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w Can I Release the Anger I’ve Suppressed Since Childhood?
“어릴 적부터 억눌러온 감정, 이 화를 어떻게 풀 수 있을까요?”
Jun 14, 2025 – Potato Harvest, Standing Committee Meeting for the 1000-Day Practice Preparation,
2025.6.14. 감자 수확, 상임 천일준비위원회 회의
Dharma Q&A at Jungto Dharma School 정토불교대학 즉문즉설
Hello. Today, Sunim woke up at Dubuk Jungto Retreat Center after a long time. It rained continuously throughout the night, and the heavy rain continued into the morning. After completing morning practice and meditation, Sunim headed to the greenhouse to do farm work. Practitioners from the Seoul lay Sangha had also come down to Dubuk yesterday for communal work. Together, they harvested potatoes in greenhouse number 1. The rain made the inside of the greenhouse cool. The soil was crumbly, perfect for harvesting potatoes. Watching the practitioners harvest potatoes, Sunim gave them additional guidance. “Please be careful not to damage the potatoes. And you need to dig deep into the ground.” Following Sunim’s instructions, the practitioners dug carefully but deeply. Hidden potatoes began to appear. “When we follow the Dharma Teacher’s advice, the potatoes come out!” (Laughter) Sunim also demonstrated his farming skills after a long time, expertly harvesting potatoes. “Break time!” Everyone put down their “homi” tools (Korean hand hoe for farming and gardening) and gathered at the farm shelter to eat snacks together and catch their breath. They brought the largest potato and placed it on the scale.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두북수련원에서 아침을 맞이했습니다. 밤새 쉼 없이 비가 내리더니 아침에도 계속 비가 세차게 내렸습니다. 스님은 새벽 수행과 명상을 마친 후 농사일을 하기 위해 비닐하우스로 향했습니다. 서울공동체 행자들도 어제 울력을 하기 위해 두북으로 내려왔습니다. 함께 비닐하우스 1동에서 감자를 캤습니다. 비가 내려 비닐하우스 안이 선선했습니다. 흙은 포슬포슬해 감자를 캐기에 딱 좋았습니다. 스님은 행자들이 감자 캐는 모습을 보고 다시 일러주었습니다. “감자가 다치지 않게 조심히 캐주세요. 그리고 땅을 깊이 파야 합니다.” 행자들은 스님의 말에 따라 조심스럽게, 그러나 깊이 땅을 팠습니다. 숨어있던 감자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지도법사님 말을 따르니 감자가 나오네요.” (웃음) 스님도 오랜만에 농사 솜씨를 발휘하며 능숙하게 감자를 캐 나갔습니다. “참 시간입니다!” 모두 호미를 내려놓고 농막으로 모여 함께 참을 먹으며 잠시 숨을 돌렸습니다. 가장 큰 감자를 가져와 저울에 올려보았습니다.
“Wow, it’s 600 grams!” After finishing the snacks, Sunim asked for the practitioners’ understanding. “I have an online meeting at 10 o’clock, so I’ll head down.” Sunim went to Dubuk Jungto Retreat Center for the meeting, while the practitioners picked up their homi tools again and continued harvesting potatoes. From 10 AM, Sunim held an online meeting with the Jungto Society Standing Committee for the 1000-Day Practice Preparation. After reciting the Three Refuges and Words for Practice, Dharma Teacher Beopjeong, who serves as the chairperson of the 1000-Day Practice Preparatory Committee, presented the business direction for Jungto Society’s 2-2nd 1000-Day Practice based on previous discussions. “The first 1000-Day Practice of the second 10,000-Day Practice aimed to expand and grow online Jungto Society. We quickly and flexibly changed the operational structure and membership system to transition to an online organization. While we started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online transition would lead to quantitative expansion, we observed stagnation in various indicators. Therefore, we plan to develop an organizational structure suitable for the online environment and establish a consistent research system. “우와, 600g이네요.” 참을 다 먹고 스님은 행자들에게 양해를 구했습니다. “저는 10시부터 온라인으로 회의가 있어서 내려가볼게요.” 스님은 회의를 하러 두북수련원으로 가고, 행자들은 다시 호미를 들고 감자를 캤습니다. 오전 10시부터는 정토회 상임 천일준비위원회와 온라인으로 회의를 했습니다. 삼귀의와 수행문을 낭독한 후 천일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법정 법사님이 그동안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토회 2-2차 천일결사 사업방향을 발표했습니다. “2차 만일결사 1차 천일결사는 온라인 정토회의 확대 및 성장을 목표로, 운영 구조와 회원 체계를 신속하고 유연하게 변경하여 온라인 조직으로 전환하여 운영했습니다. 온라인 전환으로 양적 확대가 될 것이라는 방향에서 시작했으나, 여러 지표에서 정체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이에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조직 운영구조 개발 및 꾸준한 연구 체계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We have prepared a business plan to transition from a learning-centered academic operation to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implements practice and volunteer work in daily life.” He then discussed the draft business plans prepared for each area, including online system development, experience-centered educational innovation, plans to strengthen practical activities, and expansion strategies for global Dharma propagation and youth outreach. After listening carefully to the presentation, Sunim shared his thoughts on what needed to be supplemented in the business plan developed by the Preparatory Committee. “If Jungto Society had been founded and operated online from the beginning, the operating system would have developed significantly to suit online needs. However, the previous Jungto Society actively operated central and regional organizations tailored to offline operations. Currently, Jungto Society is fundamentally based offline but has transitioned its operating system online. There are roughly two reasons why Jungto Society, which was based offline, could quickly transition online. 학습 위주의 학사운영 방식에서 수행과 자원봉사를 삶 속에서 구현하는 실천이 실행되는 교육 방식으로 전환해 보는 것으로 사업계획을 세워 보았습니다.” 이어서 온라인시스템 개발, 체험 중심의 교육 혁신, 실천활동 강화 방안, 세계 전법과 청년 전법의 확대 방안 등 각 분야별로 마련한 사업계획 초안을 이야기했습니다. 스님은 발표 내용을 경청한 후 천준위에서 잡은 사업 계획에서 보완할 점이 무엇인지 스님의 생각을 이야기했습니다. “만약 정토회를 처음부터 온라인으로 창립하고 운영했다면, 온라인에 맞게끔 운영 시스템이 매우 발전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전의 정토회는 오프라인에 맞춰 중앙과 지방 조직을 활발하게 운영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정토회는 기본적으로는 오프라인에 기반을 두되 운영 시스템은 온라인으로 전환을 했습니다. 오프라인에 기반을 두었던 정토회가 신속하게 온라인으로 전환할 수 있었던 이유는 대략 두 가지가 있습니다.
