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에서는 특별한 구분 없이 번역돼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리과에 속하는 새는 수리(eagle)와 독수리(vulture)로 구분됩니다. 성경에서 말하는 독수리는 수리(Eagle)이지만 통상적으로 독수리라고 명칭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독수리의 특징은 (1) 독수리는 쏜살같이 비행하며(잠23:5, 사40:31, 욥1:4), (2) 민첩하게 몸을 움직이는 새입니다(신28:49,
삼하1:23, 렘4:13). 그리고 (3) 먹이를 향해 내리 덮치며(욥9:26), (4) 접근할 수 없는 높은 곳에 둥지를
만들며(욥39:27, 렘49:16), (5) 새끼를 보호하고 염려해 주며(신32:11), 새끼들이 날을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혹 비상하는 새가 떨어지기라도 하면 아비 독수리가 날라와서 날개로 새끼를 받아냅니다.
수리는 날카로운 발톱과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살아있는 동물만 잡아먹습니다. 반면 독수리(vulture)는 집단적으로 군거하면서 짐승의 시체를 파먹으며 약한 발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동영상은 그 차이점을 보여줍니다.
한국어 명명상의 혼동
1. 머리털의 혼동 : 독수리와 수리는 같은 종이기 때문에 상
당히 비슷합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독수리와 수리의 차이점 중에 머리의 생김새의 차이로 생각해서 명명함에 있어 혼동을 주는 것
같습니다. 독은 한자로 禿(대머리 독) 즉, 머리가 대머리이냐 아니냐의 차이로 여겨서, 머리부분에 털이 없는 맹금류를
독수리라 부르고 머리에 털이 있는 맹금류를 수리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아래 Wikipedia에서 설명한 독수리에 보면
독수리 또한 수리와 마찬가지로 머리에 털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설명합니다. 그 이유는 먹이를 먹일 때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함이라고 하며, 머리털은 온도조절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독수리와 수리의 생김새와 명명함에 있어 상당한 혼동을 줍니다. 오히려 생김새의 차이점을
거론한다면 수리는 독수리에 비해 날카로운 발톱과 부리를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이 더 명확합니다.
A particular characteristic of many vultures is a bald head, devoid of normal feathers. This helps to keep the head clean when feeding. Research has shown that the bare ski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rmoregulation. (Wikipedia)
참고로 하단 위에 위치한 4개의 그림이 독수리(Vulture)이고 아래 4개의 그림이 수리(Eagle)인데 확연한 생김새의 차이점이 구분됩니다.
Vultures




Eagles




2. 대머리의 혼동 : 한국에서는 Bald Eagle을 직역하여 보통 '대머리독수리'라고 부르지만, 사실 'Bald'란 흰머리수리의 머리가 흰 것을 가리키는 것이지 정말로 머리가 벗겨진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대머리 독수리'란 명칭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흰머리수리(Haliaeetus leucocephalus)는 북아메리카에서 볼 수 있는 맹금류의 하나로 미국의 나라새이자 상징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상징적으로 볼 수 있는 미국의 상징은 바로 이 eagle입니다.
흰머리수리는 북아메리카 새들 가운데 가장 큰 둥지를 치며 최대 4 미터 깊이에, 2.5 미터 너비를 가지며 1 톤 정도의 무게가 나갑니다.
3. 성경 번역으로 인한 혼동
그러면 성경에 독수리는 죽은 먹이감을 먹지 않는다고 했는데 아래와 같은 성경구절은 참으로 혼동을 줍니다. 어짜피 한국어는 독수리와 수리, 또 수리
중에도 흰머리수리, 대머리 독수리를 구분하지 못하는 혼동을 줍니다. 그래서 KJV과 NIV를 찾아보니 eagle,
vulture, hawk(매)으로 번역이 되어있습니다. 의미상으로는 NIV가 맞는 것으로 생각되어, 또 Hebrew와 Greek의 원어를
찾아보니, 문자 그대로의 번역은 KJV이 가장 정확한 번역입니다.
여기서 번역서의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그러면 성경 저자가 원하는 바,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번역을 하여야 합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하여는 당시의 역사적인 배경, 정치적인 배경 ,그리고 다른 문헌들과 성경을 비교 분석해야 합니다. 번역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저자의 의도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번역자들은 신중하고도 정확하게 번역을 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마24:28) '주검이 있는 곳에는 독수리들이 모일찌니라'
(Mat 24:28) For wheresoever the carcase is, there will the eagles be gathered together.
(KJV)
Wherever there is a carcass, there the vultures will gather.(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