 두 분의 불상사(不祥事)를 경험하게 되었다
時 | 日 | 月 | 年 | 세운53 | 대운50 | 곤 명 |
식신 | 일간 | 정인 | 식신 | 편재 | 정재 | 六 神 |
癸 | 辛 | 戊 | 癸 | 乙 | 甲 | 天 干 |
巳 | 亥 | 午 | 卯 | 未 | 子 | 地 支 |
정관 | 상관 | 편관 | 편재 | 편인 | 식신 | 六 神 |
역마공망 | 지살 |
| 공망 | 백호 |
| 신 살 |
【예시8】인목(寅木)이 4개로 구성이 된 편인(偏印)은 효신(梟神)을 구성한다. 그런즉, 임술년(壬戌年)에 식신(食神)이 출현했으니 편인도식(偏印倒食)을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임술년(壬戌年)은 편관(偏官)백호살인데 자식의 흉(凶)이 컸다. 57세 임술(壬戌)년에 아들 두 명이 연달아 사망하였다.
時 | 日 | 月 | 年 | 세운57 | 건 명 |
편재 | 일간 | 편재 | 비견 | 편관 | 六 神 |
庚 | 丙 | 庚 | 丙 | 壬 | 天 干 |
寅 | 寅 | 寅 | 寅 | 戌 | 地 支 |
편인 | 편인 | 편인 | 편인 | 식신 | 六 神 |
지살 | 지살 | 지살 | 지살 |
| 신 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