Reasons Why Jungto Society Could Quickly Transition Online
First, all Jungto Society members consistently continued the 1000-Day Practice of praying at home without coming directly to the temple. Second, we operated dharma assemblies by listening to recorded dharma talks. Listening to recorded dharma talks is essentially the same whether at home or at the dharma center, so there are no spatial constraints. If Jungto Society had operated like a typical temple, transitioning online might have been difficult. However, due to these two factors, Jungto Society had the basic conditions necessary for online transition. While some companies like Amazon, an e-commerce site, started online from the beginning, others like department stores operated offline stores before incorporating online operations. Jungto Society can be seen as an organizational system like a department store that was offline and then adopted online methods. Therefore, when evaluating online Jungto Society, we can continuously point out online shortcomings based on offline advantages. To continue developing as an online Jungto Society in the long term, we need to develop a new system that starts online from the beginning, not based on offline operations. I think this completely online-based new system should be created by the international divisions. International divisions should be able to hold dharma assemblies only online and conduct all practical tasks online without worrying about offline operations at all. If the international divisions’ online operating system succeeds, each Korean division can decide whether to adopt it or operate separately from the international divisions. The online system is an issue that requires continuous experimentation and development in the future. 정토회가 신속한 온라인 전환이 가능했던 이유 첫째, 절에 직접 오지 않고도 집에서 기도하는 천일결사 수행을 모든 정토회 회원들이 꾸준히 이어나갔기 때문입니다. 둘째, 법문을 녹화해서 듣는 방식으로 법회를 운영했기 때문입니다. 녹화된 법문을 듣는 것은 집에서 듣는 것과 법당에 나가서 듣는 것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아 공간의 제약이 없습니다. 만약 정토회가 일반 절처럼 운영되었다면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것이 어려웠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의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해 정토회는 온라인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본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아마존처럼 처음부터 온라인으로 시작한 회사가 있는 반면, 백화점처럼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다가 온라인을 겸하게 된 회사도 있습니다. 정토회는 백화점처럼 오프라인에 있다가 온라인 방식을 함께 도입한 조직 체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온라인 정토회에 대한 평가를 할 때 오프라인의 장점을 기준으로 온라인의 부족한 점을 계속 지적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장기적으로 온라인 정토회로 계속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처음부터 온라인에서 시작한 시스템을 새롭게 개발해야 합니다. 이렇게 완전히 온라인에 기반한 새로운 시스템은 국제지부에서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국제지부는 오프라인을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온라인으로만 법회를 열고 모든 실천 과제도 온라인으로 진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국제지부의 온라인 운영 시스템이 성공하면 한국의 각 지부에서도 이를 반영하거나 아니면 국제지부와 별개로 운영할지 결정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온라인 시스템은 앞으로 끊임없이 실험하고 개발해야 할 문제입니다.
Jungto Centers in the City, Main Temples in Nature
To break through the current stagnation, what Jungto Society can do now is to supplement offline programs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online system. Since Jungto Society originally started offline, I believe that by slightly reinforcing this aspect, we can create a much greater synergistic effect together with the online system. The question is to what extent we should strengthen the offline programs. During the past 100 days, the Seoul Jungto Social and Cultural Center experimentally conducted the 100-Day Dharma Talk program, which allowed us to gauge its potential to some degree. Additionally, the main temples located in various regions across the country are playing a certain role as offline spaces. However, we need to consider whether the current role of the main temples is sufficient, or whether it would be better to establish new regional Jungto centers at least at the metropolitan city level for each division. For example, we should consider whether it would be necessary to create Jungto centers in Busan for the Busan-Ulsan Division, in Daegu for the Daegu-Gyeongbuk Division, in Gwangju for the Gwangju-Jeolla Division, in Daejeon for the Daejeon-Chungcheong Division, in Ilsan for the Incheon-Western Gyeonggi Division, and in Suwon or Bundang for the Incheon-Eastern Gyeonggi Division. For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online activities are much more convenient because of the long travel distances to cities. 도심 속에는 정토회관, 자연 속에는 으뜸절 정토회가 정체 국면을 돌파하기 위해 현재 할 수 있는 것은 기존의 온라인 시스템이 갖는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오프라인 프로그램을 보완하는 것입니다. 정토회는 원래 오프라인에서 출발했기에 이를 약간 보강한다면 온라인 시스템과 함께 훨씬 큰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오프라인 프로그램을 어느 정도로 보강할 것인가 하는 점입니다. 그래서 지난 백일 동안 서울 정토사회문화회관에서는 백일법문 프로그램을 실험적으로 진행하여 어느 정도 그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전국 각 지역에 위치한 으뜸절이 오프라인 공간으로서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으뜸절의 역할만으로 충분할지, 아니면 적어도 지부 차원에서 광역시 단위에는 지부정토회관을 새롭게 마련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부산울산 지부에는 부산에, 대구경북 지부는 대구에, 광주전라 지부는 광주에, 대전충청 지부는 대전에, 인천경기서부 지부는 일산에, 인천경기동부 지부는 수원이나 분당에 정토회관을 만드는 것이 더 필요할지 고민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시골에 사는 사람들은 도시까지 오려면 이동 거리가 멀기 때문에 온라인 활동이 훨씬 편리합니다.
