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그림 해석
(1) 집
집 그림은 수검자의 자기-지각, 가정생활의 질 혹은 가족 내에서의 자신에 대한 지각을
반영한다. 집 그림은 수검자의 현실의 집, 과거의 집, 원하는 집 혹은 이것들의 혼합일
수 있다.
집 그림은 수검자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기능할 수 있는 능력과 친밀한 대인관계를 견디는
능력, 가정상황으로 인해 생긴 문제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집 그림에서는 그림의 전체적인 모습을 평가함과 더불어 필수요소인 지붕, 벽, 문, 창
등을 어떻게 그렸는가에 유의해서 해석해야 한다.
① 지붕
- 정신 생활, 공상적인 영역의 상징으로 해석된다.
- 정신기 능이 와해되면 지붕도 손상된 모습을 보인다.
- 집의 전체 모습에 비해 지붕을 크게 그린 사람은 공상의 세계에 빠져있거나 대인관계에서
철회되어 있는 환자일 가능성이 높다.
- 조현병 환자의 그림 중에는 지붕에다가 문과 창을 그리거나 지붕과 벽을 구분하지 못하는
극단적인 경우도 있는데, 자기만의 공상 세계에 빠져있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지붕의 크기는 공상의 정도와 공상을 통해 자기만족을 찾으려는 수준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 지붕을 진한 선으로 강조하거나 반복해서 덧칠한 경우는 자아 통제에서 벗어나 현실로부터 공상에 빠지려는데 대한 불안과 방어의 노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
② 벽
- 튼튼하게 그려진 벽은 건강한 자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 붕괴 될 듯 얇은 벽은 손상되기 쉬운 자아이거나 약화된 자아 기능을 시사한다.
- 외곽선이 희미하고 제대로 그려지지 못한 벽도 자아 통제력이 약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 벽의 가로 면이 세로 면보다 강조되어 있을 경우 과거나 미래가 주의집중을 방해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기능을 하고 있을 수 있다. 환경적인 압력에 취약하다.
- 세로 면이 과도하게 강조되었다면 만족을 공상에서 찾을 가능성이 높고 현실과의 접촉을
피할 가능성이 있다.
- 성인이 벽면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그림을 그렸다면, 현실 검증력이 저하되어있음을
시사한다.
③ 문
- 문은 수검자의 환경과의 접촉을 나타낸다.
- 집의 크기나 창문의 크기에 비해 너무 작은 문은 부적절감을 느끼고 외부와의 접촉을
꺼리고 대인관계에서 위축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 지나치게 큰 문은 타인에 대한 과도한 의존심을 반영한다.
- 드물지만 문이 열려져 있다면 타인으로부터의 따뜻한 온정을 갈망하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 집이 비었는데 문이 열려있다면 매우 상처받기 쉬운 감정과 자기방어 능력이 결핍되었음을 시사한다.
- 잠긴 문을 강조할 경우 자기 노출을 매우 꺼리고 편집증적인 예민성을 지닌 것으로 볼 수도 있다.
④ 창문
- 창문은 외부환경과 접촉하는 제2의 통로이다.
- 창문이 잠겨 있는 것을 강조한 그림은 아무 일도 없는 상황에서도 위험을 느끼고 심하게
방어하는 경계적이고 편집증적인 예민성을 가진 수검자들에게 나타난다.
- 커튼이나 덧문의 경우도 타인과의 접촉을 꺼리고 있음을 반영한다.
- 창문이 활짝 열린 경우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지나치게 거리낌 없고 쉽게 다가가는
것으로 나타난다.
- 일반적으로 욕실의 창문은 작게 그리지만, 욕실 창문이 가장 큰 경우에는 욕실의 기능이
수검자를 방해하는 것으로 본다. 성이나 배변 혹은 둘 모두에 대한 갈등일 수도 있다.
⑤ 굴뚝과 연기
- 커다란 굴뚝은 성적인 고민이나 노출증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 비율이 맞지 않게 작은 굴뚝은 가정상황에서 만족스러운 따뜻함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 시커먼 연기가 많이 나온다면 수검자 내부에 긴장이 많거나 가족 내의 불화 혹은 정서적인 혼란을 시사하는 것이다.
- 연기는 보통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데, 반대로 그렸다면 미래에 대해 비관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 연기가 양쪽 모두로 나면 매우 기이한 것으로 정신증을 가진 이들만 이런 그림을 그린다.
- 강한 바람으로 연기 방향이 바뀐다면 환경적 압력에 따라 감정이 좌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⑥ 조망
- 위에서 내려다 본 것 같은 그림은 전통적 가치에 반감을 가진다.
-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보는 것처럼 그린 것은 집에 대해 열등감을 가지고 있는 수검자에게서 보인다.
- 집이 멀리 보이게 그린 그림은 자신의 상을 투사한 것으로 내성적이고 접근을 꺼린다고
볼 수 있다. 또는 가정상황을 그린 것으로 그 상황에 대응할 수 없다고 지각하는
사람일 수 있다.
- 집을 측면으로 그린 경우 타인의 접근에 대해 적대적이거나 회피의 욕구를 나타낸 것이다.
- 문의 뒤쪽을 그리는 경우, 사람들로부터의 철회나 편집증적 증상으로 볼 수 있고
조현병이나 정신병 초기 단계에서 나타난다.
⑦ 기타 부속물
수검자가 특히 강조하거나 다른 부분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부속물이 있을 경우 질문
단계 를 통해 수검자가 그것에 대해 갖고 있는 특별한 의미를 밝혀내야 한다.
- 집 주위와 벽에 수풀, 나무 등 다른 세부 묘사를 할 경우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거리를
두기는 하지만 나중에 신뢰감을 형성하고, 경계를 허물게 되면 아주 친해지는 경향이 있다.
- 울타리는 방어의 책략일 수 있다.
- 배경
에) 산을 그릴 경우 방어적 태도와 함께 독립에의 욕구가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