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강의(經史講義) 8
○ 논어(論語) 1 신축년(1781)에 이시수(李時秀), 홍이건(洪履健), 이익운(李益運), 이종섭(李宗燮), 이현묵(李顯默), 박종정(朴宗正), 서용보(徐龍輔), 김재찬(金載瓚), 이조승(李祖承), 이석하(李錫夏), 홍인호(洪仁浩), 조윤대(曺允大), 이노춘(李魯春) 등의 대답을 뽑았다
[계씨(季氏)]
이 장의 구사(九思)를 홍범(洪範)의 오사(五事)에다가 견주어 보면, 모지공(貌之恭)과 시지명(視之明)과 청지총(聽之聰)은 과연 합치되지 않음이 없지만, 언(言)에 이르러서는 저곳에서는 종(從)으로 말하였고 이곳에서는 충(忠)으로 말하였으니, 어째서인가? 종(從)과 충(忠)의 뜻이 서로 통하는 것이 있는가?
[서용보가 대답하였다.]
홍범의 오사(五事)는 천칙(天則)의 자연(自然)으로 말하였고 이 편의 구사(九思)는 학자(學者)의 공부(工夫)로 말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서로 다르게 종(從)과 충(忠)으로 말한 것입니다. 종(從)이라는 것은 이치를 따른다는 말입니다. 말은 마땅히 충성스러워야 하고 이치가 실로 이러하다면, 종과 충이 또한 어찌 두 가지이겠습니까.
제경공장(齊景公章)의 민무득이칭언(民無得而稱焉)은 옛 판본에는 모두 덕(德) 자를 썼는데 오늘날의 판본에는 덕(德) 자를 득(得) 자로 고쳐 놓았다. 저 태백(泰伯)에 대해 무득이칭(無得而稱)이라고 한 것은 지덕(至德)이란 두 글자가 위에 있는데, 이 장에서는 단지 사지일 무득이칭(死之日無得而稱)이라고만 하였으니, 모르겠다마는 그 칭송할 것이 부(富)인가, 덕(德)인가? 아래 구절에 “백이, 숙제는 백성들이 지금까지도 칭송한다.”고 한 것은 또한 무슨 일 때문인가? 마땅히 옛 판본을 정본(正本)으로 삼아야 할 듯한데, 다만 《집주》에 덕(德)이라는 한 글자에 대해서 조금도 풀이가 없는 것은 어쩌면 의도가 있는 것인가?
[서용보가 대답하였다.]
이는 마땅히 옛 판본을 정본으로 삼아야 함은 참으로 성상의 말씀과 같습니다. 《집주》에 풀이가 없는 것은 이 덕(德) 자가 그냥 범론이지 달리 긴요한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위는 계씨편(季氏篇)이다.
출전 한국고전번역원 박헌순 (역)
[季氏]
以此章九思。比看於洪範五事。則貌之恭。視之明。聽之聰。果無不合。而至於言。則彼以從言。此以忠言。何也。從與忠義。亦有相貫者歟。龍輔對。洪範五事。以天則之自然言。此篇九思。以學者之工夫言。所以有從與忠之異。而從者。從理之謂也。言之當忠。理實如此。則從與忠。亦豈二致。齊景公章。民無得而稱焉。舊本皆作德字。而今本改德爲得。夫泰伯之無得而稱。有至德二字在上。而此章則但云死之日。無得而稱。未知其可稱者。富歟德歟。下句夷齊之民到今稱之。亦爲何事。恐當以舊本爲正。而但集註於德之一字。略無訓解者。豈有意歟。龍輔對。此當以舊本爲正。誠如聖敎。而集註之無所訓解。此德字自是泛論。而別無緊著處故也。以上季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