However, in large cities with short travel distances and concentrated populations,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offline spaces. While densely populated areas may need spaces that can serve as hubs for administrative and practical activities, I think it would be better for the main temples to serve as places where people can feel like they are going outdoors. This division of roles can further strengthen the function of Jungto Society’s main temples. The reason why traditional temples located in mountainous areas are all operating well is that they allow people to feel the openness of expansive natural spaces away from the city. Similarly, Jungto Society’s main temples need to be activated in a more public-friendly manner. Therefore, each main temple should expand its service facilities for the public. They should be developed into wellness spaces equipped with prayer spaces,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ies, travel spaces,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Furthermore, we should enable elderly people to reside at the main temples and even hold funeral services when they pass away. Although not yet implemented, this content is already included in Jungto Society’s business plan. Along with operating main temples, we need to consider whether Jungto Centers are necessary in major cities. We need centers that can comprehensively utilize at least 3 to 4 spaces, not just places with Dharma halls, but including assembly halls for members to gather and spaces for foreign workers. At the division level, we need to examine whether spaces are needed that can utilize buildings of at least 70 pyeong (about 231 square meters) with 3 to 4 floors, using each floor differently. These issues concern how to supplement offline activities. This means supplementing both spaces and programs. Efforts to revitalize main temples can also be seen as supplementing offline activities.” 하지만 이동 거리가 짧고 인구가 집중된 대도시에서는 오히려 오프라인 공간을 보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구 밀집 지역에는 사무, 행정, 실천 활동의 거점이 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수가 있지만, 으뜸절은 야외로 나가는 기분을 느낄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역할 분담이 정토회 으뜸절의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 산간 지역에 위치한 전통사찰이 모두 잘 운영되고 있는 이유는 해당 사찰들이 대중들에게 도시에서 벗어난 탁 트인 자연 공간의 개방감을 느낄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입니다. 그것처럼 정토회의 으뜸절도 더욱 대중 친화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으뜸절마다 대중을 위한 서비스 시설들을 확장해 나가야 합니다. 기도 공간, 교육 수련 공간, 여행 공간, 숙박 시설 등을 갖추어 웰빙 공간으로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나아가 노인들이 으뜸절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하고, 돌아가시면 장례까지 치러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죠. 아직 시행을 못하고 있을 뿐 이 내용은 이미 정토회의 사업 계획 안에 있는 내용입니다. 뜸절 운영과 더불어 대도시에는 정토회관이 필요한지 고민해야 합니다. 법당만 있는 곳이 아닌 회원들이 모이는 강당,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공간 등 적어도 3개 내지 4개의 공간을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회관이 필요합니다. 지부 단위로는 적어도 70평 이상의 3층 내지 4층 규모의 빌딩을 층층이 달리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지에 대해 검토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오프라인 활동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공간의 보완과 함께 프로그램의 보완을 의미합니다. 으뜸절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노력도 오프라인 활동의 보완으로 볼 수 있습니다.”
Following this, the 1000-Day Practice Preparation Committee members freely asked questions to seek Sunim’s advice. After two hours of Q&A, as the meeting was coming to an end, one person asked a final question. “I’m wondering if there are any areas you’d like to supplement regarding our current analysis and diagnosis of the situation and causes, or if we should proceed with researching future business directions based on what we have.” “I think you can proceed with your research at this level. In the past, when I heard discussions, supplementary measures would come to mind immediately, but now, perhaps because I’m getting older, my thinking ability doesn’t seem as quick. If I took time to look at each item individually, I would think ‘this could be supplemented this way,’ but right now my overseas schedule continues, so I can’t promise when I’ll be able to provide supplementary suggestions. When I go abroad, if I have time on the plane, I’ll take a look.” Sunim encouraged the committee members for their hard work and concluded the meeting. After leaving the broadcasting room, Sunim immediately headed to the Dubuk Retreat Center office to greet guests. Venerable Songmuk and Venerable Mujin, along with two elderly bhikkhunis from Hampyeong in Jeolla Province, had long wanted to meet Sunim and visited Dubuk Retreat Center today. After exchanging warm greetings, they had lunch together. Members of the Seoul lay Sangha who had come down for farming work prepared cold noodles. They conversed while eating the cold noodles. 이어서 천준위 위원들이 스님에게 조언을 듣고 싶은 내용에 대해 자유롭게 질문을 했습니다. 두 시간 동안 질의응답 시간을 가진 후 회의를 마칠 무렵 마지막으로 한 분이 질문했습니다. “저희가 현재 분석하고 진단한 현황과 원인에 대해 혹시 더 보완해 주실 부분이 있으신지, 아니면 이 정도로 하고 앞으로의 사업 방향을 저희가 연구하면 될지 궁금합니다.” “이 정도에서 연구를 해나가면 되지 않겠나 싶습니다. 예전에는 이야기를 들으면 보완책이 바로 생각났는데, 지금은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사고 능력이 그렇게 재빠르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제가 따로 시간을 내서 하나하나 봐야 ‘이건 이렇게 좀 보완하면 좋겠다’ 하는 생각이 들 텐데, 지금은 계속 해외 일정이 이어져서 언제 보완책을 이야기해 주겠다고 약속할 형편이 못 됩니다. 해외에 나갈 때 비행기 안에서 시간이 나면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스님은 천준위 위원들의 노고를 격려한 후 회의를 마쳤습니다. 방송실을 나온 스님은 곧바로 손님을 맞이하러 두북 수련원 사무실로 향했습니다. 전라도 함평에서 송묵 스님과 무진 스님, 비구니 노스님 두 분이 오래전부터 스님을 찾아뵙고 싶어 하다가 오늘 두북수련원을 찾아왔습니다. 반갑게 인사를 나눈 후 함께 점심 식사를 했습니다. 농사 울력을 하러 내려온 서울 공동체 대중들이 냉면을 준비해 주었습니다. 냉면을 먹으며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This Dubuk Retreat Center is the elementary school I attended. We’re renting this closed school space and using it for farming and retreat purposes. During the COVID pandemic, we set up broadcasting facilities in one classroom, and currently we’re using it as an experimental site for producing safe food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Venerable Songmuk explained the reason for making the long journey. “I heard you were giving the 100-Day Dharma Talk, so I waited for it to finish before coming. Actually, I’ve wanted to make an offering to you ever since you received the Magsaysay Award in 2002, and I’ve always wanted to meet you.” After finishing the meal, they moved to the office for tea and conversation. Venerable Songmuk shared the detailed story of why she came to make an offering. “I’ve been on pilgrimage to India’s sacred sites several times. When I went to Sankasya, where the Buddha is said to have descended from heaven after teaching his mother, I found that Hindus had built their own shrine on top of the stupa. Pilgrims couldn’t tell at all that it was a Buddhist sacred site. It looked so unfortunate that I wanted to make an offering to help develop the Sankasya sacred site. Since you do so much work in India, I thought if I made an offering to you, that work could be done, so I came here.” Sunim introduced the work that Jungto Society is currently doing in Sankasya. “이곳 두북수련원은 제가 다녔던 초등학교입니다. 폐교된 공간을 빌려서 농사짓는 공간과 수련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교실 한 칸에 방송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 사용했고, 현재는 기후 위기 시대에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기 위한 실험적인 장소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송묵 스님은 먼 길을 달려온 이유를 이야기했습니다. “백일법문을 하고 계신다고 해서 백일법문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이제야 왔습니다. 사실은 스님께서 2002년에 막사이사이상을 수상했을 때부터 스님께 보시를 하고 싶어서 항상 찾아뵙고 싶었습니다.” 식사를 마친 후 사무실로 자리를 옮겨 차담을 나누었습니다. 송묵 스님은 왜 보시를 하러 왔는지 자세한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제가 인도 성지순례를 몇 번 갔어요. 그때 부처님께서 어머니를 제도하고 하늘에서 내려오셨다고 하는 상카시아를 갔는데, 탑 위에 힌두교도들이 자기들의 성지를 만들어 놓았더라고요. 그래서 순례자들이 그곳이 불교성지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 모습이 너무 안 좋아서 상카시아 성지를 가꾸는 일에 보시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스님께서는 인도에서 많은 일들을 하고 계시니까 스님께 보시를 하면 그 일을 할 수 있겠다 싶어서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스님은 현재 정토회가 상카시아에서 하고 있는 일을 소개해 주었습니다.
