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상어目 Carcharhiniformes
까치상어科 Triakidae
● 개상어 : Mustelus griseus Pietschmann
► 방 언 : 죽상어
► 외국명 : (영) Spotless smooth-hound, (일) Shirozame (シロザメ)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이 암컷 100㎝, 수컷 87㎝ 정도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몸은 방추형으로 길고, 뒤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등지느러미는 2개로, 제1등지느러미의 뒤쪽은 배지느러미의 앞쪽 끝에서 위쪽, 또는 제2등지느러미의 앞쪽과 주둥이 끝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제2등지느러미의 뒤쪽 끝은 뒷지느러미의 뒤쪽 끝과 거의 같은 지점에 위치한다. 꼬리지느러미는 위쪽(상엽)이 아래쪽(하엽)보다 훨씬 크고, 꼬리지느러미 위쪽 끝부분 밑으로 뚜렷한 홈이 하나 있다. 몸은 균일하게 회색이고 배는 밝은 색을 띤다.
크기는 암컷의 최대 크기 101㎝, 수컷은 87㎝이다. 몸은 긴 원통형이며 머리와 주둥이는 위에서 보았을 때 끝이 둥근 삼각형이다. 눈은 아주 작은 편이다. 머리와 주둥이가 짧고 양 콧구멍의 사이가 넓으며 입 양측 코너에 패인 홈이 있다. 윗입술 주름과 아랫입술 주름은 길이가 같다. 이빨은 납작하고 낮으며 교두(咬頭, 이빨 꼭대기의 뾰족한 크라운)가 빈약하고 소교두(小咬頭)는 아주 어릴 때 있다가 없어진다. 가슴지느러미는 크지 않으며 배지느러미는 상대적으로 다소 큰 편이다. 지느러미들의 가장자리는 밝다. 꼬리 위 가장자리에 연장된 갓피부(fringed skin)가 없으며, 꼬리지느러미의 아래 엽 (ventral lobe)은 약간 낫 모양이다. 꼬리지느러미의 가장자리에 피부치가 덮여있다. 등은 회색이며 배 쪽은 희고 반문이나 점들은 없다.
► 설 명 : 연안의 얕은 물에서부터 51m 사이 또는 300m 수심에서도 발견된다. 바닥에 살며 부분적으로 외해와 차단된 바다에서도 발견된다. 근연종인 별상어보다는 수온이 더 따뜻한 해역에 산다. 주로 저생성 무척추 동물을 포식하지만 특히 갑각류를 좋아하며, 그 중에서도 꽃게류를 주식으로 하고 있다. 갑각류 중에서는 그 밖에 새우류, 소라게류, 갯가재류 등을 먹으며, 갑각류 외에는 갯지렁이 등의 다모류의 비율이 높다.
번식은 태생으로 하며, 태아는 난황에 연결된 태반으로 영양분을 섭취한다. 일본을 기준으로 하면 짝짓기는 7월에 하고 임신 기간은 약 10개월이며, 출산은 4~5월 사이에 한다. 한 배에 2~20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새끼의 크기는28~30㎝이다. 어미가 클수록 출산 새끼의 수가 많다. 수컷은 62~71㎝, 암컷은 80㎝ 크기에서 성적으로 성숙한다. 수명은 9년 정도이다.
사람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는다. 사육에 적합하며, 수족관 등에서 자주 전시된다. 낚시용으로 인기가 있다. 주낙, 자망, 쌍끌이 저인망, 정치망 등으로 어획하며, 고기나 지느러미는 식용으로 비싼 가격에 거래된다. 고기는 생식용과 연제품(어묵)의 원료가 된다. 지느러미는 상어 지느러미로 가공된다.
제철은 여름이다. 비늘은 까칠까칠하고 껍질은 두툼하며 단단하다. 뼈는 연골로 부드럽다. 먹는 부분은 연골과 살이다. 신선한 것은 생선회나 생선초밥으로 이용하며, 가장 기본적인 요리는 찜과 수육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산적으로 가공하기도 한다. 수육은 표면의 얼룩을 제거하고 냄비에 들어갈 크기로 자른 다음 살짝 데쳐서 껍질을 벗겨 보고 벗겨질 것 같으면 찬물에 담구어 껍질을 긁어낸다. 이것을 데치며, 완전히 익히지 않으면 맛이 없다. 이렇게 삶은 어육을 초장이나 고추냉이에 찍어 먹는다. 일본의 서일본 지역에서는 지역 명물로 유명하며, 다양한 요리법이 있다.
► 분 포 : 한국(남해안, 제주도), 일본(중부 이남), 동중국해, 타이완, 남중국해, 필리핀, 태국, 베트남 등 북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북위 40°~11° 사이에 분포한다.
► 비 고 : 습성과 용도는 별상어와 비슷하나 몸 뒤쪽이 가늘고 등 쪽에 흰색 반점이 없다. 또한 몸의 형태와 몸 색깔이 행락상어와 매우 비슷하지만 행락상어에 비해 배지느러미가 약간 앞에 위치하는데, 배지느러미가 제1등지느러미 후단의 바로 아래에서 시작된다. 행락상어와 가장 큰 차이점은 이빨의 형태인데, 행락상어는 이빨 아래의 양쪽 끝에 첨두가 있는 반면에 이 종은 첨두가 없다.
개상어의 어획을 관리하는 나라는 아직 없다. 개체 수가 충분한지 감소가 심한지 조사된 일이 없어서 세계자연보호연맹(IUCN)의 등급 분류는 데이터 부족(data deficient)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