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음교(三陰-交)

족태음 비경'이 지나가는 혈 자리로 삼음(三陰)의 교차 자리입니다.
즉 간(肝), 신(腎), 비(脾)가 함께 모인 곳으로 몸 상태가 안좋으면 음푹 들어 가기도 합니다.
자궁근종 수술로 인해 자궁과 골반주변의 순환문제와 등등으로 인해 삼음교 혈자리가
음푹 들어갈수도 있습니다..

삼음교는 남녀 생식기 질환, 자궁출혈, 성병,요페, 치질, 난산, 불임, 하지 궐냉,
자근근종 치료혈로 사용 하고 있습니다.
삼음교는 불면증에도 많이 사용되는데 성격이 예민한 분의 경우 삼음교를 보해 주면 좋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월경통과 타박상으로 인한 두통에서 좋은 효과를 내는 혈입니다. 보하면 안태가 되지만 임산부는 낙태의 위험이 있으므로 침을 놓지 말아야 합니다.
자궁근종이 있다면 평소 생리통도 있었을 것입니다.
삼음교를 평소 잘 보해 주시고 아울러 후계혈도 늘 보해 주십시오.
소형 자궁근종이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소택혈도 평소 보해 주시면 좋은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주치(主治)
비위(脾胃) 허약, 사지 중압감, 고장(鼓腸), 설사, 식욕부진, 곽란(霍亂), 월경불순, 자궁출혈, 난산,
음경통, 유정(遺精), 임질, 고환염, 신장염, 소변불리(小便不利), 소아경풍(小兒驚風),
하지위비(下肢萎痹), 발바닥열, 습진, 불면증, 어지럼증, 이명, 고혈압, 어혈, 당뇨병.
부인병에 필수혈이고 당뇨에도 중요한 혈이다.
모든 어혈성 질환은 삼음교를 눌러보면 몹시 아프다.
삼음교(三陰交)와 혈해(血海)는 어혈(瘀血)을 가장 빨리 풀어준다.
손발목을 삐었을 때도 삼음교가 반드시 반응한다.
임산부는 조심: 합곡(合谷) 삼음교(三陰交) 복부(腹部)는 유산의 위험이 있다. 불륜의 씨앗은 잘 유산되지 않는다

※1촌이란: 1촌이라고 해서 다 같은 크기는 아니다.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에 사람마다 다르고 같은 사람이라도 자리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엄지손가락 마디 굵기 정도로 생각하면 무난하다. 1촌 5푼은 엄지손가락 마디 하나 반이다.
←여기를 누르세요
첫댓글 좋은 글 올려 주심을 감사드리고 행복한 나날 되세요
근막. 혈자리에 관심이 많아 공부중인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