Peace Instead of Conflict, the Beginning of Sankasya Buddhist Project “That’s right. Jungto Society is currently working on a sacred site development project in Sankasya. When you go to Sankasya, you’ll see a Hindu temple built on top of the Buddhist stupa. This has caused disputes between the Sakya clan and Hindus over the stupa. One year, ten thousand Sakya people gathered for a demonstration. So I went and told the Sakya people this: ‘The Buddha spoke of peace, so even though this is about protecting the Buddha’s historic site, fighting like this doesn’t align with the Buddha’s teachings. Since this is a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site that no one can touch, I will build another stupa of similar size next to it for you. So please don’t fight.’ I made this promise to the Sakya clan. So 20 years ago, we purchased 4,000 pyeong (about 13,220 square meters) of land next to the Sankasya sacred site. Currently, we’re drawing up architectural plans to build a stupa on that land recreating the scene of the Buddha descending from heaven on a ladder, an assembly hall that can accommodate ten thousand people when the Sakya clan holds large gatherings, and lodging facilities for meditation retreats. Initially, the Sakya clan members took the lead and provided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but they kept fighting with each other over money issues. So the construction work remained stalled. Two years ago, realizing that the project might never get done at this rate, Sunim dispatched two volunteers from Korea to Sankasia. They created architectural plans, and it was decided to begin construction of accommodations and a meditation center by the end of this year. So the Sankasia construction project is now underway. The donation you’ve given will be put to good use for the Sankasia project.” “I would be truly delighted if that happens. I thought that if it’s Venerable Pomnyun Sunim, he would use this money in the most meaningful way. Thank you.” Sunim took a photo with Venerable Songmuk and Venerable Mujin, and saw them off until they got into their car. 분쟁 대신 평화를, 상카시아 불사의 시작 “그렇습니다. 정토회에서는 현재 상카시아에서 성지 가꾸기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상카시아에 가보면 불탑 위에 힌두교 사원을 지어 놓았습니다. 그래서 그 불탑을 두고 석가족과 힌두교도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습니다. 어느 해는 석가족 만 명이 모여서 데모를 했어요. 그래서 제가 가서 석가족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부처님은 평화를 얘기했는데 아무리 부처님의 유적지를 지키는 일이라 하더라도 이렇게 싸우는 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안 맞습니다. 이것은 역사 문화 유적지이기 때문에 아무나 손을 대지 못하니 제가 당신들을 위해 옆에 그만한 탑을 하나 세워주겠습니다. 그러니 싸우지 마세요.’ 제가 이렇게 석가족과 약속을 했어요. 그래서 20년 전에 상카시아 성지 옆에 땅을 4천 평 구입했습니다. 현재는 그 땅에 부처님이 사다리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오는 모습을 재현한 탑을 세우고, 석가족이 큰 집회를 할 때 만 명이 모일 수 있는 강당도 짓고, 명상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숙소도 짓기 위해 설계도면을 그리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석가족들이 주인이 되어서 불사를 해보라고 지원을 해주었는데, 돈 문제를 갖고 자꾸 서로 싸웠습니다. 그래서 계속 불사를 안 하고 있었어요. 2년 전에는 이러다가 불사를 못 하겠다 싶어서 한국에서 활동가 두 명을 상카시아에 파견했습니다. 그래서 설계도면을 만들었고, 올해 말부터는 숙소와 명상센터를 짓는 일부터 먼저 시작을 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상카시아 불사가 지금 추진 중입니다. 보시해 주신 돈은 상카시아 불사에 잘 사용하겠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정말 기쁘겠습니다. 법륜스님이라면 이 돈을 가장 의미 있게 잘 쓰실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스님은 송묵 스님과 무진 스님, 두 분과 함께 사진을 찍고 차를 탈 때까지 배웅도 해드렸습니다.
At 2 PM, Sunim moved to the broadcasting room for a live Dharma Q&A session with Jungto Dharma School students. After a congratulatory performance, everyone watched a video showcasing their class activities. Three students then shared their reflections. Everyone gave enthusiastic applause to the students’ stories of the many changes they had experienced over the past three months. Next, all the students requested a Dharma talk from Sunim with three prostrations. Sunim first explained why students need to study “The Life of the Buddha,” which they are currently learning. “Buddhism pursues a life of ‘nirvana’ – living without suffering anywhere, anytime – by realizing that all suffering arises from our own minds. However, in our reality, we face various forms of discrimination: racial discrimination, gender discrimination, religious discrimination, and class discrimination. These problems are difficult to solve by studying Buddhist philosophy alone. Rather, solutions to these real-world problems can be found by studying the life of the Buddha. The social perspective of Buddhism lies at its core in how Buddha, as a human being, viewed the world while facing various real-world problems during his 80 years of life. It’s not simply about studying the Buddha’s life, but most importantly about examining from what perspective the Buddha approached and viewed worldly problems in real society. 오후 2시에는 다시 방송실로 이동하여 정토불교대학 학생들과 함께 하는 즉문즉설 생방송을 했습니다. 축하 공연에 이어서 그동안 수업 모습을 담은 활동 영상을 함께 보았습니다. 이어서 학생 세 명이 소감문 발표를 했습니다. 3개월 남짓한 시간 동안 많은 변화를 경험한 학생들의 이야기에 모두가 큰 박수를 보냈습니다. 다음은 학생들 모두가 삼배의 예로 스님에게 법문을 청했습니다. 먼저 스님이 지금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는 ‘부처님의 일생’을 왜 배워야 하는지 그 이유를 이야기했습니다. “불교는 모든 괴로움이 다 내 마음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자각함으로써 언제 어디에서나 괴로움이 없이 살아가는 ‘열반’의 삶을 추구합니다. 그러나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는 인종차별, 성차별, 종교 차별, 계급 차별 등 다양한 차별에 부딪힙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불교의 사상만을 연구해서는 해결책을 찾기 어렵습니다. 오히려 이런 현실의 문제들은 부처님의 일생을 공부해야 해결책을 찾아나갈 수 있습니다. 불교의 사회적 관점은 붓다라는 한 인간이 80년의 생애 동안 갖가지 현실의 문제에 부딪히면서 세상을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았는가에 그 핵심이 있습니다. 단순히 부처님 일생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이 현실 사회 속에서 세상 문제를 어떤 관점에서 대하고 바라보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Why Must We Learn About the Life of the Buddha?
In Buddha’s time, Indian society had established the caste system as its social order, where human status was determined from birth through class discrimination. However, the Buddha rejected the cast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equality, stating that people should not be discriminated against based on their social status. In that era, there was also a perception that only men were people and masters, while women were subordinate beings like servants to men. But the Buddha stood for gender equality by allowing women to become monastics, demonstrating that women could exist independently without men. Thus, Buddhism’s social perspective can only be understood through the Buddha’s life. This cannot be known by studying Buddhist philosophy alone. That’s why we must study the Buddha’s life to find answers about how to view worldly problems in reality.
왜 우리는 부처님의 일생을 배워야 할까요? 부처님 당시 인도 사회는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신분이 정해지는 계급 차별, 즉 카스트 제도가 사회 질서로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부처님께서는 사람을 신분에 따라 차별해서는 안 된다는 평등의 관점에서 카스트 제도를 부정하셨습니다. 또 그 시대에는 남자만 사람이고 주인이며, 여자는 남자에게 종속된 종과 같은 존재라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부처님은 여성 출가를 허용하심으로써 여성도 남성 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성 평등의 입장에 서 계셨습니다. 이렇듯 불교가 어떠한 사회적 관점을 갖고 있는지는 부처님의 일생을 통해서만 알 수 있습니다. 단지 불교의 사상만 연구해서는 알 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부처님의 일생을 반드시 공부해야 현실 속에서 세상 문제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Climate Crisis, Poverty, War… When We View the World Through the Buddha’s Eyes
The biggest problem in our current reality is the climate crisis. Solutions for overcoming the climate crisis can be found when viewed from a Buddhist persp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dependent origination (緣起), which sees people and people, people and nature as interconnected, nature is not an object to be conquered but a living foundation with which we must live in harmony. Environmental action movements should be carried out from this perspectiv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have an attitude of stopping or reducing consumption to prevent the climate crisis. The second problem is absolute poverty. Even today, approximately 800 million to 1 billion people worldwide remain in absolute poverty, representing 10% to 13% of the total population. They are in dire conditions where even basic survival is not maintained. All humanity has the right to survive. We must have a perspective of humanitarian aid that we should help them. The third problem is war. People create conflicts and wage wars even when they have adequate living conditions. War causes enormous damage and brings tremendous suffering. Even now, various conflicts continue, including the Ukraine war and the Israel-Iran war, and this is a path humanity must absolutely not take. We must realize that our country is also still in a state of war, with the wa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only temporarily halted. Peace activities are needed to completely end the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stablish a peace system where war will never occur again. 기후 위기, 빈곤, 전쟁... 부처님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지금 현실에서 가장 큰 문제는 기후 위기입니다. 기후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는 불교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연기(緣起)의 관점에서 보면, 자연은 정복의 대상이 아니라 우리가 조화를 이루고 살아가야 할 삶의 터전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환경 실천 운동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해 소비를 멈추거나 줄이려는 자세를 갖는 것입니다. 두 번째 문제는 절대빈곤입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전 세계 인구 중 약 8억에서 10억 명이 절대빈곤 상태에 처해 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10%에서 13%에 해당합니다. 이들은 기본적인 생존도 유지되지 않는 열악한 조건에 처해 있습니다. 모든 인류가 생존할 권리가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을 도와야 한다는 인도적 지원의 관점을 가져야 합니다. 세 번째 문제는 전쟁입니다. 사람들은 어느 정도 삶의 조건이 갖추어져 있는데도 갈등을 일으키고 전쟁을 하게 됩니다. 전쟁은 막대한 피해를 낳고 매우 큰 고통을 가져옵니다. 지금도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과 이란 전쟁 등 여러 분쟁이 지속되고 있는데, 이는 우리 인류가 절대로 가지 말아야 할 길입니다. 우리나라도 남북 간에 전쟁이 일시적으로 멈춰 있을 뿐, 아직도 전쟁 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자각해야 합니다. 한반도에서 전쟁을 완전히 종식하고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는 평화 체제를 구축하려는 평화 활동이 필요합니다.
The reason we study the life of the Buddha at Jungto Dharma School is to learn how to properly view today’s environmental issues, poverty problems, and peace issues, and to apply those teachings to current problems. Jungto Society considers four issues as the most important tasks: environmental issues at the global level, absolute poverty at the humanity level, peace issu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practice for individual happiness. Environment, relief, peace, and practice – these four are the path to a truly happy life. Buddhism is not just something with the name ‘Buddhism’ attached to it. Seeing reality correctly is Buddhism. When we are awakened to reality, there is no suffering; when we are ignorant of reality, suffering arises.” Following this, Sunim received questions about various topics. Due to the special nature of this semester’s Jungto Dharma School being held during the 100-Day Dharma Talk period,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ree classes: offline class, live broadcast class, and basic class. All students had completed the Practical Buddhist Thought course and were currently studying the Human Buddha course. Various questions followed. One person asked about how to manage anger, mentioning that she often feel rage welling up inside her. 정토불교대학에서 부처님의 일생을 배우는 이유는, 이를 통해 오늘날의 환경문제, 빈곤 문제, 평화 문제를 바르게 바라보는 시각을 배우고 그 가르침을 현재의 문제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토회는 지구적 차원에서는 환경 문제, 인류적 차원에서는 절대빈곤 문제, 한반도에서는 평화 문제, 개인의 마음을 행복하게 하는 수행 문제, 이렇게 네 가지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환경, 구호, 평화, 수행 이 네 가지는 우리가 진정으로 행복한 삶으로 가는 길입니다. ‘불교’라는 이름이 붙은 것만 불교가 아닙니다. 사실을 바르게 보는 것이 불교입니다. 사실에 깨어있으면 괴로울 일이 없고, 사실에 어두우면 괴로움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어서 궁금한 점에 대해 질문을 받았습니다. 이번 학기 정토불교대학은 백일법문 기간에 진행되는 특성 때문에 오프라인반과 생방송반, 기본반, 3개의 반으로 나뉘어 교과가 진행되었습니다. 학생들 모두가 실천적 불교사상 과목을 모두 마치고, 현재는 인간 붓다 과목을 배우고 있었습니다. 다양한 질문들이 이어졌습니다. 그중 한 명은 평소에 울화가 치밀어 오를 때가 많다며 화를 다스리는 방법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How Can I Release the Emotions I’ve Suppressed Since Childhood, This Anger?
“When I look into my mind, it’s always filled with masses of anger like rage and resentment. While attending Jungto Dharma School, I discovered that I’ve been suppressing myself and living with low self-esteem since childhood, and these emotions have been hidden deep inside me. In daily life, I easily get angry at people I consider easy targets. Afterward, I suffer from tinnitus or headaches, which is exhausting. Is there a practice method that can soften or release this deeply rooted anger within me? Or what kind of mindset or attitude would be helpful?” “If I knew an easy way to cure the habit of getting angry, I could probably make a lot of money. It’s not easy, but it’s not impossible either. Getting angry frequently indicates a strong tendency to insist ‘I am right’ and be stubborn. When you were young and your father shouted, ‘Don’t talk back! Just do as you’re told,’ you thought inside, ‘No, I’m right,’ but ultimately submitted to that force. Those suppressed emotions accumulate and turn into anger. That’s why children who grow up in strict or oppressive families may be obedient but also tend to get angry easily. At some point, they may explode with rage or have emotional outbursts, and some may act out when drunk. These phenomena all occur due to psychological suppression. However, not everyone who gets scolded develops psychological suppression. If someone scolds you and you accept it saying, ‘I was wrong,’ no psychological suppression occurs. But if you suppress it thinking, ‘I’m right, but I’ll endure it because he’s my father,’ emotions accumulate and later explode. 어릴 적부터 억눌러온 감정, 이 화를 어떻게 풀 수 있을까요? “제 마음을 살펴보면 항상 울화, 울분 같은 분노의 덩어리가 가득합니다. 정토불교대학을 다니면서 제가 어릴 때부터 스스로를 많이 억누르고 기죽어 살아왔고, 그런 감정이 제게 꼭꼭 숨겨져 있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일상에서 제가 만만하게 여기는 상대에게 쉽게 화를 냅니다. 그러고 나면 이명이나 두통이 생겨서 힘이 듭니다. 제 안에 뿌리 깊이 박혀 있는 이 화를 누그러뜨리거나 풀 수 있는 수련법이 있을까요? 아니면 어떤 마음가짐이나 태도가 도움이 될까요?” “화내는 병을 쉽게 고치는 방법을 안다면 아마 큰돈을 벌 수 있을 거예요. 그만큼 쉽지 않지만 그렇다고 불가능한 건 아니에요. 화를 자주 낸다는 것은 ‘내가 옳다’ 하고 고집하는 성향이 강하다는 걸 말합니다. 어릴 때 아버지가 ‘대꾸하지 마! 그냥 시키는 대로 해’라고 소리를 지르면, 속으로는 ‘아니야. 내가 맞아’라고 생각하면서도 결국 그 힘에 굴복합니다. 그 억눌린 감정이 쌓이면서 화가 됩니다. 그래서 엄격하거나 억압적인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이 착한 면도 있지만 동시에 화도 잘 내는 편입니다. 어느 순간 울화통이 터지거나 감정을 폭발시키기도 하고, 술에 취해 주사를 부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다 억압된 심리 때문에 일어납니다. 그런데 야단맞는다고 해서 모두 심리적 억압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누군가 야단을 쳐도 ‘제가 잘못했습니다’하고 받아들이면 심리적 억압이 생기지 않아요. 하지만 ‘내가 옳은데, 아버지니까 참는다’ 이런 식으로 억누르면 감정이 쌓였다가 나중에 폭발하게 됩니다.
The ‘anger’ you experience might be exactly this kind of emotion. The stronger your stubbornness about being right, the more anger you have. To cure this condition, you need to understand that ‘nothing is inherently right or wrong.’ As you’ve learned in Jungto Dharma School, right and wrong don’t originally exist. But realizing this fact is the most difficult thing. In reality, we are just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is no inherent right or wrong. So it would be very helpful if you first pray with the Myeongshimmun(Words to Remember): ‘I will let go of the thought that I am right.’ Or you could pray with ‘There is nothing I can claim to be right about’ or ‘We are just different from each other.’ Choose one of these and practice with it. Anger arises because we stubbornly insist ‘I am right.’ You could also pray, ‘There is originally nothing right. I am lacking.’ If you continue praying like this, you’ll get less angry. But this alone is not enough. At some point during your prayer, you need to have a sudden awakening. ‘Although my father oppressed me, my stubbornness about being right was actually stronger!’ When you realize this, your anger will subside. When you submitted to your father, you were actually filled with feelings of contempt, thinking ‘You’re not even human.’ Your belief that you are right is deeply rooted. You need to let go of this stubbornness. It’s not easy, but if you keep bowing while saying ‘There is nothing that can be called right. I am lacking,’ at some point, like a blind person gaining sight, you’ll have a moment of realization: ‘I really was stubborn. My belief that I was right was so strong.’ Then your anger will decrease, and eventually you can live a life without anger.” 질문자에게 일어나는 ‘화’도 바로 그런 감정일 수 있어요.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고집이 셀수록 화가 많습니다. 이 병을 고치려면 ‘그 무엇도 옳고 그름은 없다’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정토불교대학에서도 배웠듯이 옳고 그름이란 본래 없습니다. 그런데 이 사실을 깨닫기가 제일 어렵습니다. 사실 우리는 서로 다를 뿐, 누가 옳고 누가 그름은 본래 없습니다. 그래서 질문자는 우선 ‘내가 옳다는 생각을 내려놓겠습니다’ 라는 명심문을 갖고 기도를 해보면 큰 도움이 될 겁니다. 또는 ‘내가 옳다고 할 것은 없습니다’, ‘우리는 서로 다를 뿐입니다’ 이런 명심문을 갖고 기도해도 됩니다. 이 중의 하나를 선택해서 기도를 해보세요. 화는 ‘내가 옳다’하고 고집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본래 옳은 것은 없습니다. 제가 부족합니다’ 이렇게 기도하셔도 됩니다. 이렇게 계속 기도하면 화가 덜 나게 됩니다. 그런데 이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기도하는 중에 어느 순간 확 깨우쳐야 해요. ‘아버지가 나를 억압하긴 했지만, 오히려 내가 옳다고 고집한 것이 더 강했구나!’ 이렇게 깨우치면 화가 누그러집니다. 아버지에게 굴복할 때 사실 속으로는 ‘당신은 인간도 아니야’ 하고 아버지를 무시했던 감정이 가득했던 거예요. 내가 옳다는 생각이 엄청나게 깊이 뿌리 박혀 있는 겁니다. 이 고집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쉽지는 않지만 ‘옳다고 할 것은 없습니다. 제가 부족합니다’라며 계속 절을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장님이 눈을 뜨듯 ‘정말 내가 고집이 셌구나. 내가 옳다고 믿는 마음이 강했구나’ 하고 자각하는 순간이 옵니다. 그러면 화가 줄어들고, 결국 화나지 않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As I mentioned at the beginning, I grew up in that environment from when I was a very young baby, and it seems like anger has been building up since then. While studying this practice, I’ve improved a bit, but I still feel like there are many wounds and feelings of suppression left inside me. Should I understand that even when I was that young, I had the thought ‘I am right’?” “Yes. You were like that even as a child. There are two treatment methods. One is easier but not a fundamental cure, and the other is a fundamental cure but more difficult. The easier method is to understand and embrace the young child within yourself. You comfort yourself by saying, ‘You felt really wronged back then, didn’t you? It’s okay.’ You frequently soothe and comfort the resentment of the child within you. This method calms anger through consolation. However, the fundamental treatment is to pray while bowing, realizing ‘There is originally nothing that is right, but I was holding tightly to being right.’ Just like Galileo said ‘And yet it moves’ as he left the courtroom, you too held onto your righteousness in that situation. When children are wronged, most cry out in their hearts, ‘No matter what you do, right and wrong don’t change. I am right.’ Even while being hit, they absolutely won’t say they were wrong. That’s why parents shouldn’t push their children too hard. They might admit fault at first, but if pushed too far, they’ll rebel, insisting they’re right. So there’s no disciplinary effect, only wounds remain. First, there’s the method of regularly understanding and comforting the wounded child within you. Second, there’s the method of praying with the Words to Remember: ‘There is originally no right or wrong. There is nothing I can claim to be right about.'” “제가 처음에 말씀드린 것처럼, 저는 아주 어린 아기일 때부터 그런 환경에서 자랐고, 그때부터 화가 쌓여 온 것 같습니다. 이 공부를 하면서 조금씩 좋아지긴 했지만, 아직도 상처나 억압 같은 감정이 제 속에 많이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그렇게 어릴 때도 ‘내가 옳다’ 하는 생각이 있었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네. 어릴 때도 그랬던 겁니다. 두 가지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근본적인 치료는 아니지만 조금 쉬운 방법이고, 하나는 근본적인 치료이지만 조금 어려운 방법입니다. 조금 쉬운 방법은 내 속의 어린 나를 스스로 이해하고 보듬어 주는 겁니다. ‘그때 참 많이 억울했지? 그래, 괜찮아’라고 하면서 스스로를 위로하는 겁니다. 내 안에 있는 어린아이의 억울함을 자주 어루만져 주면서 위로해 주는 거예요. 이 방법은 위로를 통해 분노를 잠재우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근본적인 치료법은 ‘원래 옳은 것은 없는데, 내가 옳다고 꽉 쥐고 있었구나’하고 절하며 기도하는 방법입니다. 마치 갈릴레이가 재판장을 나오며 ‘그래도 지구는 돈다’하고 말했던 것처럼, 질문자도 그런 상황에서 자신이 옮음을 움켜쥐었던 겁니다. 어릴 때 억울하게 당하면 대부분 ‘당신이 아무리 그렇게 해도 옳고 그름은 바뀌지 않아. 내가 옳아’라고 마음속으로 외칩니다. 맞으면서도 절대로 잘못했다고 말하지 않아요. 그래서 부모가 아이들을 너무 몰아세우면 안 됩니다. 처음에는 잘못했다고 할지 몰라도, 과하다 싶으면 오히려 자기가 옳다며 반항합니다. 그래서 훈육 효과는 없고 상처만 남게 됩니다. 첫째, 내면의 상처받은 어린 나를 일상적으로 이해하고 위로해 주는 방법이 있고, 둘째, ‘옳고 그름은 본래 없습니다. 내가 옳다 할 것은 없습니다’ 라는 명심문을 갖고 기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Yes. I understand.” Questions continued one after another. After seven people had conversations with Sunim, the last questioner pressed the hand-raising button and asked Sunim a question. Should We Have Understanding Even for Obviously Wrong Actions? “Earlier, someone asked about how to manage anger, and you said to pray with the Words to Remember: ‘There is nothing I can claim to be right about. I am lacking.’ But I still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whether we should apply this understanding even to actions that are clearly wrong by anyone’s standards. For example, should I have this mindset of ‘There is nothing I can claim to be right about. I am lacking’ toward people who use violence, have affairs, engage in illegal gambling, or litter anywhere?” “Yes, that’s right. Because a practitioner aims to become someone who doesn’t get angry. By doing this, first of all, I don’t get angry. In a state without anger, you can say, ‘You shouldn’t throw trash there.’ Then improvement is possible. If something needs to be corrected, you can calmly improve it that way. But if you get angry, it doesn’t get fixed well and you only suffer. “네. 알겠습니다.” 계속해서 질문들이 이어졌습니다. 일곱 명이 스님과 대화를 나눈 후 마지막 질문자가 손들기 버튼을 누르고 스님에게 질문했습니다. 누가 봐도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도 이해하는 마음을 내어야 하나요? “앞에서 한 분이 분노를 다스리는 방법에 대해 질문하셨는데, 스님께서는 ‘내가 옳다고 할 것은 없습니다. 제가 부족합니다.’라는 명심문으로 기도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누가 봐도 명백히 잘못된 행동까지 그렇게 이해해야 하는지 저는 아직 어렵게 느껴집니다. 예를 들어, 폭력을 쓰거나 바람을 피우는 사람, 불법 도박을 하거나 쓰레기를 아무 데나 버리는 사람에게도 ‘내가 옳다고 할 것은 없습니다. 제가 부족합니다’ 이런 마음을 내어야 하는 건가요?” “네. 그렇습니다. 수행자는 화나지 않는 사람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니까요. 그렇게 하면 우선 내가 화나지 않게 됩니다. 화가 나지 않는 상태에서 ‘쓰레기를 거기에 버리면 안 됩니다.’하고 얘기하면 돼요. 그러면 개선이 가능합니다. 고쳐야 할 일이라면 그렇게 차분하게 개선하면 됩니다. 그런데 화를 내면 오히려 잘 고쳐지지 않고 자신만 괴롭습니다.
Even if someone has an affair, what can we really say is wrong? From the spouse’s perspective, it’s naturally painful and they can say the other person is wrong. But from the other person’s perspective, they might like this person or that person. From my position, it feels like the other person is wrong, but there is originally no standard by which we can say ‘I am right and the other is wrong.’ If you understand that the other person could act that way, first of all, you won’t get angry. And if you don’t want to live with such a person, you can choose divorce. If you think it’s better to stay together, you can hold on. There is no other way. It’s like when you buy a new car and it gets scratched. If you don’t like seeing the scratch, you can sell the car. If you still prefer to drive it, just drive it. There is no other way besides this. Practice is about managing one’s mind to avoid getting angry. On the other hand, ‘how to respond’ is a separate matter. 누군가 바람을 피웠다고 해도 과연 무엇이 잘못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배우자의 처지에서는 당연히 고통스럽고, 상대가 잘못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대의 입장에서는 이 사람을 좋아할 수도 있고, 저 사람을 좋아할 수도 있는 겁니다. 내 입장에서는 상대가 틀렸다고 느껴지지만 ‘내가 옳고 상대가 틀렸다’라고 말할 수 있는 기준은 본래 없습니다. 상대가 그럴 수도 있다고 이해하면 우선 내가 화가 나지 않아요. 그리고 그런 사람과 살기 싫다면 이혼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래도 함께 사는 게 낫다고 생각하면 붙잡으면 됩니다. 이 외에 다른 길은 없습니다. 새 차를 샀는데 흠집이 났다고 합시다. 흠집이 보기 싫으면 차를 팔면 되고, 그래도 타는 게 좋다면 그냥 타면 되는 것과 같습니다. 이것 말고는 다른 길이 없는 거예요. 수행은 화나지 않도록 자기 마음을 다스리는 것입니다. 반면에 ‘어떻게 대응하는가?’라는 것은 별개의 문제예요.
If improvement is needed, make improvements; if not, that’s fine too. The important thing is that responding without anger is much more effective. When you don’t get angry, you don’t suffer, and improvements happen more easily. For example, when someone carelessly throws trash, you can just leave it, tell them they shouldn’t throw it there, clean it up yourself, or report it to the authorities. If you understand that ‘from their perspective, they might do that,’ you won’t get angry, and from that state, you can choose how to respond. There are various methods. When you’re not angry, you can respon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After finishing the conversation, it was past 4 PM. Unfortunately, Sunim concluded the Dharma Q&A with the promise of meeting again next time. After finishing the Dharma talk, Sunim left the broadcasting room and immediately changed into work clothes and headed to the vegetable garden. 개선이 필요하면 개선하고, 개선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중요한 건 화를 내지 않고 대응하는 게 훨씬 효과적이라는 겁니다. 화를 내지 않으면 내가 괴롭지 않고, 개선도 잘 이루어져요. 예를 들어, 누가 쓰레기를 함부로 버릴 때, 그냥 두어도 되고, 여기 버리면 안 된다고 얘기해 주어도 됩니다. 직접 내가 치워도 되고, 관공서에 신고하는 방법도 있어요. ‘그 사람의 처지에서는 그럴 수도 있다.’하고 이해하면 내가 화나지 않게 되고, 그 상태에서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지는 내가 선택하면 됩니다. 방법은 여러 가지입니다. 화가 나지 않으면 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가 있게 됩니다.” 대화를 마치고 나니 오후 4시가 넘었습니다. 아쉽지만 다음 시간을 기약하며 즉문즉설을 마쳤습니다. 법문을 마치고 방송실을 나온 스님은 곧장 작업복으로 갈아입고 텃밭으로 향했습니다.
The lettuce was growing densely. Sunim picked the leaves close to the stem from the lettuce that hadn’t bolted. After thinning out the leaves, spaces appeared in what had been a crowded lettuce patch. Various types of lettuce were divided and placed into six baskets. Meanwhile, all the lettuce that had bolted was pulled out. When they flower, the leaves become tough and difficult to eat. After tilling the field, lettuce seeds were evenly sown again. Due to the rain, a lot of soil had splashed onto the lettuce leaves. After lightly rinsing them in water, they were neatly arranged in boxes. “Let’s take these so the Seoul Sangha members can enjoy them.” The work finished at 6 PM. In the evening, Kim Yoon-tae and Ahn Sang-hee, who are in charge of the Sankasia project in India, returned to Korea and came to pay their respects to Sunim. After having dinner together, Sunim held a meeting to discuss how to proceed with the Sankasia project before concluding the day’s activities. Tomorrow, Sunim will travel to Daejeon early in the morning to attend the ‘Happy Citizens Activity Festival’ all day, have conversations with Happy Citizens, and then move to Seoul. 상추가 빽빽하게 자라 있었습니다. 꽃대가 올라오지 않은 상추는 잎을 바싹 따주었습니다. 잎을 솎아내니 촘촘했던 상추밭에 여백이 생겼습니다. 여러 종류의 상추를 여섯 바구니에 나누어 담았습니다. 한편, 꽃대가 올라온 상추는 모두 뽑았습니다. 꽃이 피면 잎이 질겨져 먹기 어려워집니다. 밭을 갈아엎고, 다시 상추 씨앗을 고루 뿌렸습니다. 비가 내려 상추잎마다 흙이 많이 튀어있었습니다. 물에 살짝 헹군 후 상자에 정갈히 담았습니다. “서울 대중들이 맛볼 수 있게 가져갑시다.” 저녁 6시가 되어 울력을 마쳤습니다. 저녁에는 인도 상카시아 불사를 담당하고 있는 김윤태, 안상희 님이 한국에 귀국하여 스님께 인사를 드리러 찾아왔습니다. 스님은 함께 저녁 식사를 한 후 앞으로 상카시아 불사를 어떻게 해나갈지 회의를 한 후 하루 일과를 마쳤습니다. 내일은 아침 일찍 대전으로 이동하여 하루 종일 ‘행복시민 활동 큰 잔치’ 행사에 참석하여 행복시민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진 후 서울로 이동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